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DVD나 블루레이에 딸려오는 특전, rd1=오디오 코멘터리)] * 상위 정보 : [[방송 관련 정보]] [목차] 화면해설방송(畵面解說放送) == 개요 == >방송사업자는 장애인의 시청을 도울 수 있도록 [[수어|한국수어]]ㆍ[[자막#s-4.2|폐쇄자막]]ㆍ[[화면해설방송|화면해설]] 등을 이용한 방송을 하여야 한다.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법 제69조 제8항 소리에만 의존하여 TV를 시청하는 시각장애인에게 영상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이기 위해 장면의 전환, 등장인물의 표정이나 몸짓, 대사없이 처리되는 영상등을 해설하는 서비스. 방송법[* 제69조(방송프로그램의 편성등)],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3조(방송통신의 공익성ㆍ공공성 등) 제4항[* 사회적 소수 또는 약자계층 등의 방송통신 소외 방지] 등에 근거,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방송]] TV 채널들은 주요 프로그램에 화면해설방송을 실시한다. 제작은 [[방송통신위원회]]와 [[시청자미디어재단]]의 방송통신발전자금을 지원받아 이뤄진다. 대한민국은 2002년부터 [[KBS]]와 [[MBC]]를 시작으로 점차 케이블 방송 및 민영 방송으로까지 확대돼 2015년부터 전국의 모든 방송사에서 이용되기 시작했다.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fcode=00002000040000100005&cidx=13893&sel_year=2022&sel_month=07&pp=20&pg=1|#]] 화면을 음성으로 해설해주는 음원을 녹음해 주음성과 믹싱한 후 부음성에 실어서 음성다중으로 송출한다. 종합편집 후에 다시 사운드 믹싱을 해야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때문에 제작기간이 더 걸린다. * 참고 링크 : [[http://www.comc-gj.or.kr/comc/board/board_notice.php?btype=g_centernews&search_field=&search_string=&page=10&board_idx=view&idx=14148|#2]] == TV의 경우 == === 대상 프로그램 === 지상파 방송의 경우 지상파 3사, [[EBS]]와 [[OBS]]에서 시청이 가능하며, 유료 방송의 경우 종편 4사와 [[CJ ENM]] 계열의 채널, 그리고 일부 지상파 계열의 드라마 채널에서 시청이 가능하다. 드라마의 경우 지상파를 기준으로 [[일일 드라마]]를 제외한 대부분의 작품의 재방분에서 화면해설방송이 송출되고 있다. [[MBC]]의 [[신입사관 구해령]]이나 [[오! 주인님]], [[트레이서(드라마)|트레이서]] 이후의 [[MBC 금토 드라마|금토 드라마]]와 같이 본방 편성부터 화면해설방송을 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극히 일부의 사례다. 반면 2010년대 중반부터 [[SBS]]에서 일부 드라마의 화면해설방송 제작을 중단한 사례도 있다. [[CJ ENM]] 역시 [[tvN]] 계열의 채널에서 (재)방송되는 드라마나, [[OCN]] 계열의 채널에서 (재)방송되는 영화, 그리고 [[투니버스]]의 일부 자체제작 국산 애니메이션에 화면해설방송을 적용한다. 그나마 케이블채널 중 제작 규모가 큰 [[CJ ENM]]이 [[https://www.cj.net/cj_now/view.asp?bs_seq=15064|AI 보이스 클로닝 기술]] 등을 활용해 제작에 적극적인 편. 그 외 제작에 시간적 여유가 있는 [[다큐멘터리]]나, [[지역방송]]에서 제작하여 전국으로 송출되는 '네트워크 특선'류의 프로그램 등에 화면해설방송이 제작되고 있다. 예능의 경우에는 종편 4사의 일부 작품에 한해 화면해설방송이 제작된다. 영화의 경우에는 KBS와 EBS를 통해 매주 한 편의 국내영화가 화면해설방송을 실어 송출되고 있다. [[KBS]]가 [[외화]] 더빙에 적극적이었을 당시에는 더빙작 대부분에 이러한 화면해설방송이 함께 송출되었다. 특히 2014년에 사장이 [[길환영]]에서 [[조대현(언론인)|조대현]]으로 바뀌고 동년 7월 부터 화면해설방송 다시보기를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닥터후]], [[삼총사(영국 드라마)|삼총사]] [[더빙]] 방송을 기점으로 마이너하게 화면해설 방송을 소장하는 팬들이 생겼다. 동영상의 경우에는 두 손을 자유롭게 쓰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보기 힘들지만,[* 지하철, 버스에서 손잡이를 잡고 있는 경우] 화면해설음성은 그냥 이어폰만 꽂고 재생만 하면 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덤으로 라디오 드라마 느낌이 난다나 뭐라나... 