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0%, #FFF 10%, #FFF 12%, #ED1C27 12%, #ED1C27 88%, #FFF 88%, #FFF 90%, #024FA2 90%, #024FA2)" '''{{{+3 화성-11나}}}'''[br][[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fff 북한}}}]] [[화성 미사일|{{{#fff 화성 미사일}}}]]의 한 종류}}}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1나 2차 시험 발사.jpg|width=100%]]}}}|| ||<-2> 2019년 8월 16일, 제2차 시험발사 모습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1나의 모습.png|width=100%]]}}} || ||<-2> 2020년 [[조선로동당]] 창당 75주년 [[열병식]]에 등장한 모습 || || {{{#024fa2 '''북한 명칭'''}}} ||'''《화성-11나》형''', '''《화성포-11나》형''' || || {{{#024fa2 '''국방백서 표기'''}}} ||19-4 SRBM, 에이태큼스형 전술유도탄 || || [[KN 코드|{{{#024fa2 '''KN 코드'''}}}]] ||KN-24 || || {{{#024fa2 '''이명'''}}} ||[[선군 ATACMS]], [[북한판 에이태킴스]] || || {{{#024fa2 '''최대사거리'''}}} ||450km[* 강원도 평강군에서 쏜다고 가정할 경우 '''대한민국 전역'''(제주도 제외), 중국 랴오닝성, 지린성, 산둥성이 사정권에 들어간다.]|| [목차] [clearfix] == 개요 == [[2019년 북한 미사일 도발]]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낸 신형 미사일. 이후 명칭이 화성-11나였음이 밝혀졌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공개된 사진에서 전체적인 모습이 [[ATACMS]]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일부 해외 군사전문가들은 이 미사일을 임시명, 가칭으로 "선군 ATACMS(Songun ATACMS)"으로 부르기도 했다. [[https://www.nknews.org/2019/08/unpacking-north-koreas-new-weapon-the-songun-atacms/|#]], [[https://citrain64.blog.me/221613247185|#]] 2020년 3월 38노스의 보도에 따르면 KN-24로 명명되었다고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326013300071|#]] 또 우리 국방부 자체 표기로는 '19-4 SRBM'이었다가[* 출처 -[[http://biz.heraldcorp.com/military/view.php?ud=20200120000362|#]]] 2022년 국방백서에서 '에이태큼스형 전술유도탄'이라 하여 언론의 평가를 수용했다.[* 에이태큼스가 국립국어원의 표기이다.] == 시험 발사 == === 1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1나 1차 시험 발사.jpg|width=100%]]}}} || || 화성-11나 1차 시험 발사 장면 || 2019년 8월 10일, [[함흥시]] [[마전해수욕장]] 일대에서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발사 지점은 [[https://www.google.com/maps/place/39%C2%B048'44.7%22N+127%C2%B039'49.7%22E/@39.8116608,127.6631796,2095m/data=!3m1!1e3!4m5!3m4!1s0x0:0x1deaf86c901767ba!8m2!3d39.812425!4d127.6638139|39.8116608°N,127.6631796°E]]이다.[* 2022년 [[KN-23]]의 5차 시험 발사 장소이기도 하다.] 김정은은 발사 장소 남쪽의 서호 등대[* 2021년 기준으로 등대는 철거됐다.]에서 미사일 발사를 관전했다. 2019년 당시의 위성 사진에 있던 등대 구조물과 김정은의 관람대 건물 부분이 일치하고, 해안선 모양 및 암석지형도 같다. [[KN-23]], [[신형 방사포]]에 이어 지대지미사일 3종 세트가 완성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905299.html|#]] 김정은 역시 참관했다. === 2차 시험 발사 === 2019년 8월 16일 [[북한]]이 오전 강원도 통천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2발을 시험 발사했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는 "오전 8시 1분경과 오전 