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화웨이 한국 출시 기기)] ||<:> [[파일:Hua_MateBook_1.jpg|width=100%]] || || [[http://consumer.huawei.com/kr/tablets/matebook/|{{{#FFFFFF 한국 화웨이 Matebook 공식 사이트}}}]] || [목차] == 개요 == [[화웨이]]가 2016년 2월에 공개한 [[Windows 10]] [[태블릿 컴퓨터]] 겸 컨버터블 PC. == 사양 == === MateBook - Intel Core m3 === ||프로세서||[[인텔]] 6th [[인텔 코어 M 시리즈|Core m3]]-6Y30 Processor. [[인텔 스카이레이크 마이크로아키텍처|Intel Skylake-Y]] MP2 900 MHz [[CPU]], [[인텔]] HD Graphics 515 900 MHz [[GPU]]|| ||[[메모리]]||4 GB LPDDR3 SDRAM, 128 / 256 GB SSD|| ||[[디스플레이|디스]][br][[디스플레이|플레이]]||12.0인치 [[해상도/목록|DSXGA+]](2160 x 1440) RGB 서브픽셀 방식의 IPS TFT-LCD[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이동통신 미지원||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1+BLE, [[NFC]]||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배터리]]||내장형 Li-Polymer 4430 mAh (33.7 Wh / 7.6 V)|| ||<|2>[[운영체제]]||[[Windows 10|Windows 10 Home]]|| ||[[Windows 10|Windows 10 Pro]]|| ||규격||194.1 x 278.8 x 6.9 mm, 640 g|| ||색상[*A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골드''', '''실버''', '''그레이'''|| ||단자정보||[[USB 3.0|USB 3.1 Gen1]] Type-C x 1, 3.5 mm 단자 x 1|| ||기타||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지원|| === MateBook - Intel Core m5/m7 === ||<|2>프로세서||[[인텔]] 6th [[인텔 코어 M 시리즈|Core m5]]-6Y54 Processor. [[인텔 스카이레이크 마이크로아키텍처|Intel Skylake-Y]] MP2 1.1 GHz [[CPU]], [[인텔]] HD Graphics 515 900 MHz [[GPU]] || ||[[인텔]] 6th [[인텔 코어 M 시리즈|Core m7]]-6Y75 Processor. [[인텔 스카이레이크 마이크로아키텍처|Intel Skylake-Y]] MP2 1.2 GHz [[CPU]], [[인텔]] HD Graphics 515 1000 MHz [[GPU]] || ||[[메모리]]||8 GB LPDDR3 SDRAM, 256 / 512 GB SSD || ||[[디스플레이|디스]][br][[디스플레이|플레이]]||12.0인치 [[해상도/목록|DSXGA+]](2160 x 1440) RGB 서브픽셀 방식의 IPS TFT-LCD[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네트워크]]||이동통신 미지원||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1+BLE, [[NFC]] ||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 ||[[배터리]]||내장형 Li-Polymer 4430 mAh (33.7 Wh / 7.6 V) || ||<|2>[[운영체제]]||[[Windows 10|Windows 10 Home]] || ||[[Windows 10|Windows 10 Pro]] || ||규격||194.1 x 278.8 x 6.9 mm, 640 g || ||색상[*A ]||'''골드''', '''실버''', '''그레이''' || ||단자정보||[[USB 3.0|USB 3.1 Gen1]] Type-C x 1, 3.5 mm 단자 x 1 || ||기타||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지원 || == 상세 == [[화웨이]]가 2016년 2월 21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한 프레스 이벤트에서 공개한 [[Windows 10]] [[태블릿 컴퓨터]] 겸 컨버터블 PC이다. 또한, [[화웨이]] 최초의 [[Microsoft Windows|Windows 계열]] [[태블릿 컴퓨터]]이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서피스 프로 4]]나 [[갤럭시 탭프로 S]]와 유사한 각진 디자인을 따르고 있다. 기본 색상은 골드, 실버로 총 2종이다. 