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화성 미사일]][[분류:준중거리 탄도 미사일]][[분류:스커드]] [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0%, #FFF 10%, #FFF 12%, #ED1C27 12%, #ED1C27 88%, #FFF 88%, #FFF 90%, #024FA2 90%, #024FA2)" '''{{{+3 화성-7}}}'''[br][[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fff 북한}}}]] [[화성 미사일|{{{#fff 화성 미사일}}}]]의 한 종류}}}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7의 모습.png|width=100%]]}}}|| ||<-2> [[열병식]]에 등장한 모습 || || {{{#024fa2 '''북한 명칭'''}}} ||'''《화성-7》형''' || || {{{#024fa2 '''국방백서 표기'''}}} ||노동 || || {{{#024fa2 '''KN 코드'''}}} ||없음 || || {{{#024fa2 '''이표기'''}}} ||노동-1호, 노동-2호[* 각각 영어로 Nodong 혹은 Rodong을 사용하여 ND-1/RD-1, ND-2/RD-2로 표기하기도 한다.] || || {{{#024fa2 '''최대사거리'''}}} ||1,300 km[* 강원도 평강군에서 쏜다고 가정할 경우 대한민국, 중국(베이징, 정저우, 하얼빈, 원저우), 일본(나하, 오사카, 도쿄, 삿포로),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달네고르스크, 하바롭스크, 자비틴스크), '''몽골''' 일부(할힌골)가 사정권에 들어간다.] || ||<-2> [[화성-7#s-2|{{{#024fa2 '''[상세 제원 보기]'''}}}]] || [목차] [clearfix] == 개요 == '''화성-7'''은 북한의 액체연료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노동 미사일'''이라는 명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년 가까이 '노동'이라고 불러왔기 때문에 우리 언론이나 합동참모본부에서도 화성-7 보다는 노동으로 호칭한다. 사정거리는 1,300km 정도로 [[주일미군]] 기지가 주 타격 되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제원 == ||<-2> '''{{{#fff 화성-7 제원}}}''' || ||'''사거리'''||1,300km|| ||'''북한 명칭'''||화성-7|| ||'''국방백서 표기명'''||노동||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노동미사일 사거리.jpg|width=100%]]}}} || || 화성-7의 사거리 || == 상세 == 북한이 개발한 탄도 미사일 중 하나. 최초로 발견된 지명을 따서 명칭을 부여하는 관례에 따라, [[함경북도]] [[명천군]] 하우면 노동리에서 '''노동(蘆洞)'''이라는 명칭을 따왔다. 북한측 명칭은 '화성-7'이며 명칭과 관련해서는 하단 항목을 참조할 것. [[스커드]]보다는 긴 사정거리를 가지고 있어, [[북한]]은 유사시 [[주일미군]] 기지를 향해 이 미사일을 발사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초 시험 발사 이후 노동 1호, 노동 2호 등으로 호칭하기도 했다. 허나 이는 1차 발사때의 미사일을 '노동 1호', 2차 발사때의 미사일을 '노동 2호'로 부른 것이다. 즉 우리측 편의를 위해 그런 것이고 본래 하나의 미사일이다.[* 애초에 북한은 미사일 제식명칭을 '호'가 아닌 '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북한에서 [[화성-10]]으로 불리는 무수단을 노동 미사일의 개량형태로 파악, 노동-B라고 표기하기도 했다.] 개발중인 입장과 개발중인 적국의 장비를 파헤치려는 입장에서 같은 장비를 두고 서로 다르게 부르는게 당연한 일이다. 