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복지시설]][[분류:조선의 제도]] [목차] == 개요 == 활인서([[活]][[人]][[署]])는 [[조선]]의 국가기관이다. == 설명 == 기원은 [[고려]] 초기부터 있었던 대비원(大悲院)에서 유래했다. [[태조(조선)|태조 이성계]]는 고려의 정책을 계승해서 동ㆍ서 대비원을 두어 병자와 빈민을 구휼하게 했다. 이후 [[태종 이방원|태종(조선)]]이 1414년, 활인원으로 고쳤고, [[세조(조선)|세조]]는 활인서로 다시 개칭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동ㆍ서 활인서를 두어 동활인서는 [[동소문]](당시 홍화문, 후에 [[중종(조선)|중종]] 때 혜화문) 밖에, 서활인서는 [[서소문]](당시 소덕문, [[영조]]때 소의문) 밖에 두어 병자와 오갈데 없는 자들을 거두어 치료하고 옷과 음식을 지급했다는 기록이 있다. 주된 임무는 세종실록의 기록대로 환자와 오갈데 없는 사람들을 거두어 치료하고 먹이는 의료기관 겸 복지기관의 역할을 수행했다. 하지만 설치된 곳을 보면 알수 있듯이 어디까지나 '''[[한양]] 도성(부터 [[성저십리]])안에 사는''' 병자와 오갈데 없는 자들에게만 해당되었다. 지방에선 주로 글을 알고 자본이 있는 지역 양반들이 의술을 익혀 의술을 베풀었다. 비슷한 기관으로 [[혜민서]]가 있었는데 혜민서가 일반 서민의 치료기관이었다면 활인서는 그보다 더 못한 자들을 위한 치료 복지기관이라는 차이가 있긴 하다. [[임진왜란]] 때 일시 그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기도 했으나 이후 다시 회복되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고질적인 재정난때문에 1709년에는 혜민서와 통폐합되었다. 일각에서 1743년에 폐지되었다고 알려지기도 했으나 그렇지는 않고 이후에도 유지되다가 최종적으로 [[고종(대한제국)|고종]] 19년인 1882년에 없어진다. == 대중매체에서 == * [[MBC]] 드라마 [[닥터 진]]의 주요 배경이다. 극 초중반부의 의료활동은 대부분 활인서에서 이뤄지는데, 조선에 창궐한 [[콜레라]]를 막기 위해 [[진혁]]이 활인서에 발령났기 때문. 다만 후반부에는 진혁이 아예 내의원 어의로 올라가 활인서의 비중이 조금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