사양은 우선 프로세서로 인텔 6세대 코어 m3-6Y30, 6세대 코어 m5-6Y54 그리고 6세대 코어 m7-6Y75를 사용한다. [[인텔 스카이레이크 마이크로아키텍처|Intel Skylake-Y]] 듀얼코어 [[CPU]]와 [[인텔]] HD Graphics 515 내장 그래픽을 사용하며 자잘한 클럭 세팅에서 차이가 있다. Burst 클럭까지 올릴 때, 6세대 코어 m7-6Y75이 최대 3.1 GHz까지 [[CPU]] 클럭이 상승한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코어 m3 모델이 4 GB고 코어 m5 모델과 코어 m7 모델은 8 GB다. [[SSD]]역시 코어 m3 모델만 128 GB와 256 GB로 나뉘어지고 코어 m5 모델과 코어 m7 모델은 256 GB와 512 GB로 나뉘어진다. 하지만,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은 불가능하다. [* 다만 외산모델로 가면 정발기기와 다른사양이 나오기도 한다 (가령 M5/4GB/128GB)] 디스플레이는 12.0인치 DSXGA+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이다. 데이터 통신을 위한 셀룰러 이동통신은 지원하지 않으며 [[Wi-Fi]]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은 지원한다. 최고 속도 지원 규격은 [[802.11ac]]이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4430 mAh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치의 배터리 용량을 가졌으나 구체적으로 33.7 Wh, 7.6 V 규격을 가지고 있기에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의 배터리 용량과 동일하지않다.[* 당장 [[서피스 프로 4]]가 38.2 Whr로 비슷한 수준이다.] 또한, 고속충전 솔루션이 내장되어 있어 약 1시간 충전으로 6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 용으로 제공되는 ~~큼지막한~~ 직류전원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가 사용하는 직류전원장치[* 무게는 약 110 g 수준이라고 한다.]를 사용한다고 한다. 전면 [[카메라]]는 5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솔루션이 측면 상단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3.0|USB 3.1 Gen1]]까지 지원한다.[* 전송 규격인 USB 3.1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자 규격인 USB Type-C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그 반대의 경우는 강제되지 않기 때문에 단자 규격인 USB Type-C를 사용하면서도 USB 2.0을 지원할 수 있다. 다만, 여러 [[어른의 사정]]에 의해 단자 규격인 USB Type-C 사용이 강제되지 않았던 [[USB 3.0]]이 USB 3.1 Gen1로 격상되고 기존 USB 3.1은 USB 3.1 Gen2로 재명명되면서 혼선이 있기도 했다. 여기에 [[인텔 스카이레이크 마이크로아키텍처|Intel Skylake]] 기반의 프로세서에는 USB 3.1 Gen2를 위한 컨트롤러가 존재하지 않아 USB Type-C 단자 규격을 사용하면서 USB 3.1을 지원한다는 기기들은 거의 대부분이 USB 3.1 Gen1만 지원한다 볼 수 있다.] 문제는, [[맥북(2015)|2015년도 12인치 맥북]]처럼 충전 단자와 겸용으로 사용한다. [[Windows 10]]을 기본으로 탑재하며 소속된 제품군 중 Windows 10 Home 혹은 Windows 10 Pro를 사용한다. 후속작은 Matebook E이며, 국내 기기 전파인증까지 통과하였으나 전작의 판매도가 저조하였는지 국내는 발매되지 않았다. == 추가 기능 및 주변기기 == === 전용 키보드 커버 === [[마이크로소프트]]의 [[Microsoft Surface|서피스 시리즈]]나 [[Apple|애플]]의 [[아이패드]] 라인업과 같이 전용 키보드 커버가 존재한다. 글라스 트랙패드도 내장되어 있으며 키 트래블도 노트북 컴퓨터 수준의 경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또한, 방수도 지원한다고 밝혔다. === MatePen === [[파일:Hua_MateBook_MP_1.jpg]] 전용 스타일러스 펜이 별도 판매로 출시된다. 사실, [[Microsoft Windows|Windows 계열]] [[태블릿 컴퓨터]]에는 전용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해놓는 것이 기본적인 옵션이 될 정도로[* 그런 게 없더라도 일부 판매업자는 정전식 터치펜(...)을 추가구매 옵션으로 선택권을 준다.] 흔한 상황이기에 [[화웨이]]도 비슷한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블루투스]]를 통한 연동 방식이며 2048레벨의 필압도 지원한다. 또한 펜의 머리에는 레이저 포인터도 탑재되어 있다. 배터리는 충전식으로 최대 100시간의 배터리 타임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출고가는 $59로 책정되었다. === MateDock === [[파일:Hua_MateBook_MD_1.jpg]] 부족한 확장성을 보완하기 위한 확장 독이다. VGA 단자, HDMI Type-A 단자, [[USB 3.0|USB 3.1 Gen1]] Type-A 단자 2개, [[Gigabit Ethernet|이더넷]] 단자가 존재한다. 