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0000 α Dor [br]{{{+3 '''황새치자리 알파'''}}}[br]Alpha Doradus}}} || ||||<-3>{{{#!wiki style="margin: -6px -10px -6px" [[파일:황새치자리 알파.png|width=100%]]}}} || ||<-3> [* 황새치자리 알파(A,B 합밝기)의 모습] || ||<-3> {{{#FFFFFF '''관측 정보'''}}} || ||<|3> {{{#000 '''위치'''}}} || {{{#000 적경}}} || 04h 33m 59.778s || || {{{#000 적위}}} || −55° 02′ 41.91″ || || {{{#000 별자리}}} || [[황새치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000 '''형태'''}}} || A: A형 [[청색거성]] [br] B: B형 [[준거성]] || ||<-2> {{{#000 '''분광형'''}}} || A: A0IIIp [br] B: B9IV || ||<-2> {{{#000 '''거리'''}}} || 169 [[광년]][br] 51.7 [[파섹]] || ||<-2> {{{#000 '''반지름'''}}} || A: 3.5 [[R☉]] [br] B: 1.9 [[R☉]] || ||<-2> {{{#000 '''질량'''}}} || A: 3.33 [[M☉]] [br] B: 2.7 [[M☉]] || ||<-2> {{{#000 '''평균 온도'''}}} || A: 11,588 [[켈빈|K]] [br] B: 12,200 [[켈빈|K]] || ||<|3> {{{#000 '''운동'''}}} || {{{#000 시선속도}}} || 25.6±0.9 Km/s || || {{{#FFFFFF 공전 주기}}} || 12.1 [[년]] || || {{{#FFFFFF 이심률}}} || 0.80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000 '''겉보기 등급'''}}} || 3.26 ~ 3.30(A: 3.27, B: 4.3) || ||<-2> {{{#000 '''절대 등급'''}}} || -0.31 || ||<-2> {{{#000 '''광도'''}}} || A: 195 [[L☉]] [br] B: 70 [[L☉]] || ||<-3> {{{#FFFFFF '''명칭'''}}} || ||<-3> α Dor, 황새치자리 알파, CD−55 916, CPD−55 663, FK5 171, GC 5600, HD 29305, HIP 21281, HR 1465, SAO 233564, PPM 333592, CCDM J04340-5503AB, WDS 04340-5503AB || [목차] == 개요 == {{{+1 황새치자리 알파/Alpha Doradus}}} 황새치자리 알파(α Dor)는 [[황새치자리]]의 [[알파성]]인 쌍성계로 지구에서 대략 169 광년 떨어져 있다. == 상세 == 전체 겉보기 등급이 2.94일을 주기로 약 0.04만큼 증가했다 감소하는 [[사냥개자리 알파형 변광성]]으로, [[코르 카롤리]](사냥개자리 알파), [[알리오스]](큰곰자리 엡실론)나 [[알레샤]](물고기자리 알파)가 대표적인 예이다. 상술했듯이, 황새치자리 알파는 2개의 별로 구성된 쌍성계인데, 이중에서 황새치자리 알파 A는 A0IIIp의 분광형을 가진 [[청색거성]]으로 채층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규소가 포함되어 있어 규소 별(Si Star)로 분류된다. 황새치자리 알파 B는 B9IV형 [[준거성]]이며, 두 항성은 2 또는 17.5 [[천문 단위|AU]] 거리에서 12.1년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는 중이다. == 관련 문서 == * [[황새치자리]] * [[알파성]] * [[청색거성]] [[분류:항성]][[분류:알파성]][[분류:쌍성]][[분류:변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