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선의 왕자, rd1=회안대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E0D 20%, #FFBE0D 80%, #FF9D00)" '''고려 신종의 부마[br]{{{+1 회안공 왕정 | 淮安公 王侹}}}'''}}} || || '''작위''' ||시흥백(始興伯)[br]시흥후(始興侯)[br]'''회안공(淮安公)''' || || '''본관''' ||[[개성 왕씨]] || || '''휘''' ||정(侹) || || '''부모''' ||부친 [[영인후|영인후 왕진]] 모친 [[연희궁주]] 왕씨[* [[명종(고려)|명종]]의 장녀] || || '''형제자매''' ||{{{#!folding 1남 1녀 중 장남 [ 펼치기 · 접기 ] [[회안공|회안공 왕정]](王侹) [[성평왕후]] 임씨}}} || || '''배우자''' ||경녕궁주(敬寧宮主) 왕씨[* [[신종(고려)|신종]]의 차녀] || || '''자녀''' ||'''3남''' 장남 - 계양후(桂陽侯) 왕연(王挻) 차남 - 신양공(新陽公) 왕전(王瑼[* 《고려사》 세가 고종편] 또는 王㻇[* 《고려사》 종실열전 편 ]) 삼남 - 수사도(守司徒) 왕시(王諟) || || '''생몰연도''' ||? ~ [[1234년]]^^([[고종(고려)|고종]] 21년)^^ [[9월 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의 왕족. 이름은 왕정(王侹), 작위는 회안공(淮安公)이다. == 생애 == === 무신정권기 === [[영인후|영인후 왕진]]과 [[명종(고려)|명종]]의 장녀 [[연희궁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신종(고려)|신종]] 4년인 1201년 왕의 딸인 경녕궁주(敬寧宮主)와 혼인하여 시흥백(始興伯)으로 봉해졌다. 이후 [[후작]][* 시흥후(始興侯)]을 거쳐 회안공(淮安公)으로 진봉됐다. === [[여몽전쟁|몽골의 침입]] === [[고종(고려)|고종]] 18년인 1231년 [[몽골 제국]]의 [[살리타이]]가 [[저고여 피살 사건]]을 명분으로 군사를 이끌고 [[개경]]에 이르렀다. 12월이 되자 [[개경]]이 포위되고 [[흥왕사]]가 공격을 받기도 했다. 왕은 [[민희(고려)|민희]](閔曦) 등을 살리타이에게 보내 화친을 제안했고, 또 강화를 맺기 위해 종친인 회안공 왕정에게 고려 토산물을 가지고 살리타이의 군영을 방문하도록 했다. 회안공 왕정이 처음 살리타이를 만나보고 계하(階下, 섬돌·계단 아래)에서 머리숙여 요배(遙拜)했는데 살리타이는 아무 답도 하지 않았다. 이내 회안공 왕정이 술과 안주를 준비해 접대하자 살리타이는 회안공 왕정에게 [[아이락|동락]](湩酪)을 권했다. 권한 음식을 회안공 왕정이 잘 받아먹으니 살리타이가 크게 기뻐했다. 회안공 왕정을 수행했던 송국첨 역시 안색과 말투가 엄정했기에 살리타이가 감탄했다고 『[[고려사]]』에 전한다. 고종 19년인 1232년 1월 철군하는 몽골군을 전송하고 2월에 몽골에서 온 사신과 함께 개경으로 돌아왔다. 이 사신 편에 북쪽으로 돌아가는 살리타이가 회안공 왕정에게 보내는 편지가 있었다. 그 내용은 고려에서 사람을 뽑아 개주관(開州館) 선성산(宣城山)으로 이주시켜 농사를 짓게 하라는 것이었는데, 고려에서는 거절하는 답장을 보냈다. >慈州不降, 宜遣人諭降. >자주가 항복하질 않으니, 마땅히 사람을 보내 항복하도록 타일러야 할 것이다. >---- >『고려사』 권103, [[최춘명]] 열전. 회군하던 살리타이는 9월 [[귀주성]]을 공격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귀주성 전투]]) 살리타이는 성을 항복시키고자 회안공 왕정에게 [[귀주성]]으로 편지를 쓰게 한다. 회안공 왕정은 고려와 몽골은 강화를 맺었으니 항전을 그만두고 항복하라는 편지를 보냈는데, [[귀주성]]의 [[박서]]와 자주성[* 현재 평안남도 순천]의 [[최춘명]]은 저항을 계속했다. 자주성에서는 항복을 권유하는 편지를 [[대집성]]에게 들려 보냈는데, 최춘명은 "성중의 사람들은 회안공을 모른다."[* 城中人不知有淮安公.]라며 대집성에게 활까지 쏘며 쫓아냈다. 12월의 [[처인성 전투]]에서 살리타이는 전사했고, 몽골의 2차 침입이 끝을 맺었다. 회안공 왕정은 고종 21년인 1234년 9월 1일에 죽었다. == 가족 관계 == * 배우자: 경녕궁주(敬寧宮主) 왕씨[* [[신종(고려)|신종]]의 차녀] * 아들: 계양후(桂陽侯) 왕연(王挻) * 아들: 신양공(新陽公) 왕전(王瑼[* 《고려사》 세가 고종편] 또는 王㻇[* 《고려사》 종실열전 편 ]) *며느리: 수흥궁주(壽興宮主) 왕씨[* [[고종(고려)|고종]]의 장녀] * 손자:제안공(齊安公) 왕숙(王淑) * 손자:[[왕징(대방공)|대방공 왕징]](王澂) * 아들: 수사도(守司徒) 왕시(王諟) == 기타 == 몽골의 하서 원수(河西 元帥)가 고려에 사신을 보내 편지와 함께 금선(金線)을 보내며 '영공(令公)'께 드리는 것이라 했는데, 이 때 영공이 누구를 가리키는지가 잠깐 논란이 됐었다. 당시 [[무신정권]] 집권자인 [[최우]]를 가리키는 것이 거의 확실했으나 [[최우]]가 "나는 영공이 아니다."[* 我非令公]라고 피하며 대신 회안공 왕정에게 전달했다. 회안공 왕정도 이를 거절해 한동안 선물이 돌고 돌았다. 결국 [[최우]]가 학사 [[이규보]]를 시켜 회안공 왕정 이름으로 선물 잘 받았다는 답장을 보내게 했다. [[분류:고려의 왕족]][[분류:고려의 백작]][[분류:고려의 후작]][[분류:고려의 공작]][[분류:개성 왕씨 평양공파]][[분류:123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