프로토타입과 최종 양산형의 차이라고 보면 된다. === '로동'이 아닌 '노동' 미사일 === 지명 '노동'을 따온 것임에도 명칭에 관한 혼란이 제법 있다. 앞서 언급했듯, 지명에서 따온 것이지 [[노동|로동(勞動, labour)]]이 아니다. 북한이 하도 로동이라는 단어를 좋아하기에[* [[로동신문]], [[조선로동당]] 등] 오해할 법도 하다. 비슷하게 [[대포동 미사일]]도 마찬가지로 [[동해위성발사장]]이 있는 지명에서 따 온 것이고 [[대포]]와 상관없다. 이 명칭이 처음 쓰인[* 정확히 말하면 해당 글의 저자가 '확인한 바' 혹은 '알기로는' 최초의] [[CIA]] 보고서에서는 아예 음절 단위로 띄어쓰기를 해서 'NO DONG'이라고 되어 있다고 한다. 이는 [[NGA]]의 북한 지명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것. 또한 이는 미군이 쓰던 지명으로, [[문화어]]가 아니다. 따라서 외국 문헌이나 보도에서 이를 'Rodong Missile' 혹은 약칭 'RD'로 표기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틀린 표기다. [[https://www.armscontrolwonk.com/archive/1201889/dprk-missile-designations/|CIA 보고서 및 이 주장을 담고있는 글]] 따라서 영어 표현 Nodong을 우리말로 옮기는 것에 있어서도 '로동'을 쓸 이유는 전혀 없다. 더욱이 북한이 이 미사일을 굳이 '로동 미사일'로 호칭한 적도 없다. 이후 이 NO-DONG 이라는 네이밍은 [[화성 미사일]]의 '[[화성]]'처럼 시리즈 명칭으로 쓰여 [[무수단 미사일]]을 NO-DONG-B, [[KN-08]]을 NO-DONG-C, [[KN-14]]를 NO-DONG-D라고 부르기도 한다. [[KN 코드]]도 있고, 화성 미사일의 공식 명칭도 공개된 상황이라 이제 와서 큰 의미는 없다. === 화성-7 명칭 확인 === '노동'이라는 이름이 가지는 어감의 임팩트가 강렬한데다가, '화성-7'이라는 공식 명칭이 단 한번도 직접적으로 공개된 적이 없기에 '노동 미사일'이라는 이름이 훨씬 자주 입에 오르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 미사일의 공식 명칭은 화성-7이 맞다. 2017년 경 화성-7의 정체를 두고 [[트위터]] 상에 논란이 일자 한 네티즌이 본인이 입수한 TEL의 고화질 사진을 트위터상에 공개하였다. [[https://mobile.twitter.com/stoa1984/status/866708035430789120?p=v|#]] 아래가 해당 이미지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7 명칭확인.jpg|width=100%]]}}} || || 화성-7 TEL의 김정일 찬양 명판 || || [[김정일]][* 김정일 찬양 문구와 함께 '김정일' 부분만 폰트 크기를 키워놓은 것이 북한의 [[우상화]] 행태를 잘 보여준다.] 동지께서[br]보아주신 화성-7형 [[이동형 미사일 발사대|발사대]] || [[화성-13]]도 마찬가지로 TEL에 붙어있는 김정은 찬양 명판으로 제식명칭이 확인된 바 있다. [[:파일:화성-13 명판 확인.jpg|화성-13의 명판 이미지 파일]] 참조. 그럼에도 [[김정은]] 시대 들어 미사일의 제식명칭이 공개적으로 언급된 것과 비교해서 이 미사일은 '화성포병부대들'의 '[[화성 미사일|화성포]]' 등과 같이 뭉뚱그러 표현되고 있다. === 탄두 모양 변경 === 개발 과정에서 탄두가 원뿔형에서 젖병[* 영어로는 삼각뿔(triconic)이라고 한다. 우리 연구자나 언론에서는 '젖병'이라는 단어가 훨씬 직관적이기에 젖병으로 서술한다.] 모양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https://www.globalsecurity.org/wmd/world/dprk/images/irnk-nk-ir-no-dong-a-evolution.jpg|#외국 군사 매체의 영문 분석글]],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3030412928|#한경 보도]]) 미사일 전문 기고가들의 스케치나 분석을 보면 원뿔형 노동 미사일을 'NO-DONG-A', 젖병 모양 탄두의 노동 미사일을 'NO-DONG-A1'이라고 부른다. 2017년, [[화성-14]] 축하연에서 [[북한의 미사일 개발]] 상황을 보여주는 사진들을 공개했다. 