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바다 관련 카드군)] || 한국판 명칭 ||'''환황룡'''|| || 일본판 명칭 ||'''幻煌龍'''|| || 영어판 명칭 ||'''Phantasm Spiral'''|| [목차] == 개요 == [[맥시멈 크라이시스]]에서 발매된 [[유희왕]]의 카드군. 일반 몬스터를 지원하는 구조로 [[더 다크 일루전]]에선 비주류 종족인 암석족 전체를 지원하는 [[트라미드]]가, [[인베이전 오브 베놈]]에선 [[듀얼(유희왕)|듀얼 몬스터]] 전체를 지원하는 [[화합야수]], [[레이징 템피스트]]에서는 [[스피릿(유희왕)|스피릿 몬스터]] 전체를 서포트하는 [[에스프릿]]에 이어서 이번에는 일반 몬스터 전체를 지원하는 이 테마가 나왔다. 듀얼 테마가 빠르게 진화하면서 잊혀지는 카테고리 테마들을 코나미 측도 인지하고 있기는 한 듯하다. 일러스트를 봐서는 [[해황(유희왕)|해황]]과 적대 중인 듯하며, 스파이럴이 포세이도라와 싸우는 것을 봐서는 포세이도라가 [[머메일]] 가이오어비스가 되기 전, 그러니까 [[염왕]]과 본격적으로 대립하기 전부터 치고받고 싸운 듯하다. 이후 웨이브와 천와의 일러스트를 보면 포세이도라를 이어 염왕과의 세력 다툼에도 끼어든 듯. 그야말로 삼파전. == 특징 == 일반 몬스터에 장착 마법을 장착 후 전투를 통해 환황룡 스파이럴을 소환하고, 장착 마법을 넘겨받아 연속 공격해 필드를 장악하며, 환황의 도시 퍼시피스를 이용한 마법 / 함정 서치와 패에서 함정을 발동하는 방식의 플레이를 하는 카드군이다. 고레벨 일반 몬스터를 중점으로 두기 때문에 [[스킬 드레인]], [[왕자의 간파]] 등 일반 몬스터 테마에 어울리는 강력한 서포트 카드들이 많은 게 장점이다. 마법 카드들은 핵심 카드인 환황의 도시 퍼시피스를 제외하면 모두 장착 마법 카드로, 일반 몬스터에게만 장착할 수 있다. 카드군 내 몬스터는 최상급 일반 몬스터인 환황룡 스파이럴 하나만 있는 관계로 덱 기믹이 굴러가기 위해서는 다른 범용 저레벨 일반 몬스터가 필요하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전투 관련 조건을 만족하면 패 / 덱 / 묘지에서 환황룡 스파이럴을 불러오며 그 몬스터에 장착된다. 함정 카드들은 발동 조건으로 자신 필드에 일반 몬스터만이 있을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필드 마법 "바다"가 존재할 경우 패에서도 발동할 수 있다. 환황의 도시 퍼시피스의 서치 효과가 함께하면 상대의 행동에 대응해 필요한 카드를 가져오고, 이를 패에서 발동해 상대를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다. 다른 "바다"로 취급되는 필드 마법을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하진 않으나 환황룡 덱은 퍼시피스의 어드밴티지 벌이에 상당히 의존하는 편이라 다른 필드 마법을 병행하는 건 애매하다. 10기 팩부턴 [[링크 소환]]룰이 도입되면서 현 듀얼 환경에서 엑스트라 덱에 의존하는 대다수의 덱들이 큰 타격을 입으며 간접 상향을 받게 되었다. 환황룡 덱은 구조상 효과 몬스터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덕분에 엑스트라 덱을 거의 봉인하다시피 하기 때문에 이러한 타격은 영향이 전혀 없기 때문. 이는 어드밴스 소환 테마인 [[제왕(유희왕)|제왕]]이나 [[진룡(유희왕)|진룡]]도 마찬가지. 그 덕인지 2017년 7월 이후 소수의 입상 덱들이 등장했는데, 대부분의 경우 패 말림 요소가 되며 투입을 해도 큰 이득이 없는 기존의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원래 컨셉인 환황룡 스파이럴이나 장착 마법은 버리고]] 몬스터는 [[메가로스매셔X]]나 [[가가기고]] 3장만을 채용, 환황룡 카드는 퍼시피스와 전와만 넣고 나머지는 각종 부스팅 카드와 메타 함정을 넣은 독특한 형식의 덱들이다. 가가기고의 경우, 메가로스매셔보다 공격력은 낮지만 여전히 1티어에서 노는 공룡 덱의 [[영혼을 먹는 오비랍토르]]를 회피하기 위해 채용하는 것. 다만 신마룰 2로 접어들면서 융합, 싱크로, 엑시즈는 [[링크 소환]] 룰에 구애받지 않도록 재정이 변경되면서 여러 덱들이 숨통이 풀려난 지금은 큰 영향력을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나 [[스킬 드레인]]과 궁합이 맞는 일반 몬스터 덱이라는 강점도 [[엘드리치(유희왕)|스드를 자기 몸처럼 다루는 테마의 등장]]과 더불어 테마 자체의 지원도 거진 끊긴 상태라 환황 테마는 자연스레 도태됐고, 지금은 재미용으로 가끔 등장하는 게 아니면 구경하기 힘든 테마가 됐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시크릿 팩 '창해의 패자'에서 관련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G 볼파크]] 주축 바퀴벌레 덱과 더불어 어느 정도 실전성이 있는 일반 몬스터 덱이지만, 오프라인에서 그렇듯 마스터 듀얼에서의 환황룡 역시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테마는 아니다. 