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황진생}}}'''[br]'''黃鎭生'''}}}}}}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황진생.jpg|width=100%]]}}} || || '''본관''' ||[[황(성씨)|창원 황씨]][* 공희공파-좌윤공파(左尹公派)-회와공파(晦窩公派) 25세 진(鎭) 항렬.] || ||<|2> '''출생''' ||[[1914년]] [[5월 2일]] || ||[[경상남도]] [[진주시|진주군]] [[대평면]] 신풍리 992번지[* [[황(성씨)|창원 황씨]] 집성촌으로, [[황남팔]] 전 국회의원과 [[황산성]] 전 환경처 장관도 이 마을 출신이다.][* 출생지 신풍리 992번지는 1969년 [[남강댐]] 공사로 인해 현재 [[진양호]]에 수몰되어 있다.] || ||<|2> '''사망''' ||[[1989년]] [[3월 15일]] || ||[[경상남도]] [[진주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870호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3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14년 5월 2일 경상남도 진주군(현 진주시) 대평면 신풍리에서 아버지 황윤조(黃潤祚)[* 족보명은 황순규(黃淳圭).]의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진주고등학교|진주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이던 1930년 1월 11일, 그는 [[광주학생항일운동]]에 호응할 목적으로 교내 동맹휴학을 주도했다가 약 1개월간 정학 처분을 받았다. 그 뒤 복학한 그는 1932년 11월에는 진주군 진주읍에 있던 자신의 하숙집에서 [[이기윤|이증삼]](李曾參)[* 진주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이기윤]]으로 개명했다.]·[[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499|한계수]](韓桂壽)·[[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60273|전사옥]](全駟玉) 등 친구들과 함께 비밀결사 학생협의회를 조직했다. 그는 회원들과 함께 [[사회과학]] 서적을 윤독하며 동지 규합 및 조직 확대를 위해 활동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후 미결수로 9개월간 옥고를 치른 뒤 1934년 8월 3일 부산지방법원 진주지청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징역 1년형,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고 출옥했다. 출옥 후에는 은거하다가 1989년 3월 15일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별세했다. 199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2008년 5월 30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진주시 출신 인물]][[분류:창원 황씨]][[분류:1914년 출생]][[분류:1989년 사망]][[분류:건국포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진주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