출고가는 $89로 책정되었다. 여담으로, [[https://youtu.be/VxDA5dRKLkg|언더케이지]]에서 맥북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지 테스트를 했다. 전 기기가 가능한 것은 아니고 특정 기기에서 VGA 단자, HDMI Type-A 단자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C타입 단자를 채택한 아이패드 프로 3세대, 아이패드 에어 4세대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 출시 == 출고가는 미국 기준. ||<:>프로세서 ||<-2><:>코어 m3 ||<-2><:>코어 m5 ||<-2><:>코어 m7 || ||<:>RAM 용량 ||<-2><:>4 GB ||<-4><:>8 GB || ||<:> SSD 용량 ||<)>128 GB ||<)>256 GB ||<)>256 GB ||<)>512 GB ||<)>256 GB ||<)>512 GB || ||<:>출고가 ||<)>$699 ||<)>$849 ||<)>$999 ||<)>$1,199 ||<)>$1,399 ||<)>$1,599 || 이상과 같이 책정되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OS 업그레이드 === [[Microsoft Windows|Windows 계열]] [[태블릿 컴퓨터]]이므로 하드웨어 제조사인 [[화웨이]]가 진행하는 펌웨어 업데이트와 소프트웨어 제조사인 [[마이크로소프트]]가 진행하는 [[Windows 10]] 관련 업데이트가 별도로 진행된다. == 논란 및 문제점 == * 화웨이 정품 충전기와 보조 배터리가 아닌 서드파티 악세서리의 경우, USB Power Delivery를 지원하지 않으면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해 화웨이는 가급적 정품 충전기 및 정품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라고 권장하고 있다. * 폴리오키보드 커버로 감싸놓았을때 커버에 전원키가 눌려 꺼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 각도 조절이 2단계 밖에 되지 않는 문제점과 키보드와 태블릿을 연결하는 자석의 힘이 약해 주의가 필요하다. === [[백도어]] 설치 의심 사례 === [[화웨이 메이트북]] 제품군에 탑재된 화웨이 자체제작 드라이버가 공격자가 몰래 시스템을 침입해서 완전히 장악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이 있다고 하며, 이를 MS의 [[윈도우 디펜더|마이크로소프트 디펜더]] 개발진들이 발견했다. 화웨이가 제작한 피씨매니저(PCManager)라는 툴에 탑재된 드라이버가 수상한 행동을 한다고 한다. (We traced the anomalous behavior to a device management driver developed by Huawei) 피씨매니저는 화웨이의 메이트북(MateBook)이라는 랩톱 제품군에 설치되어 있는 앱이라고 하여, 메이트북 제품군은 해당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한다. 화웨이는 MS의 이러한 보고를 접하고 업데이트를 발표하였다.[[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8127&kind=|#]][[https://securityaffairs.co/wordpress/82893/hacking/huawei-tool-flaws.html|#]][[https://www.microsoft.com/security/blog/2019/03/25/from-alert-to-driver-vulnerability-microsoft-defender-atp-investigation-unearths-privilege-escalation-flaw/|#]][[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419337|#]][[https://gigglehd.com/gg/mobile/4682190|#]] 이 화웨이 자체 제작 드라이버의 보안 취약점이 [[백도어]]와 [[https://www.tomshardware.com/news/microsoft-backdoor-huawei-matebook-driver,38924.html|상당히 유사(Backdoor-Like Flaw)하여]] 본 취약점으로 [[워너크라이]] [[랜섬웨어]]와 [[https://www.notebookcheck.net/Microsoft-spots-critical-flaw-in-Huawei-s-Matebook-device-manager-driver.415176.0.html|비슷한 백도어 공격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는 기존 랜섬웨어들과 달리, 윈도우 OS의 취약점을 이용하기 때문에 [[https://www.krcert.or.kr/ransomware/information.do|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기만 해도 감염]] 된다) 일각에서는 유사시 정보를 빼가기 위한 백도어를 심어 놓았는데 MS로부터 발각된후 업데이트로 발뺌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정교하게 만들어진 결함 (sophisticated flaw)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멀웨어]]에서 사용하는 기법을 소프트웨어 드라이버 설계에 사용한게 의심스럽다는 것이다.