그런 의미에서 [[라디오 드라마]]나 [[드라마 CD]]는 시각장애인의 영원한 친구~~ 다만 이 때문에 당시 [[오펀 블랙|오펀 블랙 시즌 2]]와 [[동물의 왕국]]의 2014년 하반기 방영분이 다시보기 일반용 서비스을 지원 하지 않았고 그나마 동물의 왕국 외에 다른 해외 다큐(당시 세상의 모든 다큐, 글로벌 다큐멘터리, 특선다큐 등) 화면해설방송을 듣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100% 더빙을 듣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화면해설 없어도 편히 듣을 수 있는 당시 [[오펀 블랙|오펀 블랙 시즌 2]]와 [[동물의 왕국]]의 2014년 하반기 방영분은 일반용을 지원하지 않아 큰 불편 주었다. 이후 민원이 들어온건지 후속으로 방영된 [[닥터후]] [[닥터후/뉴 시즌 8|시즌 8]] 부터 [[KBS 해외걸작드라마]], [[동물의 왕국]], 해외 다큐 모두 일반용과 화면해설용을 동시 지원하기 시작했고[* 다만 2015년에 방영된 2014년 미국 [[히스토리 채널]] 제작 특선다큐 2차 세계 대전(The World Wars), 2016년에 방영된 [[전쟁과 평화(2016)|전쟁과 평화]] 더빙판(이듬해(2017년)에 재방했지만 역시 미지원), 2017년에 방영된 [[리썰 웨폰(드라마)|리썰 웨폰]]은 지원하지 않았다.] 후임인 [[고대영]] 임기 때도 동일하게 유지 되었지만 2018년 [[양승동]] 임기 부터 일반용과 화면해설용을 무작위로 하다가 이후 일반용만 지원하도록 정책을 바꾸고 한참 지난 임기 최후반부인 2021년 3월 부터 동물의 왕국을 제외한 다른 해외 다큐는 재방송까지 한 이후에 화면해설을 지원하기 시작했지만 세상의 모든 다큐에서 방영된 고대 유적의 비밀 1,3~6부, E-스포츠 세계 최강을 꿈꾸며의 화면해설를 지원하지 않았고 특선다큐도 반년(2021년 7월)도 안돼서 다시 화면해설용을 지원하지 않다가 후임 [[김의철]] 임기 부터는 조대현와 고대영 임기 때 처럼 [[동물의 왕국]]을 포함한 모든 해외 다큐들이 동시 지원하고 있다.[* 다만 사이먼 리브의 남아메리카 기행 1~2부, 브라이언 콕스 우주과 시간 1부, 특선다큐 생명의 바다 지중해 1~3부는 미지원.] === 편성 === 하지만 절대다수의 프로그램이 [[프라임 타임]]이 아닌 [[암흑 시간대]]에 편성되어 시청 접근권에 심각한 제약이 발생한다. 그마저도 [[올림픽]] 등 특수상황이 생기면 편성이 변경되기 일쑤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우상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간사)은 2015년 9월 8일 “KBS와 MBC, SBS의 장애인 화면해설방송이 잦은 결방과 방영 중단으로 장애인 시청권을 심각하게 침해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을 정도다. [[http://m.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245|#]] 하지만 이후로도 크게 변화된 점은 없는 게 현실. 또한 화면해설방송 대상 컨텐츠가 교양과 드라마에 치중되어 있다 보니, 스포츠 중계로 인해 해당 컨텐츠 편성이 극히 줄어드는 [[월드컵]]과 [[올림픽]] 시즌은 사실상 화면해설방송 편성이 전멸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때의 MBC가 그 예다. [[https://dgmbc.com/board/ylPSnacbT3QR417wGnuXHI/single/1ZGBlcfwqeB|당시 편성표]] 그나마 [[SBS]]가 [[런닝맨]]과 같은 예능 프로그램에도 화면해설방송을 제작하고 있는 편. === 시청 방법 === 편성표나 EPG 등에서 프로그램에 '화면해설방송'임을 표시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시작 시 화면 좌측 상단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방송중”이 뜬다. * 지상파를 직접 수신하거나 아날로그 케이블TV[* A2 스테레오(Zweikanalton) 방식을 사용한다.]를 시청하는 경우 TV 수상기 내 [[음성다중방송|음성다중]] 모드를 전환해 부음성을 선택하면 시청이 가능하다. * 디지털 케이블, [[스카이라이프]], [[IPTV]] 셋톱박스로 시청시 메뉴 설정에서 화면해설 기능을 ON으로 지정한다. 직수신과 달리 버튼 하나로 주음성과 부음성을 오가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 시각장애인을 배려한 화면해설방송수신기도 있는데 이 경우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을 방문하거나 우편, 인터넷으로 신청하면 된다. 다만 저소득층이 우선이기 때문에 우선도나 기간 등에서 지연될 수 있다.