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2,프로젝트1=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프로젝트2=나무위키 충청권 프로젝트)] [include(틀:미개통역)] ||<-6><:>--[[충청권 광역철도|{{{#000000 '''충청권 광역철도'''}}}]]--|| ||<-6><:>{{{+2 '''회덕역'''}}} || ||<-2><:>[[논산역|{{{#!html
논산 방면}}}]]~~[[오정역#s-2|오 정]]~~[br]← km ||<-2><:>~~[[충청권 광역철도|{{{#!html
충청권
광역철도

}}}]]~~{{{#red (미개통)}}}||<:><-2>[[조치원역|{{{#!html
조치원 방면}}}]]--[[덕암역|덕 암]]--[br] km →|| ||<-6><:>[include(틀:지도,장소=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로34번길 83,너비=100%,높이=225px)]|| ||<-6><:>'''다국어 표기'''|| ||<:><-2>[[영어]] ||<:><-4>Hoedeok|| ||<:><-2>[[한자]] ||<:><-4>懷德|| ||<:><-2>[[중국어]] ||<:><-4>怀德|| ||<:><-2>[[일본어]] ||<:><-4>フェドク|| ||<:><-6><#c0c0c0>'''주소''' || ||<:><-6>[[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로34번길 83[br](舊 신대동 129-1)|| ||<:><-6>'''관리역 등급'''|| ||<:><-6>[[한국철도공사|코레일]] [[관리역#s-3|충청권 물류사업단]]|| ||<:><-6><#c0c0c0>'''운영기관'''|| ||<:><-2>--[[충청권 광역철도|충청권[br]광역철도]]--||<:><-4>미정|| ||<-6><:>'''열차거리표'''|| ||<:><-2>[[서울역|{{{#!html
서울 방면}}}]][[신탄진역|신탄진]][br]~~[[덕암역|덕 암]]~~[br]← 5.6 ㎞||<:><-2>'''[[경부선]]'''[br]회 덕||<:><-2>[[부산역|{{{#!html
부산 방면}}}]][[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br]4.1 ㎞ →|| ||<#ffffff> 이 역과 [[신탄진역]] 사이에 가칭 [[덕암역]]이 개통준비중이다.|| {{{+1 懷德驛 / Hoedeok Station }}} * [[경부선]] 개업일: 1930년 10월 1일 * [[충청권 광역철도]] 개업일: 2022년 예정 [[파일:attachment/hoedeok.jpg|width=550]] [목차] == 개요 == [[경부선]]의 [[철도역]].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로34번길 83 (舊 신대동 129-1번지)에 위치해 있다. == 역사 == [[대전광역시]] 안에 있지만 이 역 주변에 '''[[시내버스]]가 워낙 잘 되어 있어서''' 역 이용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가 결국 [[2007년]] [[6월 1일]]부터 여객열차는 이 역을 통과하게 되었다. [[경부고속도로]]에서 [[호남고속도로지선]] 분기하는 '''[[회덕JC]]''' 덕분에 이 동네 회덕동은 '''전국적으로 인지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지만 정작 회덕동 일대는 크게 발달한 편이 아니다. [[한국수자원공사]] 사옥이나 아파트 단지와 단독주택들, 그리고 바로 옆의 계족산이 전부. 그러나 [[충청권 광역철도]]가 개통하면 수자원공사 직원들의 통근 수요나 인근 거주민들의 이용 수요, 계족산 등산객들의 수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일반 여객열차 정차역으로는 부적합하지만 전철의 정차역으로는 나름 적당한 역일지도. 대신 SK에너지 전용선과 연료공업협동조합 전용선이 있어 [[화물철도|화물취급]]으로 중요한 역이다. 유류 및 석탄화물을 취급하고 있고 특히 [[2013년]] [[1월]]부터는 [[경부고속선]] 대전 도심구간 공사로 인하여 [[대전선]]으로의 운행이 불가능해지자 [[경부선]]과 [[호남선]]을 상호 운행하는 화물열차는 회덕역에서 방향전환을 하여 운행하고 있다. 그러다가 [[2014년]] [[3월 1일]]부터 [[대전선]] 운행이 재개되면서 다시 회덕역을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1101004180006300_P2.jpg]] 구 역사 현재 회덕역의 역사(驛舍)는 2005년 완공한 것. == 충청권 광역철도 승강장 계획 == >본 내용은 KDI가 2016년 1월 발간한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건설사업의 2016년 예타보고서에 의하여 작성됨. ||<-30><:>↑[[신탄진역|신탄진]] || ||<:>| ||<:>| ||<:>| ||<:>| ||<#0054A6><:>{{{#ffffff B}}}||<#c0c0c0>||<:>| ||<:>| ||<#c0c0c0>||<#0054A6><:>{{{#ffffff A}}}||<:>| ||<:>| || ||<-30><:>[[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 || 번호 || 방면 || 정차열차 || 행선 || ||<:><#0054A6>{{{#ffffff A}}}|| 계룡 || [[충청권 광역철도]] ||[[신탄진역|신탄진]] 방면 || ||<:><#0054A6>{{{#ffffff B}}}|| 신탄진 || [[충청권 광역철도]] ||[[중촌역|중촌]], [[서대전역|서대전]], [[계룡역|계룡]] 방면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 [[분류:충청권 광역철도]] [[분류:경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