8시 16분경 북한이 강원도 [[통천군]] 북방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발표했고, 이후 "비행거리와 고도, 속도 등을 고려했을 때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미사일의 고도는 약 30㎞, 비행거리는 약 230㎞, 최대속도는 마하 6.1 이상으로 탐지됐다고 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022369|#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3022078|#2]] 다음날 사진도 공개되었는데, 광복절 다음날 발사한 것으로 DMZ와 불과 50km 여 떨어진 지점에서 발사했다. 230km 떨어진 동해상의 알섬에 명중한 것으로 보인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817018051504|#]] 성공에 주먹을 불끈 쥐고 환호하는 김정은의 사진도 보도되었다.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190819/97011470/1|#]] 해당 장소에서 청와대, 계룡대가 가까운지라 우려를 더했다. 또한 발사 장소에 대해 훗날 국정원장이 되는 [[박지원]] 당시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 소속 무소속 의원은 통천군은 [[정주영]] 회장의 고향이라며 북한이 최소한의 금도에도 벗어난 일이라며 비판했다. 북한에 유화적인 그의 태도에 비춰 보면 이례적인 일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554433|#]] 이후 UN 안보리 패널보고서에 따라 발사 지점이 특정되었다. [[정찰 위성]] 분석 결과 그을음과 사진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결과로, 좌표는 [[https://www.google.com/maps/place/39%C2%B003'33.0%22N+127%C2%B046'44.0%22E/@39.0648175,127.7702689,3877m/data=!3m1!1e3!4m4!3m3!8m2!3d39.0591667!4d127.7788889|39°03'33"N 127°46'44"E]]이다. === 3차 시험 발사 === 2020년 3월 21일 북한 평안북도 [[선천군]] 부근에서 오전 6시 45분쯤 오랜만에 2발을 발사하였다. 고도는 약 50km, 비행거리는 410㎞라고 한다. 내륙에서 동해상으로 시험발사 한 것이 특징이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3221727090870|#]] [[김여정]]까지 동행시켰으며 이번에도 동해상의 알섬을 향해 발사, 명중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322800001&photoIdx=6#galleryArea_0|#]] [[https://www.khan.co.kr/politics/north-korea/article/202003222229015|#]] 이번에는 김정은이 가죽 재킷을 입고 등장한데다가 [[코로나19]]가 막 확산되는 시점임에도 [[노마스크]] 차림으로 등장해 소소한 관심을 끌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3220817090822|#]]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1나 3차 시험 발사.jpg|width=100%]]}}} || || 화성-11나 3차 시험 발사 장면 || 3월 24일, 외국 전문가들이 21일 발사한 2발을 분석한 결과 외과수술식 타격이 가능할 만큼 기능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고 국내 언론이 보도했다.[[https://news.v.daum.net/v/20200324164000227|관련기사]] 두 발 발사 사이에는 5분이 소요되었으며, [[KN-23]]처럼 저고도로 발사했다고 한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35850#home|#]] === 4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1나 4차 시험 발사.jpg|width=100%]]}}} || || 화성-11나 4차 시험 발사 장면 || 2022년 1월 17일, [[평양시]] [[순안구역|순안]]([[평양국제비행장]]) 일대에서 발사하였다. 북한은 시험 발사가 아니라 잘 생산되고 있는지 '''검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량 생산 및 실전 배치를 암시하는 부분. 