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황해북도의 시군)] ||<-3>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황해북도|{{{#000 황해북도}}}]]의 [[군(행정구역)|{{{#000 군}}}]]'''}}}[br]{{{#!wiki style="margin: -10px -10px" ||<-3> '''{{{+1 황주군}}}'''[br]黃州郡[br]Hwangju County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황주군, 너비=100%, 높이=250px)]}}} || ||<|2> '''행[br]정[br]구[br]역''' || '''상위''' ||[[황해북도]] || || '''하위''' ||1읍 28리 || ||<|3> '''주[br]요[br]인[br]물''' || [[제14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1 {{{#white '''대의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리혜정]] {{{-2 (제381호 황주선거구)}}}[br][[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로광섭]] {{{-2 (제382호 청룡선거구)}}}[br][[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김철국 {{{-2 (제383호 삼정선거구)}}}[br][[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한철남 {{{-2 (제384호 흑교선거구)}}}}}} || || '''시당''' ||[[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림명철[* 2022년][br]{{{-2 (황주군당 책임비서)}}} || || {{{-1 '''인민위'''}}} ||[[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위희선[* 2022년][br]{{{-2 (황주군 인민위원회 위원장)}}} || ||<-2> '''면적''' ||517.10㎢ || ||<-2> '''시간대''' ||UTC+9 || ||<-2> '''인구''' ||155,215명 {{{-2 ([[2008년]])}}} || ||<-2> '''인구밀도''' ||300명/km² {{{-2 ([[2008년]])}}} || ||<-2> '''관청[br]소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8.66793118569418%2c125.77444521358625, 너비=100%, 높이=1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1C27; color: white" '''황주군 인민위원회'''}}} {{{-2 (위치 미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PRK2006_Hwangbuk-Hwangju.png|width=100%]]}}} || || '''황주군 지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8년]] 기준 인구 155,215명. 황주읍이 중심이다. 서쪽으로 [[대동강]] 하구에 있는 지역으로 [[재령강]]과도 접한다. 황해도의 '황'이 바로 황주이다. == 지리 == 부근 [[남포시]]와 함께 [[사과]]의 생산지로도 알려진 곳이다. 위성사진으로 황주 일대를 보면 토양이 붉은 것을 볼 수 있는데 [[테라로사]] 토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이다. == 역사 == 한사군 시대에는 낙랑군(樂浪郡) 둔유현(屯有縣)이었다. [[삼국시대]]에 [[고구려]]가 이 땅을 차지했는데 이 때는 동홀(冬忽)이라고 불렀다.[* 우동어홀(于冬於忽)이라고도 불렸다.] [[신라]]가 이후 이곳을 병합하면서 신라 [[헌덕왕]] 때 취성군(取城郡)을 설치했다. 