그런데 이 중 [[김정일]]이 '-7호' 미사일을 둘러보는 사진도 있었다. 뒤로는 원뿔형 탄두도 보인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미상 7호 미사일과 김정일.png|width=100%]]}}} || || 북한 선전 영상에 등장한 미상 '''-7호''' 미사일과 [[김정일]] || 사진 속 미사일이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화성-7인지, 그것의 프로토타입인지, 아니면 다른 'XX-7호' 미사일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사진속 미상 '-7호' 미사일의 검은색 원뿔형 탄두를 'NO-DONG-A'로 보고, 이를 북한이 '화성-7호'로 불렀다면 설명 자체에 모순은 없다. 혼란이 발생한 것은 북한이 젖병 모양 탄두 형태의 화성-7을 [[열병식/북한|열병식]]에서 먼저 공개했기 때문이다. 초기형 사진이 우리에게 2017년에 공개된 셈이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노동1호와 노동2호.png|width=100%]]}}} || || 이런 추론을 바탕으로 상정된 '노동 1호'와 '노동 2호'[* '노동 1호', '노동 2호'의 네이밍을 [[대포동 미사일]]의 1호, 2호처럼 발사 순서에 따라 붙이기도 하지만, '노동 1호'를 원뿔형 탄두, '노동 2호'를 젖병형 탄두에 대응시키기도 한다. NO-DONG-A의 표기는 [[화성-10]]을 NO-DONG-B로 표기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 || 그런데 이것 말고도 외국 전문가들의 추론에 힘을 실어주는 증거가 있으니, 그것은 바로 [[이란군]]이다. 후술하겠지만 노동 미사일은 '샤하브-3'라는 이름으로 이란에 실전 배치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샤하브-3'과 '샤하브-3B'의 탄두가 형상이 다르다. ||<-3>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샤하브 미사일 탄두 변화사.jpg|width=100%]]}}} || ||<-3>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샤하브 미사일 탄두 변화사 || || 샤하브-3 || 가드르-110 || 샤하브-3 || || 원뿔형 || 젖병형 || 신형[* NRV는 신형 재진입체 '''N'''ew '''R'''eentry '''V'''ehicle] || 이 중 [[샤하브-3]](왼쪽)이 'NO-DONG-A', 샤하브-3B/[[가드르-110]](가운데)가 'NO-DONG-A1'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 아래 '기술 수출' 항목에서도 다시 확인해 볼 수 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 표기법 1 || 표기법 2 || 탄두 형상 || 유사 미사일 || 북한 표기법 || || 노동 1호 || NO-DONG-A || 원뿔형 탄두 || [[샤하브-3]] ||<|2> 화성-7호[br]→화성-7형 || || 노동 2호 || NO-DONG-A1 || 젖병형 탄두 || [[가드르-110]] || === KN 코드 관련 === 아울러 이 미사일이 [[KN-05]]라는 것은 잘못된 정보이다. 버젓이 KN-01 항목에 KN-05는 KN-01의 공대함 개량형이라고 2015년부터 적혀 있는 상황. [[https://news.nate.com/view/print?aid=20160913n31953|#KN-05에 대한 제대로 된 언급이 있는 기사]] 2016년에 SCUD-노동 순서로 KN 코드를 소개한 잘못된 [[KBS]] 영상 이후 이런 설이 퍼진듯 하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261707|#]] === TEL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노동 미사일 TEL.jpg|width=100%]]}}} || || 화성-7의 TEL || [[이동형 미사일 발사대|TEL]]은 옆에서 봤을때 바퀴가 5개로 배열되어 있다. 