[[https://www.bbc.com/news/technology-47800000|#]][[https://www.theverge.com/2019/4/3/18293706/huawei-matebook-pcmanager-bug-nsa-microsoft-defender-vulnerability-malware|#]] 기술적인 방식이 [[NSA]]가 쓰던 DoublePulsar 백도어와 유사하다고 한다.[[https://www.scmagazine.com/home/security-news/vulnerabilities/microsoft-defender-advanced-threat-protection-atp-service-featured-in-windows-version-1809-discovered-an-nsa-inspired-backdoor-vulnerability-in-huawei-laptops/|#]][[https://www.computing.co.uk/ctg/news/3073228/microsoft-discovers-security-flaw-in-huawei-matebook-device-manager-driver|#]] DoublePulsar 백도어는 [[NSA]]가 개발한 해킹 방식을 해커들이 발견하여 섀도우 브로커라는 해커단체가 [[https://www.securityweek.com/hackers-are-using-nsas-doublepulsar-backdoor-attacks|2017년경 해킹툴로 배포]]하여 음지의 해커 세계에서는 알려진 해킹 방식이 되었다.[[http://www.itworld.co.kr/news/104322|#]] 해커단체가 뿌린 이 해킹툴이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로 악용되어 전세계 30만대 이상의 컴퓨터를 감염시킨 바 있다.[[https://tribune.com.pk/story/1423609/shadow-brokers-threaten-release-windows-10-hacking-tools/|#]][[https://www.theepochtimes.com/microsoft-finds-backdoor-in-huawei-laptops-that-could-give-hackers-access_2863926.html|#]] 화웨이는 중국 [[국가안전부]](MSS: Ministry of State Security) 산하 [[http://www.hauri.co.kr/security/boannews_view.html?intSeq=9969&page=95&article_num=9914|해커 그룹 보유섹(Boyusec)과 백도어를 심은 제품에 대한 공동 연구 개발]]을 하는 관계라고 알려져 있고, 화웨이라는 기업이 중국 정부의 전국민의 인터넷 사용을 감시하는 [[금순공정]]의 [[http://www.epoch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5541|개발 회사]]이기도 하며,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131017003|아프리카 유니온 건물에 백도어]]를 심어 5년간 해킹한 바 있고, 중국 국가정보법에는 반드시 정부의 정보작업을 지원및 협력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어서 의심할 수 있는 상황이다.([[화웨이/논란]] 참조)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를 발견하게 된 과정도, [[윈도우 10]]의 [[Windows 10/버전/Redstone 5|1809 업데이트]] 이후에 추가된 MS디펜더의 향상된 ATP 서비스 (Microsoft Defender Advanced Threat Protection service) 때문 이었다. 향상된 ATP 서비스가 이를 자동 탐지 검출해서 MS에 보고 했고, 이를 통해 MS의 기술진들이 알게된 것.[[https://arstechnica.com/gadgets/2019/03/how-microsoft-found-a-huawei-driver-that-opened-systems-up-to-attack/|#]] 이는 달리 말하면, 1809 이전 버전의 윈도우라면 심어놓은 기능을 유저들이 모르고 지나가거나 속아 넘어갈 수 있었다는 뜻이다. 만약 화웨이와 보유섹(Boyusec)팀이 1809 업데이트에 강화된 ATP 기능이 추가될 지 알았다면, 검출되게 설계 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 정식 발매명부터 악세서리 명칭까지 Mate의 뒤에 붙는 접미어는 붙여서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삼성 갤럭시]]나 [[Microsoft Surface|MS 서피스]]처럼 자사의 종합 스마트기기 브랜드로 키울려는 의도로 보인다. 다만, 접미어의 앞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하고 있다.(...) [[분류:태블릿 컴퓨터(윈도우)]][[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