외국 전문가들은 열심히 평양국제비행장 지역에서 발사 흔적([[https://twitter.com/JosephHDempsey/status/1483051839423758341|#]])을 찾았고, UN 보고서 S/2022/132에서도 해당 지점(39°15′44″N 125°40′34″E)이 발사 지점일 수 있다고 명시되었다. === 5차 시험 발사 === 2022년 6월 5일 2발을 발사했다. 북한의 사진 공개가 없었기에, 한미측 감시 자산을 통한 평가이다. === 6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2년 11월 4일 북한 미사일 도발.jpg|width=100%]]}}} || || 2022년 11월 4일 북한 미사일 도발(위 사진) || [[동림군]]에서 쐈다. 후술한 [[자위-2021]]의 베이지색 도색 미사일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는 '산포탄'이라고 주장했다. === 7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 화성-11나 차륜형 발사.png|width=100%]]}}} || || 2023년 8월 30일 발사된 화성-11나 || 2023년 8월 30일 23시 38분, 46분 총 2발을 [[평양국제비행장]]에서 [[알섬(화대군)|알섬]]을 향해 발사했다. [[2023년 7월 27일 북한 열병식]]에서 등장한 차륜형 TEL을 이용해 발사했다. 지난번 발사와 동일하게 흑백 체크무늬 대신 베이지색 도색을 칠했다. === 일시가 불명확한 시험 발사 === [[무장장비전시회-2023]] 오프닝 영상에서 [[철도]] 시설 인근에서 기립하고 있는 화성-11나 풀색 TEL 영상이 스치듯이 공개되었다. (1) 구내 선로가 최소 3선[* 혹은 복선인 본선에 전철화 설비만 복선으로 설치된 시설.]인 선로이며, (2) 본선은 전철화된 반면 측선은 비전철화된 시설이며, (3) 선로 그 자체 위에 TEL이 올라와 있고, 옆에는 미상 바닥 구조물이 있다. 미상 바닥 구조물이 플랫폼이면 TEL이 수평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저상홈이나 고상홈이 아닌 평평한 구조물로 보인다. [[https://twitter.com/ColinZwirko/status/1684791637808238592/photo/1|#]] 화성-11나 발사 중 공보되지 않은 사례로는 * 위 2022년 6월 5일 8발 연속 발사 중 2발이 있다. 이 중 거리상 110km를 날아간 [[화성-11라]]의 발사지점이 함흥이라면 이를 소거할 수 있다. 개천에서의 발사가 [[개천공항]]에서 늘 쏘던 지역의 발사라면 개천도 소거된다. 즉, 순안과 동창리만 남는다. * 2022년 11월 9일 숙천군 2발 발사가 화성-11가 혹은 화성-11나로 추정된다. * [[2023년 북한 미사일 도발]] 가운데 6월 15일자 2발은 850~900km를 날아가 화성-11나일 수 없다. 7월 19일 2발은 가능성이 있으나 순안공항에서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 * 요컨대, 순안(순안공항 외), 숙천, 개천, 동창리일 가능성이 있다. == 명칭 공개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1나 명칭 공개.jpg|width=100%]]}}} || || '화성-11나'의 명칭이 확인되는 순간. --캡틴 아메리카가 있다--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1나 명칭 확인 안내판.png|width=100%]]}}} || || 흐림 처리된 화성-11나 안내판 || 2021년 북한의 국방발전전람회 [[자위-2021|《자위-2021》]]에서 '''《화성포-11나》형'''으로 소개되었다. 김정은의 기념사진에 뒷배경으로 등장했다. 하단에 2019년이라고 적혀 있어, 1차 시험발사때 사진임을 알 수 있다. 수식어는 '지상대지상탄도미싸일' [[화성 미사일]] 가운데 제식명칭에 [[가나다순]]이 적용된 최초의 미사일이다. [[화성-11]]과의 관계는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나, 기존의 화성-11을 화성-11나로 대체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본래 화성 미사일은 '《화성-00》형'으로 표기했는데 본 박람회에서는 '화성__'''포'''__'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화성 미사일]] 문서를 참조하면 중국도 안 쓰는 표현이라 지대지 미사일임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으로 추측된다. 