옆에서 볼 때, 노동보다 사거리가 긴 [[화성-10|무수단]]은 TEL 바퀴가 6개고, 더 짧은 SCUD는 바퀴가 4개인 것이 특징. 2016년 군 관계자는 초기 노동 TEL이 바퀴가 4개인 것도 존재했다고 밝혔다. [[https://m.segye.com/view/20160906003321|#]] === 도색 === 지금까지 3~4가지 도색이 확인되었다. 다양한 편. * 검정색 도색 * 앞서 언급한 미상 '-7호' 미사일을 이 미사일의 프로토타입으로 볼 경우이다. * 회백색-빨간색 도색: 상단 프로필 표에서 확인 가능하다. * [[카모]] 도색: 2016년 7월 19일 발사에서 식별되었다. * [[가우리-1|가우리 미사일]] 유사 도색: 2013년 북한 선전매체 보도에서 [[김정일]]이 쳐다보는 미사일로 등장했다. 해당 시설물은 [[자강도]] [[전천군]]의 65호 공장이다. 추후 [[화성-14]] 제2차 시험발사지로 이용된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노동 미사일 가우리 유사 도색.png|width=100%]]}}} || || [[가우리-1]] 미사일처럼 점박이에 테두리가 쳐 있는 도색 형태 || == 주요 시험 발사 == 북한은 아래와 같이 여러 차례 화성-7의 시험발사를 했다. 이 중 명확하게 '발사시험'→'다음날 사진공개'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은 2016년 7월 19일 시험발사가 유일하다. === 초창기 시험 발사 === * '''2006년 7월 5일''': [[화대군]] [[무수단]]에서 [[대포동 미사일|대포동 2호]] 발사에 맞추어 교란목적으로 발사하였다. * '''2009년 7월 4일''': [[안변군]] 깃대령에서 발사했다. 역시 [[독립기념일(미국)|미국 독립기념일]]에 맞춰 발사하였다. * '''2014년 3월 26일''': 오전 2시 35분과 2시 45분에 [[숙천군]]에서 동해상으로 2발 발사했다. 사거리가 650km가 나오도록 고각발사했다.[[https://cm.asiae.co.kr/article/2014032610123078830|#출처]]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3/26/2014032603319.html|JADIZ에 탄착했다.]] Open Nuclear Network는 이것이 2009년 이후 5년만의 화성-7 발사라고 평가했다.[* 보고서 'ONN's Nuclear Risk Reduction Approach for the Korean Peninsula' ] 또한 처음으로 [[TEL]]에서 발사한 것이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uK5IwXEkad8|#]] * '''2016년 3월 18일''': 오전 5시 55분, 숙천군에서 2발을 발사했으나 1발은 동해상에, 1발은 모두 공중 폭발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60318046251014|#]] === 2016년 7월 19일 발사 === 2016년 7월 19일' [[황해북도]][* 우리 [[이북5도]]식 행정구역으로는 황해도] [[황주군]] [[개성평양간 고속도로]] 상에서 발사했다. 노동 미사일(화성-7) 2발, [[스커드]] 미사일(화성-6) 1발이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160719019554014|#]] 처음에는 미군 전략사령부가 처음에는 노동 미사일 1발, 스커드 미사일 2발이라고 발표했으나, 다음날인 20일에 [[로동신문]]에 상세 사진이 공개되면서 그 추정이 깨졌다. [[http://biz.heraldcorp.com/military/view.php?ud=20160722000479&cpv=1|#]] [[https://www.yna.co.kr/view/AKR20160720015200014|#]]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6년 7월 19일 북한 미사일 발사.jpg|width=100%]]}}} || || 2016년 7월 19일 북한 미사일 