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 한글판 명칭 ||'''황야의 토네이도'''|| || 일어판 명칭 ||'''[ruby(荒野, ruby=こうや)]の[ruby(大竜巻, ruby=おおたつまき)]'''|| || 영어판 명칭 ||'''Wastleland Tornado'''|| ||<-2> 일반 함정 || ||<-2>마법 & 함정 존의 카드를 1장 파괴한다. 이 효과로 파괴된 카드의 컨트롤러는, 패에서 마법 / 함정 카드 중 어느 쪽이든 1장을 세트할 수 있다.|| [[유희왕 5D's]]에서 [[후도 유세이]]가 사용한 함정 카드. 작중에서는 [[유희왕 5D's/포츈 컵 편|포츈 컵 편]] 21화에서 [[보머(유희왕)|보머]]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실드 워리어]]를 미끼로 세트하고는 이 플레이로 강력한 견제 카드로 속여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의 효과를 강제해 보머의 패를 줄여놓을 속셈이였지만, 속셈을 간파한 보머가 직접 공격을 시도하는 바람에 자신의 [[리미터 브레이크]]를 터뜨려 패배를 모면한다. 그 때 보머의 패는 채리어트 파일이였기에 이 남겨놓은 패로 듀얼 중후반까지 유세이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참고로 듀얼을 관전하던 [[히무로 진]]은 유세이가 세트한 카드를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거울의 힘]] 같은 역전의 카드일 것이라 추측했지만 깔끔하게 빗나가버렸다.] 이후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 135화에서도 [[아포리아(유희왕 5D's)|아포리아]]와의 듀얼에서도 사용하여, [[기황신 마시니클∞|기황신 마시니클∞³]]에게 흡수당해 장착 카드로 취급되었던 [[슈팅 스타 드래곤]]을 파괴해 마시니클의 효과로 자신에게 오는 효과 데미지를 막기도 했다.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51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황야의 토네이도, 일어판 명칭=荒野(こうや)大竜巻(おおたつまき), 영어판 명칭=Wild Tornado, 효과1=①: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앞면 표시의 카드를 파괴한다. 그 후\, 파괴된 카드의 컨트롤러는 패에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세트할 수 있다., 효과2=②: 세트된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앞면 표시의 카드를 파괴한다.)] [[스타터 덱 2010]]에서 등장. [[트위스터(유희왕)|트위스터]]의 효과와 파괴당한 카드의 컨트롤러가 마법 / 함정 카드를 1장 세트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어찌보면 '''[[더스트 토네이도]]'''와 닮아보이는 카드. 세트된 상태에서 파괴당해도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파괴하는 보너스가 있기 때문에 [[블러핑]]이나 [[더블 싸이크론(유희왕)|더블 싸이크론]]도 가능. 단 강제 효과라서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카드가 없으면 자신 필드의 카드를 파괴해야 한다... 마법 & 함정 카드가 아니라 '''마법 & 함정 존''' 이기 때문에 필드 마법은 파괴할 수 없다는 것이 치명적인 단점이다.[* 마스터 룰 3에서 [[펜듈럼 몬스터]]가 펜듈럼 존에 따로 있을때는 이 효과로 파괴 못했지만, 신 마스터 룰에서는 펜듈럼 존이 양쪽 끝 마법 & 함정 존으로 바뀌어서 파괴가 가능하다.] [[저주받은 관]], [[쇠사슬 폭탄]], [[도둑의 연막탄]]과 더불어 [[스크랩(유희왕)|스크랩]] 덱에 넣어도 좋은 카드다. 스크랩 싱크로 몬스터들이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해야 효과를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카드를 파괴하면 1:1이 아닌 1:다 교환을 할 수 있다. 허나 저주의 관은 패 털이도 할 수 있어서 필드 앞면 파괴밖에 못하는 이 카드보다 우월하다. 물론 이 카드도 나름의 장점이 있다. 앞면 마법 / 함정 파괴 효과는 은근히 듀얼 중에 쓸만하게 쓰이고 저주받은 관은 상대가 선택해서 몬스터를 파괴하는 것에 비해 황야는 이 쪽이 선택해서 부순다는 점은 우월. 결론은 쓰기 나름이다. [[기어 타운]], [[매지컬 실크햇]] 등과 같이 채용해서 기어 타운을 부셔서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을 부르고 덤으로 매지컬 실크햇으로 필드에 세트. 파괴되었을때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부수는 변태적인 덱도 만들 수 있다.(매지컬 실크햇으로 기어 타운, 이 카드 선택 배틀 페이즈 종료시 세트 시킨 두 카드가 파괴되면서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을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로 앞면 표시 몬스터까지 파괴.) 다만 세트된 상태에서 몬스터에게 공격당할 경우 앞면 표시가 되기 때문에 효과가 불발한다. 하지만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매지컬 실크햇으로 불러주면 별 상관없다. == 관련 카드 == === [[더스트 토네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