스킬 드레인과 궁합이 좋다는 장점도 엘드리치라는 걸출한 테마가 있다 보니 다소 퇴색된다. 하지만 환황룡이 내세울 수 있는 성능 외의 장점이 있다. 바로 매우 저렴한 비용이다. 아무리 싼 덱이라도 SR 이상의 등급을 가진 카드가 카드군 안에서 하나쯤은 있기 마련인데, 환황룡은 테마의 모든 카드가 N~R이라 SR~UR 가루를 전혀 안 써도 덱의 기본 구조는 돌아간다. 함께 투입할 공격력 2000짜리 일반 몬스터들도 모두 R등급이다. 게다가 엑스트라 덱 활용이 어려운 테마라 자연스레 범용 엑스트라 덱 몬스터에게 쓸 가루도 아낄 수 있다. 따라서 오직 환황룡만을 보고 SR 이상의 가루를 쓸 일은 없다시피 하다. 정말 작정하고 짠다면 스킬 드레인 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범용 카드들마저 전부 N~R등급의 대체재로 채워넣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부담 없는 가격과 낮은 엑스트라 덱 의존도 덕에 이벤트 듀얼에서는 나름대로의 입지를 가지고 있는 테마이기도 하다. 엑시즈 및 싱크로 페스티벌에서는 핵심 카드들이 금제를 받은 엘드리치 대신 스드+환황룡 테마가 간간히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으며, N/R 이벤트에서는 파괴 카드인 전와를 제외하면 거의 제재를 받지 않아 크게 활약했다. == 일반 몬스터 == === 레벨 8 === ==== [[환황룡 스파이럴]] ==== == 마법 카드 == ||<#3258A6> '''{{{#ffffff "환황룡" 장착 마법의 공통 효과}}}''' || ||일반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환황룡의 스파이럴 ○○○"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 ||②: 장착 몬스터가 {{{#red (고유 조건)}}}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환황룡 스파이럴"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그 후, {{{#blue (고유 효과를 한다.)}}} || ||<-3><#3258A6>
'''{{{#ffffff "환황룡" 장착 마법의 공통 효과}}}''' || || 카드명 || ①의 효과[br]고유 효과 || ②의 효과[br]공통 효과 || || 환황룡의 스파이럴 크래시 ||①: 장착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②: 장착 몬스터가 {{{#red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환황룡 스파이럴"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blue 그 후,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골라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 || || 환황룡의 스파이럴 홀드 ||①: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②: 장착 몬스터가 {{{#red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환황룡 스파이럴"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blue 그 후,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 || 환황룡의 스파이럴 웨이브 ||①: 장착 몬스터는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②: 장착 몬스터가 {{{#red 전투를 실행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환황룡 스파이럴"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blue 그 후, 상대의 패가 있을 경우, 상대는 패를 1장 골라 버린다.}}} || === 환황룡의 스파이럴 크래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5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환황룡의 스파이럴 크래시, 일어판명칭=幻煌龍(げんおうりゅう)螺旋突(スパイラル・クラッシュ), 영어판명칭=Phantasm Spiral Crash, 효과외1=일반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외2="환황룡의 스파이럴 크래시"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장착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가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환황룡 스파이럴"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그 후\,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골라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 나선돌이라 쓰고 "스파이럴 크러시" 라고 읽는다. 