발사[br]오른쪽의 두 발이 노동 미사일이다. || === 2016년 8월 3일 발사 === 2016년 8월 3일 7시 40분 경, [[황해남도]] [[은률군]] 일대에서 2 발을 발사했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100&key=20160804.22002201215|#]] 첫번째 발사된 미사일은 공중 폭발했고, 10분 뒤 발사된 미사일은 또다시 일본 EEZ에 탄착했다고 한다. [[https://www.ytn.co.kr/_ln/0101_201608031700284004|#]] 발사직후 사진 공개는 없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일자미상 화성-7 발사 사진.png|width=100%]]}}} || || 일자미상의 화성-7 발사 사진 || [[화성-14]] 발사 성공 기념 축하연에서 화성-7 발사 사진이 추가로 공개되었는데, 해가 떠 있는 상황이다. 3월 18일 오전 5시 55분에 해가 떠있었을리는 없으므로, 이 2016년 8월 3일 7시 40분 발사로 추정된다.[* 물론 우리 군이 스커드로 판단한 미사일 중에 하나거나, 아예 탐지하지 못한 미사일 발사였을 수도 있긴 하다.] 여담으로 미사일 도색이 바로 뒤에서 설명할 이란의 탄도미사일과 판박이다. == 북한의 기술 수출과 파생형 == [include(틀:노동-샤하브 미사일군)]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노동-샤하브 미사일군 스케치.jpg|width=100%]]}}} || || 노동-샤하브 미사일군 미사일들의 스케치 || [[파키스탄]]의 가우리 미사일과 [[이란]]의 샤하브-3 미사일이 바로 이 노동 미사일을 토대로 개발된 것이다. 그리고 이를 개량한 [[가드르-110]]도 화성-7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란에서는 [[혁명 수비대]]가 운용한다. 미국의 대표적인 적성국[* [[조지 W. 부시|부시 행정부]] 시절에는 '악의 축'이라는 표현으로 묶이기도 했다.] 이란과 북한이 동시에 운용하고 있으니 요주의 대상이 아닐 수가 없다. 외국 미사일 연구가는 야예 'Nodong-Shahab Missile Family, 노동-샤하브 미사일 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blogfiles5.naver.net/ghauri-IIhatf5-Strategic-Missile-Group.jpg|width=100%]]}}} || ||<#01411C> [[파키스탄군|{{{#fff 파키스탄군}}}]]{{{#fff 의 가우리-1 미사일}}} || 이어 2023년에는 [[정찰 위성]] 발사 준비를 위한 과정에서 [[북한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로 개량되기도 했다. == SCUD-ER과의 혼선 == 2016년 9월 5일, 북한이 [[SCUD-ER]]을 시험발사한 것을 두고 군 당국은 처음에는 '노동 미사일 개량형'으로 발표하였다. 하지만 탄두부의 모양이나 TEL의 바퀴 수 등이 SCUD에 더 유사했고, 이 판단을 번복하게 되었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170307000148|#]] 즉, 발사된 미사일은 이 미사일의 개량형이 아니라, SCUD의 사거리 연장 형태로 결론 내린 것. 상단 틀의 국방백서 이미지에도 SCUD-ER로 표기되어 있다. == 여담 == * 여담으로 [[스커드]]와 [[ICBM]] 등 다양한 북한 미사일에 대한 항목에 비해 업데이트가 늦었다. * 앞서 언급했듯이 이름이 이름인지라, [[다이나믹 로동]]과 엮이기도 했다. 2021년 들어서는 식은 [[밈]] * [[일본]]에서 [[대포동 미사일]]을 '노동 1호'라 하여 프라모델로 만든 적이 있다. 양산된 프라모델인지 단순 [[짤방]]인지는 불명확하나, 2000년대 노동 미사일과 대포동 미사일을 혼선한 탓에 벌어진 해프닝이다. 그도 그럴것이 열병식에 [[SCUD]]만 내놓고 노동과 무수단 등은 후에 가서야 공개했기 때문이다. [[파일:attachment/대포동/4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