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화성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부1002_UNVPR22.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화성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화성시 직행좌석버스 1002번}}} || ||<-6><:>{{{#!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화성 1002 노선도.png|width=100%]]}}}|| ||<-2> 기점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전곡항) ||<-2> 종점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사당역10번출구) || ||<|2> 종점행 || 첫차 || 04:30 ||<|2> 기점행 || 첫차 || 06:10 || || 막차 || 21:40 || 막차 || 23:20 || ||<-2> 배차간격 ||<-4> 30~50분(1일 24회) || ||<-2> 운수사명 || [[제부여객]] ||<-2> 인가대수 || 6대 || ||<-2> 노선 ||<-4> [[전곡항]] - [[제부도]]입구 - 장외리 - 광평삼거리 - 서신터미널 - 상안2리교차로 - 육일2리·코스코밸리 - 사강시장 - 외국인보호소 - 마도사거리 - 우림아파트 - 경기남부수협.보건소 - 남양중고입구.기아남양점 - 화성시청후문 - 남양아이파크 - 남양뉴타운1단지 - 양노3리 - {{{#aaa 비봉매송로 - 천천IC - 봉담과천로}}} - [[의왕TG]] - {{{#aaa 과천대로}}} - (→ [[남태령역]] →) - [[사당역]] || == 개요 == [[제부여객]]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38.1km'''다. [[http://map.naver.com/?busId=16092&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과거 화성시 서부 지역은 서울행 직행버스가 없어 불편함을 겪어야 했다[* [[삼성여객(수원)|삼성여객]]이 있던 아주 먼 옛날에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사당역]], [[군포시]]를 경유하여 서신터미널까지 운행하는 시외완행버스가 있었다.]. 이때문에 서울로 가려면 [[화성 버스 330|330번]]을 타고 한참을 달려 '''반월역이나 금정역까지 가서 전철을 타야만 했다.''' 그러나 지역 업체의 영세함으로 인해 직행버스 노선 개설이 계속 이뤄지지 못하다가[* 제부여객이 [[용남고속]]에 인수되기 전이다.] 2012년 뒤늦게 남양-사당역 간을 운행하는 [[화성 버스 1008|1008번]]이 개통됐다. * 하지만 여전히 남양 서쪽에서는 환승해서 이용하는 경우가 없다시피 한데다 여름철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 제부도에 서울행 직행버스가 꼭 필요하다는 요구가 제기되자 2015년 11월 11일자로 제부도입구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하는 이 노선을 개통하게 됐다. [[http://www.gunpo.go.kr/brd/board/675/L/menu/240.do?brdType=R&bbIdx=49903|군포시청 새소식]] * 처음에는 남양을 미경유하여 군포에서 마도까지 신도로 직통(39번 국도-313번 지방도)으로 달렸었다. 하지만 운행 4주만에(2015년 12월 7일) [[http://www.yongnam.co.kr/yougnam/sub5/sub5_1.php?pgmode=view&idx=87|남양을 경유하기로 했다]]. * 2016년 4월 1일에 전곡항으로 연장됐다. 이를 통해 대부도 수요를 노릴 수 있게 됐으며, [[안산 버스 123|123번]]과 연계가 가능해졌다.[* 전곡항과 탄도항이 바로 붙어있는 건 아니고 15분 정도 걸어야 한다.] 또한 [[안산 버스 727-1|727-1번]]이 단축된 후 [[화성 버스 1004-1|1004-1번]]에만 의존해야 했던 전곡항에도 새로운 교통편, 그것도 한번에 서울로 갈 수 있는 교통수단이 생겼다. [[http://www.yongnam.co.kr/yougnam/sub5/sub5_1.php?pgmode=view&idx=90|용남고속 공지사항]] 대신 1일 운행횟수가 1회 감회됐으며, 막차는 20~30분 정도 빨라졌다. * 2018년 11월 26일에 '남양사거리-남양읍사무소' 경로가 남양뉴타운 경유(남양중·고 - 화성시청후문 - 남양아이파크)로 변경되며, 의왕시·군포시 구간은 미운행 및 '''[[비봉매송로]] 직결'''으로 변경됐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00918|관련 게시물]] * 2019년 11월 25일에 사당역 탑승 정류장 위치가 [[화성 버스 1008|1008번]]과 함께 4번 출구에서 10번 출구로 변경됐다. * 2020년 11월부터 [[경기도 공공버스]]에 편입됐다. * 2023년 6월 말부터 남양뉴타운입구 정류장에도 정차한다. * 2023년 10월 1일부터 1대 증차되며 운행횟수도 1일 24회로 4회 증회되었고 막차 시간도 21시 10분에서 21시 40분으로 변경됐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647764|관련 게시물]] * 2023년 12월 1일부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준공영제로 시행된다. == 특징 == * 기점이 바다에 인접한 유일한 경기도 [[직행좌석버스]]이다.[* [[시흥 버스 3500]], [[김포 버스 8000]]의 경우도 기점이 바다에 상당히 인접하며 바다를 끼고 달리는 직행좌석버스는 더 많다. 