일러스트는 환황룡 스파이럴이 뿔을 앞세운 돌진으로 [[해황룡 포세이도라]]의 꼬리 공격에 맞서는 모습. 1번 효과는 관통 효과 부여 효과. 2번 효과가 핵심인데, 장착시킨 몬스터가 전투 데미지를 주기만 하면 환황룡 스파이럴을 특수 소환한다. 특수 소환 범위가 패, 덱, 묘지 세 군데씩이나 되는 점이 매력적. 이렇게 소환한 환황룡 스파이럴에 이 장착 카드를 옮기는데 , 배틀 페이즈 중에 발동하는 효과라서 당연히 공격권이 주어진다. 상대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바꿔서 1번 효과와 연계해 관통 데미지를 높이거나 타점이 높아서 못 잡는 몬스터도 잡아낼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다른 장착 카드들과는 달리 강제 효과가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또한, 데미지 스탭 시에 환황룡이 나오기 때문에 소환 반응형 카드로도 제거할 수 없다. === 환황룡의 스파이럴 홀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6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환황룡의 스파이럴 홀드, 일어판명칭=幻煌龍(げんおうりゅう)螺旋絞(スパイラル・ホールド), 영어판명칭=Phantasm Spiral Grip, 효과외1=일반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외2="환황룡의 스파이럴 홀드"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환황룡 스파이럴"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그 후\,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나선교라 쓰고 "스파이럴 홀드" 라고 읽는다. 일러스트는 환황룡 스파이럴이 앞발로 [[해황(유희왕)|해황]]의 저격병을 붙잡은(홀드) 모습. 스파이럴 크러시가 관통 효과를 준다면, 이 카드는 타점을 늘려준다. 증가량이 500밖에 안 되는 건 아쉽지만 환황룡 스파이럴 기본 타점이 2900이란 점, 그리고 환황룡 같은 순수 일반 몬스터 덱에서 사용할 일반 몬스터는 [[푸른 눈의 백룡|타점]]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깡패]]들이 대부분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썩 나쁜 수치는 아니다. 2번 효과는 전투 파괴로 환황룡 스파이럴을 불러내 이 카드를 장착하면서 번 데미지를 먹이는 효과. 크러시를 장착하지 않아 관통 데미지를 주지 못했더라도 일단 파괴만 되면 효과를 쓸 수 있다. 여튼 전투에서 이기면 데미지 스탭 종료시에 환황룡 스파이럴을 불러내 그 환황룡 스파이럴에 장착된다는 메커니즘에는 차이가 없기 때문에 비슷한 감각으로 사용하면 될 듯. === 환황룡의 스파이럴 웨이브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44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환황룡의 스파이럴 웨이브, 일어판명칭=幻煌龍(げんおうりゅう)螺旋波(スパイラル・ウェーブ), 영어판명칭=Phantasm Spiral Wave, 효과외1=일반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외2="환황룡의 스파이럴 웨이브"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장착 몬스터는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환황룡 스파이럴"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그 후\, 상대의 패가 있을 경우\, 상대는 패를 1장 골라 버린다.,)] 나선파라고 쓰고 "스파이럴 웨이브"라고 읽는다. 일러스트는 환황룡 스파이럴이 회오리를 일으켜 염왕신수 가루도닉스의 화염 포효를 튕겨내는 모습.[* 여담으로 이 스파이럴 웨이브라는 기술은 [[스파이럴 드래곤]]의 [[플레이버 텍스트]]에서도 언급되는 기술이다.] 위의 두 장착 마법하고는 좀 이질적인데, 비트에 치중된 두 카드와는 다르게 이쪽은 내성 쪽에 치우쳐있다. 1번 효과는 1턴에 1번씩 전투 파괴 내성을 주는 효과. 2번 효과는 전투에서 살아남아 무사히 배틀 페이즈를 끝내면 환황룡 스파이럴을 꺼내 오면서 [[핸드 데스|상대의 패를 털어버린다]]. 하지만 배틀 페이즈 종료 시라는 느린 타이밍에 불러오는 데다가, [[암흑계]], [[마굉신]] 같은 덱에서는 효과를 발동하기 꺼려진다는게 단점. 특히나 타이밍 때문에 다른 장착 카드들과는 달리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와 [[유령토끼]]에 막힐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 다만 상기한 암흑계나 마굉신 덱 만나는 경우는 적고 오히려 전투 내성을 부여함으로써 안전하게 패 1장을 털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씨 스텔스 어택]]이 발동된 상태에서 스파이럴과 토큰이 특수 소환 효과를 쓸 수 있는 유일한 장착 카드라는 것 역시 이 카드만의 메리트. == 함정 카드 == ||<#3258A6>
