||<-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E0D 20%, #FFBE0D 80%, #FF9D00)" '''회안백 | 淮安伯 [br]{{{+1 왕기 | 王沂}}}'''}}} || || '''시호''' ||'''회안백(淮安伯)''' || || '''작위''' ||수사공(守司空) || || '''직위''' ||검교사도(檢校司徒) || || '''본관''' ||[[개성 왕씨]] || || '''휘''' ||기(沂) || || '''부모''' ||부친 [[진한공|진한공 왕유]] 모친 진한공비(辰韓公妃) → 화신공비(和信公妃)로 추정 || || '''형제자매''' ||{{{#!folding 2남 2녀 중 장남 [ 펼치기 · 접기 ] [[회안백|회안백 왕기]](王沂) 진강백(晉康伯) 왕연(王演) [[문정왕후(고려)|문정왕후]](文貞王后) 경창원주(敬昌院主)}}} || || '''배우자''' ||[[대령궁주]](大寧宮主) 왕씨[* [[숙종(고려)|숙종]]의 장녀] || || '''생몰연도''' ||? ~ [[1126년]]^^([[인종(고려)|인종]] 24년)^^ [[2월 2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의 왕족. 본명은 왕기(王沂), 작위는 회안백(淮安伯)이다. == 생애 == [[문종(고려)|문종]]의 손자로, [[진한공|진한공 왕유]]의 아들이다. 사촌인 [[예종(고려)|예종]]으로부터 검교상서우복야 주국(檢校尙書右僕射 柱國)으로 임명되었고, 나중에 검교사공檢校司空)으로 승진한다. [[숙종(고려)|숙종]]의 딸인 대령공주(大寧公主)와 혼인해, 예종 4년인 1109년 12월 검교사도 수사공 회안백(檢校司徒 守司空 淮安伯)에 책봉된다. 식읍 2천호 식실봉 3백호가 더해졌으며, 찬화공신(贊化功臣)의 호를 받았다. 그러나 예종 9년인 1114년 아내인 공주와는 얼마 안 가 사별하게 된다. 이후 회안백 왕기는 음양술을(陰陽術) 익힌 급제(及第) 최도원(崔道元), 그리고 행실이 경박한 진사(進士) 백사윤(白思允), 승지(承旨) 권사도(權思道)와 오세영(吳世英) 등과 어울리곤 했다. 회안백 왕기가 최도원과 함께 [[산사]]에서 초재(醮齋)를 베풀었다는 소문이 조정에 들리기 시작한다. 초재는 [[도교]] 의식으로 중국에서는 국가에서 진행했으며, 고려에서도 예종 시기에 설치된 [[복원궁]](福源宮)을 시작으로 국가 기관에서만 지내는 행사였다. 예종은 최도원 등이 다른 마음을 품었을거라 의심해 [[국문]]을 가한다. 피의자들이 끝내 승복하지 않았으나 예종 12년인 1117년 회안백 왕기을 포함한 연루자 모두는 유배형을 당한다. 하지만 유배됐던 회안백 왕기는 곧 다시 소환됐고, [[인종(고려)|인종]] 24년인 1126년 2월 21일에 사망했다. [[분류:고려의 왕족]][[분류:개성 왕씨]][[분류:고려의 백작]][[분류:112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