하지만 1002번 기점은 바로 옆이 바다인 전곡항이다.] * 왕복 120km가 넘는 운행 거리나 고속화도로 노선 특성으로 봐서 시외버스로 운행해도 별 불만은 없을 듯하지만, 화성시의 보조금 지원에 힘입어 과감하게 직행좌석버스로 개통했다. * 제부여객에서 오랜만에 신설한 [[사당역]] 방면 노선이며 [[화성 버스 1008|1008번]]에 이어 2번째 노선이다. * 개통초기 운행거리는 '''왕복 128.3km'''. 이는 현재 [[경기순환버스]]를 제외한 경기도 직행좌석버스/간선급행버스 중 4위이다. 추가로, 전곡항으로 연장되면서 운행거리도 '''왕복 138.1km'''[* [[안성 버스 37|37번]], [[인천 버스 71|71번]]을 포함한 수도권의 모든 일반시내버스보다 더 긴 운행거리이다.]으로 늘어났다.[* 1002번보다 더 긴 노선은 전부 [[경기순환버스]]들뿐이었으나, 왕복 150.4km를 자랑하는 [[가평교통]]의 [[가평 버스 7000, 7001, 7002|7000번]]이 형간전환되면서 최장거리 직행좌석버스는 아니다. 왕복 146.4km라는 [[연천 버스 G2001|연천 G2001번]], 141.9km의 [[포천 버스 1403|포천 1403번]]도 있다.] * '''이 노선이 생기면서 더 이상 제부도입구로 가기 위해 [[수원역]]이나 [[금정역]]까지 갈 필요가 사라졌다.''' * 제부도입구에서는 회차 등의 문제로 인해 버스정류장에 조금 못 미친 곳에서 정차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64741|관련 게시물]] 전곡항까지 연장된 지금은 다른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정위치에 정차한다. 제부도입구를 지나 제부여객차고지, 전곡산단을 순서대로 경유한 다음 전곡항으로 간다. * [[서신면]], [[마도면]], [[송산면(화성)]]지역에서 처음으로 운행하는 서울행 직행버스인 만큼 제대로 홍보해야 하는데도 업체측에서 정류장에 시각표도 안 붙여놓을 정도로 노선 홍보에 소극적인데다가 초창기 잦은 시각표 개정으로 이용률이 저조했지만, 버스 동호인의 홍보 등으로 서서히 주민들에게 노선이 알려지면서 2015년 12월부터 승객이 꽤 늘었다. 앞으로 여름이 다가오면 주말마다 제부도, 전곡항, 대부도 관광 수요가 예상되는 노선이다. * [[현대 유니버스]] 디젤 차량으로 운행한다.[* 45인승, 49인승. 가스 충전이 어려워서 [[공공버스]] 규정과 다르게 신차도 디젤 차량으로 출고한 것이 특징이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62966|#]]] * 좌석이 버스 층고보다 한칸 더 높게 설치되어 있어 맨 앞 좌석에 앉지 않으면, 행선판과 앞 좌석에 가려 앞이 안보여 시야가 정말 불편하다. 굴곡 구간에서의 잦은 정.발차와 디젤 엔진의 진동[* 진동이 앞쪽 좌석에 앉아도 느껴질 정도로 강하다], 그리고 높은 무게중심에 따른 머리의 흔들림까지 더하면 멀미가 날 확률이 매우 높다. * 화성시청을 경유하느라 돌아가서 화성시 구간에서는 다른 버스들과 소요시간이 비슷하다. *2022년에 [[2TV 생생정보]] '경기도 화성시' 편에서 [[화성 버스 1004|1004번]]과 함께 출연했다.[* 사강시장에서 나타났다.] === 시간표 === 남양은 전곡항 출발시간 +약 50분이다. 물론 평일 기준이며, 도로사정에 따라 빨리 지나가는 경우도 있으니 어플을 보거나 여유있게 나와야 한다. 10월 1일부터 적용된 시간표이다. ||<-11><:><#ff0000> [[파일:화성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화성 버스 1002번 운행시간표}}}[br]{{{#ffffff 출처 : 정류장 부착}}}|| ||<:>횟수||<-2><:>1회||<-2><:>2회||<-2><:>3회||<-2><:>4회|| ||<:>순번||<:>전곡항||<:>사당역||<:>전곡항||<:>사당역||<:>전곡항||<:>사당역||<:>전곡항||<:>사당역|| ||<:>1||<:>04:30||<:>06:10||<:>08:50||<|6> 도착후 회차 ||<:>13:20||<|6> 도착후 회차 ||<:>17:40||<|5> 도착후 회차 || ||<:>2||<:>05:00||<|5> 도착후 회차 ||<:>09:40||<:>14:10||<:>18:30|| ||<:>3||<:>05:40||<:>10:30||<:>15:00||<:>19:20|| ||<:>4||<:>06:20||<:>11:20||<:>15:40||<:>20:10|| ||<:>5||<:>07:10||<:>12:00||<:>16:20||<:>21:00|| ||<:>6||<:>08:00||<:>12:40||<:>17:00||<:>21:40||<:>23:20|| === 노선 === ||<#ff0000> [[파일:화성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화성시 직행좌석버스 1002번}}} || ||<^|1><#ffffff,#1f2023>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6> '''사당역10번출구 · 사당역[br]20500 · 22028''' || || - ||<#ff0000> {{{#ffffff ↓}}} || ||<#ff0000> {{{#ffffff ↑}}} || || 남태령역[br]22026 || || {{{#808080 과천대로[br]미정차}}} ||<#ff0000> || || ||<#ff0000> || {{{#808080 과천대로[br]미정차}}} || || 의왕톨게이트[br]27112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의왕톨게이트[br]27113 || || {{{#808080 봉담과천로[br]미정차}}} ||<#ff0000> || || ||<#ff0000> || {{{#808080 봉담과천로[br]미정차}}} || || {{{#808080 천천IC[br]미정차}}}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808080 천천IC[br]미정차}}} || || {{{#808080 비봉매송로[br]미정차}}} ||<#ff0000> || || ||<#ff0000> || {{{#808080 비봉매송로[br]미정차}}} || || {{{#808080 양노IC[br]미정차}}}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808080 양노IC[br]미정차}}} || || 양노리[br]37154 ||<#ff0000> || || ||<#ff0000> || 양노리[br]55087 || || 양노3리[br]55393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양노3리[br]37153 || || 북양1통.