'''{{{#ffffff "환황룡" 일반 함정의 공통 효과}}}''' || ||필드에 "바다"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의 발동은 패에서도 할 수 있다. || ||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일반 몬스터뿐일 경우, 상대 필드의 {{{#red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blue (고유 효과를 한다.)}}} || ||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blue (고유 효과를 한다.)}}} || ||<-3><#3258A6>
'''{{{#ffffff "환황룡" 일반 함정의 공통 효과}}}''' || || 카드명 || ①의 효과 || ②의 효과 || || 환황룡의 전와 ||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일반 몬스터뿐일 경우, 상대 필드의 {{{#red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blue 그 카드를 파괴한다.}}} ||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blue 그 몬스터가 장착 가능한 자신 필드의 모든 "환황룡" 장착 마법 카드를 그 일반 몬스터에 장착한다.}}} || || 환황룡의 침와 ||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일반 몬스터뿐일 경우, 상대 필드의 {{{#red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blue 그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 / 수비력은 1000 내리고, 효과가 무효화된다.}}} ||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blue 자신의 패 / 묘지에서 "환황룡" 장착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그 일반 몬스터에 장착한다.}}} || || 환황룡의 천와 ||①: 자신 필드의 "환황룡 스파이럴"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가 "환황룡" 장착 마법 카드를 3종류 이상을 장착한 상태로, 전투로 상대의 효과 몬스터 3장을 파괴했을 때, 자신은 듀얼에서 승리한다. ||②: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 === 환황룡의 전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9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환황룡의 전와, 일어판명칭=幻煌龍(げんおうりゅう)戦渦(せんか), 영어판명칭=Phantasm Spiral Battle, 효과외1=필드에 "바다"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의 발동은 패에서도 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일반 몬스터뿐일 경우\,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가 장착 가능한 자신 필드의 모든 "환황룡" 장착 마법 카드를 그 일반 몬스터에 장착한다.,)] 일러스트는 스파이럴 드래곤이 [[해황(유희왕)|해황의 저격병]]을 공격하는 모습, 이름은 환황룡인데 어째 일러스트에 있는 건 환황룡 스파이럴이 아니라 스파이럴 드래곤이다. 아래의 환황룡의 침와 일러스트를 보았을 때 이때는 파시피스를 보기 전이라 환황룡 스파이럴로 바뀌기 전이어서 그런 듯. 1번 효과는 프리 체인 파괴 효과. 더구나 바다가 존재하면 패에서도 발동할 수 있다. 단,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일반 몬스터'''만''' 있어야 쓸 수 있단 점을 주의. 2번 효과는 환황룡 장착 마법들을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에게 몰빵시키는 효과. 타점이 애매하게 밀려서 파괴될 위기에 스파이럴 홀드를 장착시켜 역관광시키고, 2번 효과를 추가로 발동시킬 수도 있고, 필드에 환황룡 스파이럴이 2장 이상이라면 이 카드로 공격이 끝난 환황룡 스파이럴의 장착 카드들을 다른 스파이럴에게 옮겨줄 수도 있다. 