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일권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두산 베어스 1차 지명선수)] ---- || '''황일권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등번호 1번}}}''' || || 홍길남[br](1990~1992) || {{{+1 →}}} || '''{{{#ffffff 황일권[br](1993~1994)}}}''' || {{{+1 →}}} || [[강병규]][br](1995~1999) || ||<-5> '''{{{#ffffff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등번호 14번}}}''' || || 박영균[br](1995) || {{{+1 →}}} || '''{{{#ffffff 황일권[br](1996~1997)}}}''' || {{{+1 →}}} || [[김영수(야구선수)|김영수]][br](1998) || }}} || }}} || ||<-2>
'''{{{+2 황일권}}}[br]黃一權''' || ||<|2> '''출생''' ||[[1969년]] [[6월 9일]] ([age(1969-06-09)]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상고]][* [[중앙고등학교 야구부|중앙고]] 시절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상고]]로 전학] - [[한양대학교 야구부|한양대]][* 1987학번] || || '''포지션''' ||[[내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1년/신인드래프트#s-2|1991년 1차 지명]] ([[OB 베어스|OB]]) || || '''소속팀''' ||[[한국화장품 야구단]] (1991~1992) [br] [[OB 베어스]] (1993~1997)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OB 베어스]]의 [[내야수]]. == 선수 경력 == 국가대표 1번 타자 출신이다. 한양대 시절 1년 선배 김동수, 동기생 이종택, 1년 후배 정민태, 2년 후배 구대성, 3년 후배 유지현 등과 함께 전국대회에서 수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경험했다. 1991 시즌을 앞둔 신인 지명에서 [[송구홍]]과 함께 나란히 등장한 서울출신 거물급 3루수로 화제가 되었는데, 당시 송구홍보다는 한수 아래라는 평가였기에, 주사위던지기 승부에서 이긴 [[LG 트윈스]]가 먼저 송구홍을 지명하고 OB는 황일권을 지명하게 된다. 그런데 이마저도 황일권이 억대 계약금을 요구하며 구단과 마찰을 일으킨 끝에 실업야구팀인 한국화장품과 계약하면서 OB 입단은 2년 미뤄진다. 실업야구에서 2년 연속 MVP를 수상하였다. 우여곡절 끝에 1993년에 당시로서는 거액이었던 1억원의 계약금을 받고 OB 베어스에 입단한 황일권은 오자마자 등번호 1번을 달고, 주전 3루수였던 [[임형석]]을 유격수로 밀어내며 개막전 3루수 1번 타자로 낙점되었을 정도로 구단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으나, 공격 수비 주루 모두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저조한 성적을 내며 주전에서 밀려났다.[* 마침 이때 임형석도 손가락 부상으로 경기에 나올 수 없게 되면서 유격수와 3루수 자리가 모두 비게 되었는데, 이 자리를 3루수는 [[안경현]], 유격수는 [[김민호(1969)|김민호]]가 메꾸면서 주전 자리를 확보하게 되었고, 이것이 안경현과 김민호가 이름을 날리기 시작한 계기가 되었다.] 1994 시즌에 다시 3루수 주전경쟁을 하여 [[안경현]]을 제치고 개막전 3루수 2번타자로 낙점되지만, 역시나 저조한 성적으로 다시 안경현에게 주전자리를 내주고, 1994년 시즌 도중에 현역병으로 입대했으나 요통으로 군복무를 다 마치지 못한채 제대하였다. 복귀 이후 별 이렇다 할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채 은퇴했다. 전통적으로 발야구를 자랑하는 베어스이지만, 93년과 94년에는 역대 최악 수준의 팀도루를 기록하였는데, 여기에는 [[김광수(1959)|김광수]] 은퇴 이후 [[정수근]] 등장 이전까지의 공백을 메우지 못한 황일권의 기대 이하의 성적도 한몫했다고 볼 수 있다. 멘탈이 상당히 약한 선수였다. 어쨌든 1차지명 선수라 집중 지도 받으면서 코치들이 넌 할수 있다 독려하면 그걸 스트레스로 받아들여서 견디질 못했다고 한다. 거기에 2년을 실업야구로 보내면서 기량 발전에도 저해가 온것 역시 실패의 원인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삼진}}}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1993 ||<|5> [[OB 베어스|OB]] || 63 || .192 || 20 || 5 || 0 || 1 || 6 || 10 || 3 || 8 || 6 || 27 || .288 || .269 || .557 || || 1994 || 11 || .214 || 6 || 1 || 0 || 0 || 1 || 3 || 0 || 2 || 0 || 7 || .267 || .250 || .517 || || 1995 ||<-15> 1군 기록 없음 || || 1996 || 49 || .185 || 17 || 2 || 0 || 2 || 8 || 4 || 1 || 8 || 6 || 29 || .290 || .272 || .562 || || 1997 || 16 || .167 || 5 || 0 || 0 || 0 || 1 || 2 || 0 || 1 || 0 || 9 || .194 || .167 || .360 || ||<-2> '''[[KBO 리그|KBO]] 통산''' [br] (4시즌) || 139 || .189 || 48 || 8 || 0 || 3 || 16 || 19 || 4 || 19 || 12 || 72 || .276 || .256 || .532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69년 출생]][[분류:1991년 데뷔]][[분류:1997년 은퇴]][[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덕수고등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