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황남대총)] [[파일:황남대총 남분 은관모1.jpg]] [목차] == 개요 == 皇南大塚南墳 銀冠帽. 1973년~1975년 [[황남대총]] 남분 발굴 당시 출토된 [[신라]]시대 [[은|순은]] 관모.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황남대총 남분 은관모2.jpg]] [[황남대총 금맞새김판장식]], [[황남대총 남분 금동관모]]와 함께 전시된 모습. 높이 17.0㎝, 무게 181.4g.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은제 관모로, 제작 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서기 300~400년대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파일:황남대총 남분 은관모3.jpg]] 이 ‘[[고깔]] 형태의 관(冠帽)’은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를 활 모양으로 도려낸 은판 한 장과 오각형의 금동판, 그리고 작은 은판 각 한 장씩을 조합하여 만들었다. 앞의 것은 고깔의 몸통이 되며, 뒤에 것은 관꾸미개를 끼우는 부속이다. 꼭지를 도려낸 이등변삼각형의 은판은 아래를 밖으로 조금 접어 날카롭지 않게 테두리를 만들고, 볼록 장식과 [[번개]]무늬를 두들겨 도드라지게 나타내었다. 번개무늬 주변에 [[도금]]을 하고 달개를 달았으며, 테두리 바로 위에는 끈을 다는 구멍을 네 곳에 연이어 뚫었다. [[파일:황남대총 남분 은관모4.jpg|width=500]] 전체적으로 고깔은 정수리 주변만을 감싸는 크기이며, 늘어뜨린 끈을 턱 밑에서 묶어 고정하는 장식으로 착용하였다. 앞쪽의 오각형 판은 관꾸미개를 끼우는 포켓의 기능을 하였는데, 고깔은 달개를 달아 꾸몄고, 포켓은 화려한 용무늬로 꾸몄다. 은관모는 금관모에 비해 한단계 낮은 계급이 착용했던 것으로, 황남대총 남분에 묻힌 남성 왕이 북분에 묻힌 [[여왕]]에 비해 낮은 취급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 외부 링크 == * [[https://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67832|위키트리 : 국립경주박물관 명품100선 '은제관모']] [[분류:신라의 은제유물]][[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분류:경주시의 문화재]][[분류:황남대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