이름의 전와는 전화(戦火)와 발음이 같다. === 환황룡의 침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9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환황룡의 침와, 일어판명칭=幻煌龍(げんおうりゅう)浸渦(しんか), 영어판명칭=Phantasm Spiral Power, 효과외1=필드에 "바다"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의 발동은 패에서도 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일반 몬스터뿐일 경우\,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 / 수비력을 1000 내리고\, 효과가 무효화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환황룡" 장착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그 일반 몬스터에 장착한다.,)] 일러스트는 환황의 도시 파시피스에서 환황룡 스파이럴이 튀어나오는 모습. 1번 효과는 상대 몬스터를 반고자로 만들어버린다. 데미지를 주든 파괴를 하든 전투로 승부를 봐야 효과가 터지는 환황룡 장착 마법들을 서포트해 주는 효과로, 장착 카드를 주렁주렁 단 일반 몬스터로 반고자가 되버린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해서 효과 발동을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다. 일단 효과 무효 카드란 점에서 강력한 카드고, 공격력 / 수비력을 깎는 효과 덕에 데미지 스텝에도 발동할 수 있어 특히 강력하다. 2번 효과는 전와가 필드의 장착 마법을 몰아주는 것과 대칭되는, 패 / 묘지의 환황룡 장착 마법 하나를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 1장에게 달아 주는 효과. [[싸이크론]] 등에 대비해 패에 쟁여 두었던 장착 카드를 기습적으로 달아 주거나, 할 일을 마치고 묘지에 쌓인 장착 카드들을 재활용시켜 준다는 점에서 상당히 믿음직한 효과. 이름의 침와는 진화(進化)와 발음이 같다. === 환황룡의 천와 === [include(틀:유희왕/OCG/전투 외 승리)]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46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환황룡의 천와, 일어판명칭=幻煌龍(げんおうりゅう)天渦(てんか), 영어판명칭=Phantasm Spiral Assault, 효과외1=필드에 "바다"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의 발동은 패에서도 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환황룡 스파이럴"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가 "환황룡" 장착 마법 카드 3종류 이상을 장착한 상태로\, 전투로 상대의 효과 몬스터 3장을 파괴했을 때\, 자신은 듀얼에서 승리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일러스트는 환황룡 스파이럴이 바다 위로 뛰쳐나와 염왕신수 가루도닉스, 해황룡 포세이도라와 대치하는 모습. 오랜만에 등장한 '''특수 승리''' 카드. 당연히 만만찮은 성공 조건을 가지고 있다. 환황룡 스파이럴에게 3종류 이상의 장착 마법을 장착시켜서 상대 효과 몬스터를 혼자서 3마리 연속으로 털면 승리. 근데 이게 성공하면 굳이 특수 승리가 아니어도 상대 필드는 이미 초토화되었을 것이고, 수비 표시 몬스터를 털면서 스파이럴 크러시로 관통 데미지도 주었을 터이니 사실상 특수 승리가 아니어도 전투 데미지로 상대 LP를 털어서 이긴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2번 효과는 일반 몬스터의 파괴를 막아 주는 효과. 1번 효과의 승리 조건이 까다로운 관계로, 주로 이 효과를 쓰기 위해 덤핑하는 용도로 쓰게 될 것이지만 성공하면 '''즉시 승리''' 라는 효과가 어디 가는 게 아니기 때문에 기회를 잘 노려보자. 이름의 천와는 천하(天下)와 발음이 같다. == 관련 카드 == === 환황의 도시 퍼시피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5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환황의 도시 퍼시피스, 일어판명칭=幻煌(げんおう)(みやこ)パシフィス, 영어판명칭=Pacifis\, the Phantasm City, 효과외1=이 카드의 카드명은 룰상 "바다"로 취급한다.