일단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상으로는 [[신라]] [[9주 5소경]] 중 [[한주]]에 속했는데, 신라 후기에 한주와 구분되는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을 신라 서북면에 설치했다는 설을 긍정한다면 이 곳도 위치상 패강진 관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후삼국시대]]에는 고구려계 호족과 유민의 근거지 중 하나가 되었는데, 바로 이곳에서 같은 패서 출신의 고구려 유민 계통 대호족인 [[왕륭]], [[유천궁]]과 어깨를 나란히하는 [[황보제공]]이 황주 일대를 다스리는 호족으로서 [[왕건]]을 도왔고, 황주 황보씨는 [[신정왕태후]]와 이후 [[천추태후]]까지 배출해 고려 초기 정국을 주도하는 주요 세력이었다. 고려시대부터 지금까지 사용하는 지명인 황주가 되었다. 이 황주는 [[황해도]]의 '황'에 해당되는 큰 도시였고, 이 이름이 조선시대까지 이어진다. [[일제강점기]]에도 [[대동강]]에 접한 겸이포(송림) 지역이 항만, [[제철]]로 크게 발달했다. 1931년 읍으로 승격한 겸이포(송림)는 읍이었음에도 인구가 가장 적은 [[부(행정구역)|부]](오늘날의 [[시(행정구역)|시]])인 [[경상남도]] [[진주시]]에 맞먹었을 정도(5만3천)였다. 하지만 겸이포(송림)가 해방과 함께 [[송림시]]로 분리 승격되면서 반토막이 났다. 광복 당시 황주군(송림 포함) 인구는 16만. 이북 5도 행정구역상 남쪽으로 [[봉산군]], 동쪽으로 [[서흥군]], 서쪽으로 재령강을 건너 [[안악군]], [[대동강]]을 건너 [[평안남도]] [[용강군]], 북쪽으로는 평안남도 [[중화군]]과 접한다. 한편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한때 [[평양시]]와 접하였으나 평양의 일부 지역을 쳐내면서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며, [[봉산군]]에서 승격된 [[사리원시]](인구 30만)와 남쪽에 접한다. ||<-20> '''부군면 통폐합''' || || 1912년 || 내동리[br]內洞里 || 내남리[br](內南里) || 내서리[br](內西里) || 내북리[br](內北里) || 외남리[br](外南里) || 색곤리[br](塞昆里) || 남천리[br](南川里) || 외중리[br](外中里) || 외서리[br](外西里) || 향교리[br](鄕校里) || 사직리[br](社稷里) || 예동리[br](禮洞里) || 덕명리[br](德明里) || 녹사리[br](綠沙里) || ||화동리[br](和洞里) || 상운리[br](上雲里) || 하운리[br](下雲里) || || || 1914년 ||<-2> 덕월리[br](德月里) ||<-2> 황강리[br](黃崗里) ||<-2> 적벽리[br](赤壁里) || 성남리[br](城南里) ||<-2> 벽성리[br](碧城里) || 제안리[br](齊安里) ||<-4> 예동리[br](禮洞里) || 천황리 ||<-2> 성북리[br](城北里) || 운봉리[br](雲峰里) || 신상리[br](新上里) || == 교통 == [[평부선]]의 [[황주역]]이 있고, [[송림선]]이 여기서 뻗어나간다. 황주군의 일부인 흑교는 교통 취락으로 평안남도 [[중화군]] 바로 남쪽에 위치하며, [[흑교역]]이 있다.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황해도의 하위행정구역)] ||<-2> {{{+2 황주군}}} [br] 黃州郡 / Hwangju Count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주군기.png|width=2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주군.jpg|width=100%]]}}}[br][* 지도에서 [[송림시]]가 겸이포읍으로 써져 있다.] || || 광복 당시 면적 || 822㎢ || || 이북5도 행정구역 || 1읍 11면 || * '''황주읍'''(黃州邑) * 관할 리 : __황강(黃崗)__, 덕월(德月), 동천(東天), 벽성(碧城), 성남(城南), 성북(城北), 신상(新上), 예동(禮洞), 운봉(雲峰), 적벽(赤壁), 제안(齊安) * 황강리에 읍사무소, 제안리에 군청이 있으며 [[경의선]] [[황주역]]이 있다. 황주역에서 [[송림시]] 방향으로 [[송림선]]이 분기해 나간다. 