염티고개[br]36042 ||<#ff0000> || || ||<#ff0000> || 북양1통.염티고개[br]36043 || || 남양뉴타운4단지[br]55434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남양뉴타운4단지[br]36742 || || 남양뉴타운1단지[br]36431 ||<#ff0000> || || ||<#ff0000> || 남양뉴타운1단지[br]55433 || || 남양아이파크[br]36506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남양아이파크[br]36738 || || 화성시청후문[br]36507 ||<#ff0000> || || ||<#ff0000> || 화성시청후문[br]36510 || || 남양뉴타운.상가단지[br]36002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남양뉴타운.현대2차[br]36001 || || 남양뉴타운.양우내안애[br]36604 ||<#ff0000> || || ||<#ff0000> || 양우내안애[br]36024 || || 남양중고교입구[br]36023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남양중고입구.기아남양점[br]37774 || || 동양초.남양중고교[br]37567 ||<#ff0000> || || ||<#ff0000> || 기업은행[br]37018 || || 남양성지[br]36014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남양성지[br]36015 || || 경기남부수협.보건소[br]55116 ||<#ff0000> || || ||<#ff0000> || 경기남부수협.보건소[br]55115 || || 우림아파트[br]36010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우림아파트[br]36009 || || 재래시장.마도삼거리[br]37108 ||<#ff0000> || || ||<#ff0000> || 재래시장.마도삼거리[br]37107 || || 마도사거리[br]37105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마도사거리[br]37106 || || 외국인보호소[br]37104 ||<#ff0000> || || ||<#ff0000> || 외국인보호소[br]37103 || || 송산농협.사강정형외과[br]37089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사강정형외과[br]37088 || || 사강시장[br]37085 ||<#ff0000> || || ||<#ff0000> || 사강시장[br]37084 || || 사강복지회관[br]37081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사강복지회관[br]37080 || || 육일리마을회관[br]36440 ||<#ff0000> || || ||<#ff0000> || 육일리마을회관[br]55172 || || 코스코밸리아파트[br]55356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육일2리.코스코밸리[br]37068 || || 상안2리교차로[br]55361 ||<#ff0000> || || ||<#ff0000> || 상안2리교차로[br]55360 || || 서신[br]37043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서신터미널[br]37045 || || 광평삼거리[br]37564 ||<#ff0000> || || ||<#ff0000> || 광평삼거리[br]37563 || || 장외리[br]37020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장외리[br]37021 || || 장외리.지긋말[br]37016 ||<#ff0000> || || ||<#ff0000> || 장외리.지긋말[br]37017 || || 살고지입구[br]36947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살고지입구[br]37008 || || 제부도입구[br]37001 ||<#ff0000> || || ||<#ff0000> || 제부도입구[br]37002 || || 장외리.오리골[br]55348 ||<#ff0000> {{{#ffffff ↓}}} || || ||<#ff0000> {{{#ffffff ↑}}} || 장외리.오리골[br]37929 || ||<-6> '''전곡항[br]37921 · 37932''' || }}}}}}}}} || ||<#ff0000>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사당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사당역, [[남태령역]][* 사당역 방면 한정]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include(틀:화성-사당역간 시내버스)] [include(틀:남양읍 경유 시내버스)] [[분류:화성시의 시내버스]][[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2015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화성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