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효과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이 일반 몬스터 1장의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환황룡"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토큰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대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환황룡 토큰"(환룡족 / 물 / 레벨 8 / 공 2000 / 수 200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환황룡 테마의 핵심 카드.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와 [[망각의 도시 레뮤리아]]처럼 룰 상 카드명이 바다로 취급되는 필드 마법이다. 1번 효과는 1턴에 1번, 일반 몬스터를 소환하기만 하면 환황룡 카드를 서치해 오는 효과다. 직접 일반 몬스터를 소환해도 되지만, 2번 효과로 토큰을 소환해도 발동 조건이 갖춰진다. 다만 '1장의'라는 텍스트 때문에 [[펜듈럼 소환]] 등으로 일반 몬스터를 여러 장 소환했다면 발동되지 않는다. 2번 효과는 자신 필드에 토큰이 없을 때 상대가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면 공격력 / 수비력 2000짜리 토큰을 하나 소환하는 효과다. 이 효과는 1번 효과와는 달리 턴 제약이 없어서, 그 턴에 소환한 토큰이 사라졌다 해도 상대가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기만 하면 또다시 토큰을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토큰도 일반 몬스터로 취급되기 때문에, 상술했듯 1턴에 1번씩 이 과정에서 1번 효과 또한 같이 쓸 수 있다. 상대의 효과 발동에 대응해 토큰 하나와 환황룡 함정 카드 하나를 확보하고, 이 함정 카드를 패에서 발동해 상대를 방해하는 것이 환황룡 테마의 기본적인 전술이다. 하지만 이 카드의 어느 효과라도 발동한 턴에는 효과 몬스터의 소환이 불가능하다는 페널티가 주어진다. 물론 일반 몬스터를 주로 다루는 환황룡 특성상 아주 큰 문제까지는 아니지만, 여러 유용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병행하기 어렵다는 점은 아쉽다.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절대다수는 효과 몬스터이기 때문이다. 이 페널티로 인해 턴 제약 없는 2번 효과로 토큰을 계속 소환해 한 턴만에 상급 몬스터를 뽑아내는 전개는 실용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진짜 문제는 환황룡 테마 자체적으로는 이 카드를 서치할 수단이 없다는 것이다. 일단 카드명이 '환황'까지만 표기되어 있는 탓에 환황룡 카드군에 속하지 않거니와, 애초에 룰상 카드명이 '바다'로 취급되다 보니 표기상 카드명이 '환황룡의 도시 퍼시피스'라 하더라도 서치할 수 없다. 그래서 환황룡 덱은 [[테라포밍(유희왕)|테라포밍]], [[메타버스(유희왕)|메타버스]] 같은 범용 필드 서치 카드들을 필수적으로 투입해야 한다. 이 카드에 적용되는 특수 재정으로, 이 카드를 발동하는 것 자체로는 효과 몬스터 소환 불가 페널티가 적용되지 않는다. 카드의 발동은 효과의 발동을 포함하기 때문에 텍스트대로만 해석하면 그렇지 않아야 하지만 재정은 이와 반대로 내려져 있다. 만약 이 특수 재정을 반영해 에라타를 거친다면 '이 카드의 ①②의 효과를 발동하는 턴, 자신은 효과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정도로 텍스트를 바꿀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가상의 대륙인 파시피스 대륙이다. 태평양의 영칭인 퍼시픽 오션에서 따온 이름으로 폴리네시아의 공통된 문화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태평양에 있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고 한다.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환황룡은 자체적인 하급 몬스터가 없기 때문에, 순수 환황룡이라도 별도의 하급 일반 몬스터를 채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일반 몬스터를 주로 운용하는 덕분에 효과 몬스터를 카운터하는 메타 카드와의 궁합이 좋다. * 고공격력 하급 일반 몬스터 * [[메가로스매셔X]] 가장 무난한 선택지다. 화석조사로 서치가 가능하고, 환황룡 스파이럴과 물 속성 서포트를 공유할 수 있다. * [[환각룡]] 환황룡 스파이럴과 같은 환룡족이라 [[유려한 환랑]] 등의 서포트를 공유할 수 있다. * [[제네틱 워울프]] [[염무-「천기」]]로 서치가 가능하다. 이렇게 서치되면 공격력 100 상승은 덤. * [[버제스토마]] 타 테마 중에는 환황룡 함정 카드 발동 시 일반 몬스터로 취급해 묘지에서 꺼낼 수 있는 버제스토마와의 궁합이 좋다. 