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ffd400 '''화의옹주 김씨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제국의 후궁(태조 ~ 고종))]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679, #403F95 20%, #403F95 80%, #373679); color: #FFD400" '''대한제국 태조의 후궁[br]{{{+1 화의옹주 김씨 | 和義翁主 金氏}}}'''}}}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태조의 후궁[br]{{{+1 화의옹주 김씨 | 和義翁主 金氏}}}'''}}} || || '''출생''' ||연대 미상 || || '''사망''' ||[[1429년]] [[1월 18일]] || || '''능묘''' ||미상 || ||<|2> '''직위기간''' ||'''{{{#gold 조선 화의옹주}}}''' || ||[[1398년]] [[1월 25일]] ~ [[1429년]] [[1월 18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미상 || || '''휘''' ||칠점선(七點仙) || || '''배우자''' ||[[태조(조선)|태조 고황제]] || || '''자녀''' ||'''슬하 1녀'''[br]장녀 - [[숙신옹주(태조)|숙신옹주]](淑愼翁主, {{{-3 ? ~1453}}}) || || '''봉작''' ||'''화의옹주(和義翁主)'''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태조(조선)|태조]]의 후궁. 이름은 칠점선(七點仙)으로 본래 [[김해]]의 [[기녀|관기]] 출신이었는데, 태조의 눈에 들어 후궁이 되었다. == 생애 == 1398년(태조 7) 화의옹주에 책봉되어 태조의 후궁이 되었다.[* 태조실록 13권, 태조 7년 1월 7일 을묘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701007_001|#]] ] 태조와의 사이에서 딸 하나를 두었는데, 바로 숙신옹주다. 태조는 늦게 얻은 막내 딸을 예뻐하여 땅과 집을 주고, 그곳에서 자손들이 영원히 살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숙신옹주가대사급성문(淑愼翁主家垈賜給成文)》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 1428년(세종) 화의옹주가 죽자, [[세종(조선)|세종]]은 1쌀과 콩 30석과 종이 80권을 부조하였다.[* 세종실록 42권, 세종 10년 12월 14일 신묘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012014_004|#]] ] [[분류:조선의 후궁]][[분류:1429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