한편 이 행사에서 공개된 화성-11나 포탄은 기존의 흑백 체크무늬가 아닌 베이지색인 것이 특징이었다. == 분석 == [[https://www.nonproliferation.eu/hcoc/wp-content/uploads/2023/01/NORTH-KOREAN-SHORT-RANGE-SYSTEMS.pdf|'NORTH KOREAN SHORT RANGE SYSTEMS'{{{-2 (PDF, p.47)}}}]]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KN-23과 같은 시기에 개발이 시작되었을 것이며, 미국식 기술인 ATCMS를 모방하기 위해 ATACMS가 사용된 [[이라크]]와의 모종의 연계가 있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또한 단순히 러시아 미사일을 리버스 엔지리어링 하는 것을 넘어서서 다양한 기술을 융화해야 했기에 KN-23보다 개발 과정이 어려웠을것이라고도 분석한다. 프랑스 전략연구재단(FRS, Fondation pour la Recherche Stratégique) 연구원들[* 공동 저자: Mr Stéphane Delory, Dr Antoine Bondaz, Mr Christian Maire]이 작성하여 EU 비확산·군축 컨소시엄에서 2023년 1월 내놓은 보고서이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1나의 원형공산오차.jpg|width=100%]]}}} || || [[아산정책연구원]] [[https://www.asaninst.org/contents/%EB%B6%81%ED%95%9C%EC%9D%98-%EC%9E%87%EB%8B%A8-%EB%AF%B8%EC%82%AC%EC%9D%BC-%EB%B0%9C%EC%82%AC%EC%97%90-%EB%8B%B4%EA%B8%B4-%EB%A9%94%EC%8B%9C%EC%A7%80-%EB%B6%81%ED%95%9C-%EB%AF%B8%EC%82%AC%EC%9D%BC/|보고서]]에서 분석한 화성-11나의 공산 오차 || 북한이 과시한 정밀한 타격 능력도 사실인 것으로 평가된다. [[원형공산오차]]는 35m로 평가된다. 위와 같은 FRS 보고서에서 산출했다.[* 보고서 p.81] [[조선중앙통신]] 공개 사진과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가 공개한 발사 데이터, 유럽 지구 환경 관측 분야 위성인 센티넬 위성[* 산사태, 유실, 해수면 상승 등을 관측하는 목표의 위성군이다.]의 레이더로 촬영한 [[알섬(화대군)|알섬]] 사진과 대조하여 산출한 결괏값이다. === 정체 관련 논란 === ==== ~~[[화성-11가]]와 동형 미사일 설~~ ====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 마커스 실러(Markus Schiller)는 본인의 [[트위터]]에서 해당 미사일이 KN-23과 같은 것인데, 단지 탄두만 짧게 보이게 사진에 조작을 가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했다. 북한 미사일 특유의 'ㅈ' 일련번호 표시가 짜그라 들어있다는 것이 논지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573762#home|#중앙일보 보도]] [[https://twitter.com/RocketSchiller/status/1169271562022920193?s=20|#해당 트위터 글 타래]] 하지만 이후 열병식 등에서 여러 차례 본 미사일이 식별되면서 사진 조작설은 힘을 잃었다. ==== [[북극성-1|《북극성》]] 개량형 설 ==== 역시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인 Norbert Brügge는 이 미사일이 [[SLBM]]인《북극성》(북극성-1)의 개량형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그래서 본인 나름대로 'PS GLBM-1'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http://www.b14643.de/Spacerockets/Specials/Pukguksong_GLBM-1/index.htm|#해당 분석글]] 그는 KN-23을 'PS GLBM-2'로 명명하며, KN-23이 화성-11나의 후신이라고 파악했다. 한국항공대 장영근 교수 역시 이 미사일의 뿌리가 [[북극성-1|《북극성》]]임에 동의한다. 그러나 그는 KN-23의 단축형이 '화성-11나'라고 파악한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한 고체연료 미사일 개발 로드맵.jpg|width=100%]]}}} || || 화성-11(KN-02) 부터 북극성-5, KN-23 개량형 SLBM으로 이어진다. || == 도색 == === TEL 도색 === * 사막색 도색: 시험발사시 식별 * 풀색 카모 도색: 2020년 열병식 식별 * 올리브색 디지털 무늬 도색: 2022년 열병식 식별 === 미사일 동체 도색 === * 체크무늬(체커보드) 도색 * 베이지색 도색 == 여담 == [youtube(0ubvAQ_Cj9U)] 2019년 말 [[국정감사]]에서 [[이주영]] 의원과 [[정경두]] 국방장관 간에 명칭으로 인한 설왕설래가 있었다. [[분류:화성 미사일]][[분류:2019년 공개]][[분류:단거리 탄도 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