환황룡 토큰이 이미 있어도 퍼시피스의 서치 효과를 상대 턴에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버제스토마의 우수한 견제력은 덤이다. *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 엑스트라 덱이 장식이나 다름없는 환황룡에 아주 적합한 아드 확보 요원이다. 다만 대열파와 발동 타이밍이 충돌하는 관계로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 [[생명 단축의 패]] 등으로 대신해도 무방하다. * [[테라포밍(유희왕)|테라포밍]], [[메타버스(유희왕)|메타버스]] 환황의 도시 퍼시피스를 서치하기 위해 반 필수적으로 채용하게 된다. 대용품으로 [[플래닛 패스파인더]]가 있긴 하나, 이러면 그 턴 동안 퍼시피스의 효과 발동이 막히므로 주의해야 한다. * [[예상외]] 하급 일반 몬스터 하나를 덱에서 곧바로 불러온다. 퍼시피스가 있다면 환황룡 카드 1장도 추가로 가져올 수 있다. 단, 욕겸이나 생단패를 썼다면 그 턴 동안 특수 소환이 막히기에 덱 구성에 따라서는 [[화석조사]](메가로스매셔X), [[염무-「천기」]](제네틱 워울프) 같은 서치 카드로 대체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 * [[피시 소나]] 메가로스매셔X를 서치하면서, 퍼시피스가 있다면 스파이럴 리쿠르트 + 환황룡 카드 서치까지 기대할 수 있는 고성능의 전개 카드다. * [[대열파]] 과장 좀 보태자면 환황룡의 필살기나 다름없는 카드다. 다음 자신 드로우 페이즈까지 효과 몬스터의 소환을 완전히 틀어막는 무지막지한 효과를 가졌지만, 일반 몬스터를 운용하는 환황룡에게는 사실상 아무 타격이 없다. 첫 선턴에 날리는 것이 이상적이며, 이러면 한 턴을 거진 날로 먹을 수 있다. 하지만 상술했듯 유용한 부스팅 카드인 욕졸과 궁합이 안 맞는다는 게 아쉽다. * [[스킬 드레인]] 필드에 효과 몬스터를 내놓을 일이 거의 없는 환황룡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메타 카드다. * [[어전시합(유희왕)|어전시합]] 메가로스매셔X를 하급 몬스터로 골랐다면 무난히 쓸 수 있는 메타 카드다. * [[차원의 틈(유희왕)|차원의 틈]], [[매크로 코스모스]] 묘지를 견제하는 카드. 환황룡은 토큰으로 싸우기에 자신은 피해가 없지만 묘지가 봉인되는 건 상대에게는 치명적이다. * [[씨 스텔스 어택]] 퍼시피스가 없으면 급격히 무력해지는 환황룡 덱의 약점을 크게 보완해준다. 상대 효과 발동에 체인해서 토큰을 코스트로 사용하면, 체인 처리가 끝난 뒤에는 토큰이 없는 상태라 퍼시피스로 곧장 다시 토큰을 만들 수 있다. 사실상 코스트 없이 퍼시피스를 포함한 마법 / 함정들을 지킬 수 있는 것이다. 퍼시피스의 서치 효과가 발동되는 건 덤이다. 게다가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 묘지에서 바다를 가져와 발동시키는 능력도 있어 퍼시피스를 회수하는 기능도 있다. 한편 환황룡과 환황룡 토큰에게 강력한 비트 능력 또한 주어진다. 전투에 들어간 상대 몬스터를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바로 파괴해버리니 효과 파괴 면역이 없으면 환황룡을 전투로 상대할 수 없게 된다. 다만 이는 효과에 의한 파괴이기 때문에 스파이럴 홀드의 효과가 발동하지 않고,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하기 때문에 스파이럴 크래시의 효과 또한 발동하지 않는다. 강제 효과라 사용 여부를 제어할 수 없는 관계로 환황룡 장착 마법 카드들과는 어울리지 않는 감이 있다. * [[왕자의 간파]] 고레벨 일반 몬스터 전용 공짜 신의 심판이다. 환황룡 스파이럴이나 환황룡 토큰이 있어야만 쓸 수 있기에 조건을 다소 타긴 하나, LP 코스트 없는 신의 심판은 분명 매력적이기에 넣을 가치는 충분하다. * [[천위#천위무쌍의 권|천위무쌍의 권]] 효과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있으면 몬스터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의 발동을 막는 카운터 함정이다. 왕자의 간파처럼 몬스터의 소환은 막지 못하나, 하급 몬스터가 있어도 발동이 가능한데다 몬스터 효과를 막을 수 있다는 차별점이 있다. 한편 상대 효과로 파괴되면 엑스트라 덱에서 효과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 1장을 소환하는 보험용 효과도 있는데, 이 효과를 쓰기 위해서라도 엑스트라 덱에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넣어두는 게 좋다. 상대에 의존해야 하므로 노리고 쓰긴 힘들지만 성공하면 의외의 변수가 될 수 있다. == 관련 문서 == * [[바다(유희왕)]] * [[스파이럴 드래곤]] [각주]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환룡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