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살표_대문.png|width=100%]]}}} || ||<-3>
'''{{{+2 화살표 소녀의 유쾌한 인생}}}'''[br] The Cheerful Life of the Arrow-girl || || '''가수''' || [[시유(VOCALOID)|시유]] || || '''작곡가''' ||<|3> [[udaque]] || || '''작사가''' || || '''조교자''' || || '''영상''' || 튜훗 || || '''페이지''' || [[https://youtu.be/y4kzpgAlaWg?si=VRuANsU_WWC8duIb|[[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 2013년 2월 14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 '''구텐탁, 뮌하우젠''' '화살표 소녀의 유쾌한 인생'은 [[udaque]]가 2013년 2월 14일에 [[유튜브]]에 투고한 [[시유(VOCALOID)|시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가사 속 '구텐탁, 뮌하우젠'에 나오는 [[뮌하우젠 증후군]]은 신체적 이상이 없음에도 동정을 받기 위해 자해를 하는 [[관종|정신질병의 일종]]이다. 해당 노래의 은유적인 가사는 [[스레딕]]을 모티브로 만든 노래로 추측된다. 한창 시유의 전성기였던 2010년대는 [[스레딕]]에서 익명의 사이버불링이 이루어졌는데,[* 이 노래의 작곡가 [[udaque]]는 시유를 사용하는 작곡가들중 스레딕의 주된 희생양이기도 했다.] 스레딕에서는 화살표인 [[부등호|>>]] 기호를 사용하며 익명의 답글을 달 수 있으며, 이 때 글씨는 [[초록색]]을 띄었다. 가사중에도 화살표와 더불어 '초록색 눈의 괴물'이라고 언급된다. == 영상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fff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4kzpgAlaWg, width=640, height=360)]}}} || == 가사 == ||<-2> {{{#ffffff,#ffffff '''가사'''}}} || ||<-2><:> {{{#ff8c00 또 다시 거짓된 굿바이를 말하며 그 변화의 갯수를 체크 하고 몸으로 뻗어오는 거무스름한 곡선들의 공명이 노래를 만드네 블랙홀을 동경해 오던 소녀의 폭식 국화꽃을 하나 둘 모으며 머금은 미소 좀 더 많은 화살표를 내게 돌리고 싶어 그 뾰족한 끝을 내 온몸으로 느끼고 싶어 게임의 랭킹 속에 부유해 오던 나날들 구텐탁, 뮌하우젠 그러던 어느 날 화살표를 파는 가게가 있다는 소문을 들었어 재능을, 양심을, 망상을, 타인을 처음엔 평범한 시도를 해 봤어 조금씩 진실이 필터 된 그 결과는 좀 더 많은 화살표를 내게 돌리고 싶어 그 기다란 선에 내 모든 것이 묶이고 싶어 내 영혼의 박물관을 개장합니다 노이즈여, 가득차라 근거없이 과포장 되는 자랑 섞인 말 반성 대신 내 보이는 초록색 눈의 괴물 좀 더 많은 화살표를 내게 돌리고 싶어 그 답답함 속에 얽매인 채로 흐느끼고 싶어 새까만 그물 속에 방황하는 나에게 연민의 정을 주세요 좀 더 많은 화살표를 내게 돌리고 싶어 그 뾰족한 끝을 내 온몸으로 느끼고 싶어 게임의 랭킹 속에 부유해 오던 나날들 구텐탁, 뮌하우젠 }}} || == 둘러보기 == [include(틀:SU시리즈)]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