읍의 남쪽을 황주천(황주강)이 흐르고 있다. * 황주읍성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 * '''구락면'''(龜洛面) * 관할 리 : __덕우(德隅)__, 구락(龜洛), 구룡(龜龍), 미산(眉山), 박산(朴山), 영암(靈巖), 월이(月移), 인훈(仁訓), 장평(長坪) * 군내 동남단의 면. 최동단이자 면소재지 덕우리는 [[서흥군]] 소사면 남죽리와 함께 북한 행정구역상 [[연탄군]] 연탄읍에 해당된다. * 면 남부에 1374년 창건된 고찰 심원사(心源寺)가 아직 남아 있고, [[봉산군]]·서흥군과의 경계에 [[자비령]]이 있다. * '''구성면'''(九聖面) * 관할 리 : __석산(石山)__, 구림(九林), 서정(西井), 용궁(龍宮), 용두(龍頭), 죽대(竹垈), 청운(靑雲), 화동(和洞) * 동쪽 천주면과의 경계선에 [[경의선]] [[긴등역]][*A 광복 당시 및 1950년 국군의 수복 당시에는 없던 역이다.]이 있다. * '''도치면'''(都峙面) * 관할 리 : __도치(都峙)__, 가와(加瓦), 금송(金松), 노동(蘆洞), 대송(大松), 상산(商山), 성동(城洞) * '''삼전면'''(三田面) * 관할 리 : __내송(內松)__, 석천(石泉), 외송(外松), 용전(龍田), 철도(鐵島) * 군내에서 유일하게 [[대동강]]과 접하는 면으로, 강 건너는 [[안악군]] 안곡면, [[평남]] [[용강군]] 다미면이다. 면의 북쪽 경계에 황주천이 흐른다. * 철도리의 철도(鐵島)는 [[하중도]]로 과거 유배지로도 쓰였으나, 현재 위성사진으로 보면 황주군 쪽 강폭은 좁은 곳은 15미터도 안 된다. * '''영풍면'''(永豊面) * 관할 리 : __냉정(冷井)__, 냉천(冷泉), 동산(東山), 성재(成財), 신정(新井), 영풍(永豊), 이정(梨井) * [[송림선]] [[장천리역]]이 있다. * '''인교면'''(仁橋面) * 관할 리 : __소매(小梅)__, 능산(陵山), 묵치(墨峙), 문수(文秀), 상매(上梅), 여이(汝伊), 인제(仁濟), 창대(昌垈), 천파(川波) * '''주남면'''(州南面) * 관할 리 : __내함(內咸)__, 금산(金山), 대세(大稅), 소선(小仙), 순천(順天), 율목(栗木), 이우(梨隅), 정방(正方) * 역사학자 [[박은식]]이 이곳 출신이다. 경의선이 통과하지만 역은 없어 이웃 청룡면의 [[침촌역]]을 이용한다. 이우리에 [[황주비행장]]이 있다. * 정방리 정방산에 [[정방산성]], 정방약수, [[성불사]]가 있다. * '''천주면'''(天柱面) * 관할 리 : __내동(內東)__, 경천(敬天), 구이(九伊), 내교(內橋), 봉진(鳳進), 와동(瓦洞), 외두(外斗), 외상(外上), 외하(外下), 용계(龍溪), 이동(梨洞), 장좌(長佐) * 서쪽 구성면과의 경계선에 [[경의선]] [[긴등역]][*A]이 있다. * '''청룡면'''(靑龍面) * 관할 리 : __소관(小串)__, 구로(九老), 상비(上比), 인덕(仁德), 청룡(靑龍), 포남(浦南), 포북(浦北), 화산(華山) * [[경의선]] [[침촌역]]([[沈]]村驛)[* [[沈]] 자의 특성상 심촌역이라고도 한다.]이 있다. * '''청수면'''(淸水面) * 관할 리 : __금광(金光)__, 묵천(墨川), 석평(石坪), 원정(遠井), 인포(仁浦), 진교(榛橋), 청원(淸源), 토정(土井) * '''흑교면'''(黑橋面) * 관할 리 : __흑교(黑橋)__, 고정(高井), 금석(金石), 내로(內蘆), 빙량(氷梁), 용연(龍淵), 용정(龍井), 원동(院洞), 장사(長沙), 정수(淨水), 정자(亭子), 청천(淸川), 흑천(黑川) * [[경의선]] [[흑교역]]이 있다. == 명승고적 == '''월파루'''(月波樓) 月波樓의 一名은 湧金亭이라 하야 黃州城邑을 등지고 赤壁江沿岸에 놉히소사잇는 樓閣으로 高麗時代의 建物이며 그 建造에 잇서 藝術美를 極盡하야 자못 雄雅한 맛이잇고 附近에 風光이 明麗하야 西鮮唯一의 景勝地이다 == 여담 == * 삭간몰 미사일 기지가 여기 있다고 한다. 2016년 3월 10일 [[스커드]] 2발 발사, 2016년 7월 19일 스커드 1발 및 노동 2발 발사, 2016년 9월 5일 [[SCUD-ER]] 추정 미사일 3발 발사가 모두 이 근처에서 이루어졌다. * 대표적인 전래동화 [[심청전]]의 배경이 되는 곳이다. [[분류:황주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