[[http://www.korea.go.kr/service/serviceInfoView.do?svcSeq=9089&rnum=7&searchType=0&ctyCode=110104|#]] * 유료방송의 경우 플랫폼과 채널별로 송출 여부가 상이하다. [[https://voice-over.tistory.com/166|분석 사례]] 지상파 3사와 EBS의 경우 대체로 화면해설방송 부음성까지 재송신되기에 수신에 크게 문제가 없으나, 종편 등 유료채널은 [[IPTV]]사 또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사]]의 의지에 따라 송신 여부가 상이한 실정이다. == 영화의 경우 == 영화제 등 특정 시기에, 이러한 장애인들의 극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배리어프리'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음성에는 화면해설 대사가 추가되었고, 영상에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이 추가되어 동시에 상영되는 형태. 하지만 특성상 그 상영횟수가 절대적으로 적은 상황. 국내의 비장애인들에게는 생소한 개념이었는데, 2010년대 중반 [[시간을 달리는 소녀(애니메이션)|시간을 달리는 소녀]] 극장판을 필두로 일부 작품이 배리어프리 형태로 제작되면서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다만 비슷한 시기 [[너의 이름은.]] 국내 더빙판이 이 '배리어프리'의 탈을 쓴 [[너의 이름은./비판/한국어 더빙|저질 더빙]]으로 한차례 홍역을 치르면서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 == 그 외의 경우 == * 2020년대 들어 [[넷플릭스]]에서도 일부 드라마와 영화에 화면해설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Apple TV+]]의 모든 컨텐츠가 화면해설방송을 지원한다. * 그 외 국내 기반 [[OTT]]의 경우 2022년까지 화면해설방송을 서비스하는 사업자는 한 곳도 없는 실정이었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2091902101031029001|기사]] 그러다 2023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원사업으로 일부 프로그램이 [[https://kocca.kr/kocca/bbs/view/B0000137/2004147.do?menuNo=204802¬icevent=Y&cate=|제작 지원작]]에 선정되면서 일부 OTT 컨텐츠에도 화면해설방송이 제작되고 있다. 그럼에도 [[티빙]]이나 [[웨이브]]가 각각 관계사인 [[CJ ENM]]이나 지상파 3사의 기 제작 컨텐츠를 활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화면해설 컨텐츠를 제작하는 점은 아쉬운 대목. * [[티빙]] : [[https://www.tving.com/search/tv?keyword=%5B%ED%99%94%EB%A9%B4+%ED%95%B4%EC%84%A4%5D|링크]] * 일부 지상파 방송국은 온라인을 통해서도 화면해설방송을 서비스하고 있다. 201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KBS만이 유일하게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이후 MBC와 EBS가 서비스를 추가하여 컨텐츠가 다양해진 편이다. 이 중 MBC는 기존 VOD에 음성 트랙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반면, KBS나 EBS는 화면해설 전용 VOD를 별도로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운영중에 있다. * [[KBS]] : [[https://able.kbs.co.kr/explain/|링크]] * [[MBC]] : [[https://www.imbc.com/disabled/commentary/|링크]] * [[EBS]] : [[https://www.ebs.co.kr/free/commentary/lifelong/onair|링크]] == 제작 == * 화면해설방송작가라는 직업이 존재한다. [[http://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InfoSrch/expSpecialDetail.do?abnJobdptLrclId=B006&abnJobdptSmclId=10022|직업 소개]], [[http://www.work.go.kr/consltJobCarpa/srch/expEhumanDetail.do?abnJobdptLrclId=E001&abnJobdptSmclId=10159|직업인 인터뷰]],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4&NewsCode=000420221014145701708604|관련 도서]] 2021년까지 대부분의 방송에서 스탭롤에 자막/음성 형태의 언급이 없었으나, 2022년 중반부터 지상파 기준 상당수 방송에서 화면해설작가와 어느 성우가 더빙를 방송 서두나 말미에 언급하기 시작했다.[* 언급을 안하는 경우가 더 많고 특히 해외 다큐 프로그램에는 거의 언급이 없다.] * [[카와세 나오미]] 감독의 영화 <[[빛나는]]>이 이 화면해설방송 대본을 쓰는 작가에 대한 얘기를 다루고 있다. 다만 방송쪽은 아니고 영화쪽 음성해설. == 관련 문서 == * [[음성다중방송]] * [[배리어프리영화]] [[분류:방송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