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환일의 요하네 -SUNSHINE in the MIRROR-)] [목차] == 개요 == [[환일의 요하네 -SUNSHINE in the MIRROR-]]의 설정에 대해 서술한 문서. == 장르 == [[마법]]과 [[스팀펑크]]가 공존하는 [[아케인펑크]] 세계관으로 묘사되는데 [[스마트폰]]이나 [[자동차]]를 비롯한 현대적인 기기들도 존재해서 정확한 장르를 정하기 애매하다. [[누마즈]]가 딱 봐도 판타지 분위기가 나는 마을인데 비해, 현실의 [[도쿄]]에 해당되는 대도시인 토카이는 현실의 도쿄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나온다. 오히려 토카이는 판타지 분위기보다는 [[사이버펑크]] 분위기가 더 강하게 풍긴다. [[성년]]은 16세이다. 애니메이션 1화 초반부 부분이 [[요하네(환일의 요하네)|요하네]]의 16살 생일날인데, 이때 성인이 됐다는 언급이 있었다. == 마도카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일의요하네 문자표 0621.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2255b, #1ab5ae)" '''환일의 요하네 마도카나표'''[* Q, V, X, Y는 미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단지_환일.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2255b, #1ab5ae)" '''[[환일의 요하네 -SUNSHINE in the MIRROR-/애니메이션|{{{#fff 애니메이션}}}]] 1화에 나온 [[하나마루(환일의 요하네)|{{{#fff 하나마루}}}]]의 전단지[br]한자, 알파벳, 환일 문자를 섞어 쓴 것을 볼 수 있다'''}}} || [[일본어]]를 쓰지만 [[가타카나]]/[[히라가나]]를 쓰지 않고 팬들 사이에서 '환일 문자'라고 불리는 독자 문자가 존재한다. 다만 생긴 것만 다르고 기본 50음도와 같다. 시리즈 초기에는 전부 음독해서 썼지만 코믹스판이 연재되면서 [[한자]]가 보이기 시작했다. [[환일의 요하네 -SUNSHINE in the MIRROR-/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에서는 환일 문자와 한자를 섞어 쓴다. 공식 생방송 및 블루레이 1권 북클렛에서 환일 세계관에서 쓰는 문자의 이름을 '''마도카나'''라고 발표했다. || 개요 ||마도카나 문자는 요하네가 살고 있는 자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표음문자이다. 자음과 모듬을 조합해서 문자로 구성한다. || || 역사 ||성립 연대는 불명. 단순히 '''마도카나'''라고 불리고 있다. '''마도카나 문자'''라고 하는 이름은, 고대에 사용되던 마법 「마음의 소리」에 유래한다. 마법진에 마력을 담기위한 기호를, 언어의 기술(記述)에 전용한 것이 시작이다. 한자가 전래되자, 지식인층 사이에서는 문장 중의 단어, 숙어를 한자로 표기하는등, 한자를 아테지(当て字)로 하는 훈독이 유행했다. 이윽고 두 문자는 조합해서 쓰게 되었다. || ||<-2> 원리 || || 모음 ||세계를 구성하는 5요소에 기초해 만들어졌다.(빛, 불, 땅, 물, 어둠) 고대 마도카나 문자에선 상형문자에 가까운 형태로 표기 되었지만, 시대가 흐름에 따라 간략화 되어 현재는 극히 간단한 형태로 표기되고 있다. || || 자음 ||마법을 보조하는 고대 마술기호에 기초하여 만들어졌다. 고대 마술기호는 원래 5요서를 섞거나 지향성을 부여하기 위해 돌이나 나뭇조각에 세겨서 쓰였다. 또한, 기호 자체에도 힘이 깃든다고 믿어져서 유적이나 고성 등에서는 부적이나 장식품으로 황금 코인에 고대 마술기호를 세긴 것들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현대 마도카나 문자에서는 기호의 형태가 간략화되어 있기 때문에, 마술적 효과는 없다. || || 숫자 ||고대 마술기호 중에는 수를 표현하는 것이 있어, 그것들은 그대로 고대 마도카나 문자의 숫자로 유용되었다. 어디까지나 숫자로 분류되어, 자모로서의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다. 고대 마도카나 문자의 숫자는 태생상 저마다 고대 마술기호로서의 의미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장면에서 중요시 되었다. 하지만 간략화된 현대 마도카나 문자에서는 그 습관은 없어지고 그 의미도 중시되지 않는다. 근세 시대 말기에 양산(洋算)과 함께 아라비아 숫자가 전래되어, 큰 자릿수를 표기하기 불편한 마도카나 문자에 의한 표기를 대신해 셈 숫자로 보급되었다. 하지만 셈 이외의 장면에서는 마도카나 문자의 숫자가 사용되는 경우도 많아 현대에서도 그 경향은 바뀌지 않는다.(※주: 한자 숫자도 있지만 숫자로서는 쓰이지 않는다. '일석이조', '칠면조' 같이 단어나 숙어의 일부에 쓰이는 경우만 있다) 현대에도 마법을 다루는 자는 고대 마도카나 문자의 숫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살아 있는 고대 마법기호로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0 || || 허브 || 빗자루 || 단검 || 펜 || 모자 || 양초 || 열쇠 || 장미 || 달 || 코인 || == 종족 == 현재까지 확인된 종족은 인간,[* [[요하네(환일의 요하네)|요하네]], [[하나마루(환일의 요하네)|하나마루]], [[치카(환일의 요하네)|치카]], [[요우(환일의 요하네)|요우]], [[카난(환일의 요하네)|카난]], [[리코(환일의 요하네)|리코]] 및 그 외 기타 등장인물들이 해당된다.] 요정,[* [[루비(환일의 요하네)|루비]], [[다이아(환일의 요하네)|다이아]]가 해당된다.] 마족[* [[마리(환일의 요하네)|마리]]가 해당된다.] 등이 존재한다. 또한 현실의 동물들과 닮은 동물들도 등장하는데, 설정 상 현실 세계의 동물의 친척 쯤 된다고 한다. 물론 [[환일의 요하네 -SUNSHINE in the MIRROR-/등장인물#시이타케|시이타케]]처럼 현실의 동물과 똑같은 동물들도 등장한다.[* 하지만 시이타케는 무려 ~~그 덩치에~~ '''닌자견'''이라 현실과는 약간 다르다.] == 도시 == === 누마즈 === 모티브는 [[누마즈시]]. === 토카이/대도시 === 모티브는 [[도쿄도]]. 토카이(トカイ)라는 이름은 [[도회]](都會, 都会)의 독음을 따온 것으로 보인다. == 러브카스톤 ==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러브카스톤]]이라는 미지의 광물이 존재한다.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스쿠페스]]에서 재화로 등장한 그것에서 이름을 따온 듯 하다. 마력원, 동력원으로 쓰이는 것 같이 묘사되며 [[사혼의 구슬|동물에게 붙일 경우 흉폭화하는 효과가 있다.]] 단, 동물이 흉폭화하더라도 살짝 건드리면 떨어지는 듯하다. [[다이아(환일의 요하네)|다이아]]를 포함한 행정국의 주요 임무 중에 흉폭화한 동물의 조사 및 처리가 포함되어 있다. 애니메이션 2화와 3화에서 흉폭화한 사슴들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러브카스톤의 부착 여부와 관계 없는 것으로 묘사되어서, 러브카스톤은 코믹스판의 독자적 설정이 될 가능성이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 환일의 요하네 -SUNSHINE in the MIRROR-, version=103, paragraph=3)] [[분류:환일의 요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