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MPTE Color Bars.svg|width=100%]]}}} || || {{{#000000 SMPTE 컬러바}}} || [목차] == 개요 == == 화면조정에 쓰이는 화면 == [[https://news.v.daum.net/v/20171016180723640|[황규인의 잡학사전] TV 화면 조정 시간에 뜨는 무지개는 뭘까]] === 테스트 패턴(test pattern) ===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m5544_ntsc-2-.png|필립스 PM5544 (NTSC 호환버전)]] * [[https://en.wikipedia.org/wiki/File:Philips_Pattern_PM5544_description.png|필립스 PM5544의 각 부분의 명칭]] * [[https://www.youtube.com/watch?v=qi0iLNEOxD0|TVB에서 쓰는 HDTV용 테스트 패턴. 정식 명칭은 아직 미상이다.]] 테스트 카드(test card) 혹은 시험도형이라고 부른다. 화면조정 하면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으로 필립스 PM5544가 있다. 대부분의 방송국에서 아날로그 TV 송출시 사용했던 도형으로[* 거의 유일한 예외가 [[SBS]]다.], 자사 방송국의 로고를 삽입하거나 일부 컴포넌트를 개조한 것이 주로 쓰였다. 송출은 [[https://en.wikipedia.org/wiki/Monoscope|모노스코프]]를 이용하며 테스트 패턴의 원본은 매우 작다. 원래 PM5544는 [[PAL]]용으로 개발되었지만 [[NTSC]]용으로도 어레인지되었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아예 안 쓰는 패턴이다. [[영국]]과 [[독일]]은 PM5544가 아닌 자체적으로 제작한 테스트 패턴을 사용했다. 특히 독일은 [[PAL]]의 원천기술을 개발했던 텔레풍켄(TELEFUNKEN)사에서 테스트 패턴도 자체 개발했는데 'FuBK'(에프우베카)라 하며 필립스제와 정반대로 네모난 모양이 특징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File:FuBK_testcard_vectorized.svg|#]] [[일본]]에서도 대개 방송국이 자체 제작하는 경우가 흔했는데 지역방송마다 디자인이 천차만별이었다. 과거 [[소련]]과 옛 동구권에서도 [[https://en.wikipedia.org/wiki/File:%D0%A3%D0%AD%D0%98%D0%A2.svg|우에이트(УЭИТ)]]라는 독자 방식을 사용했다. 다만 [[1990년대]] 소련이 붕괴하고 나서 민주화되거나 독립한 일부 국가들은 아날로그 방송 송출 방식을 [[SECAM]]에서 [[PAL]]로 바꿈과 동시에 테스트 패턴도 위의 PM5544나 FuBK로 바꾸고 디지털화 직전까지 유지했다. ※ [[1964년]]~[[1981년]]에 쓰인 [[동양방송]] TBC, 한국방송공사 KBS, 문화방송 MBC의 테스트 패턴과 배경음악이 잘 정리된 글. [[https://blog.naver.com/sunlin77/222725654515|&]] [[JTBC]]의 모체 [[동양방송]] TBC-TV에서 [[1964년]]부터 [[1980년]]까지 쓰이던 화면조정시간 패턴, EIA-1956.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bc1964-1980.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디언헤드 테스트패턴.jpg|width=100%]]}}} || || {{{#000000 과거 흑백 텔레비젼 시절에는 RCA의 [[아메리카 원주민]] 추장 머리가 그려진 패턴을 썼다.}}}[* 이 화면은 영화 [[조커(2019)|조커]]에서도 나왔는데 여기선 컬러 TV 방송이 시작된 후인 [[1981년]]이 배경인데도 이 화면이 나왔다.] || 또 일반적으로 방송용으로 쓰지는 않지만 TV를 개발하거나 TV 제조라인에서 화면과 [[CRT]] 표시관의 색상이나 왜곡 등을 조정할 목적으로 쓰는 여러가지 패턴이 있다. 그 흔한 테스트패턴에서 바둑판 무늬가 있는 이유가 바로 [[CRT]] 표시관의 특성을 반영하여 화면 왜곡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테스트패턴 발생기의 패턴 중에는 사람 얼굴 사진도 쓰는데 보통 머리가 검은 아름다운 (일본)여성 모델이 빨간 꽃을 들고 웃고 있는 초상사진도 썼다. 얼굴의 피부톤이나 검은 머리, 눈의 하이라이트, 빨간 꽃, 옷감 무늬 등 한 눈에 조정이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다. 서양, 특히 유럽권에서도 사람 얼굴을 화면조정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았는데, 대개 자체적으로 방송국에서 여성 모델을 기용해서 찍었다. 일례로 영국의 [[BBC]]는 자체 제작한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en/5/52/Testcard_F.jpg?20180102232651|화면조정패턴]](Test Card F) 한가운데에 [[틱택토]] 놀이를 하는 소녀 사진을 집어넣었는데 훗날 [[https://en.wikipedia.org/wiki/Carole_Hersee|이 소녀가 누구인지 신상이 공개되면서]] 화제가 된 적도 있었다. [[프랑스]]의 경우 [[1960년대]]에 [[니스]] 지방의 전통의상을 입은 무명 모델이 화면조정용으로 사용된 바 있다. === 컬러 바(color bar) === * [[https://en.wikipedia.org/wiki/SMPTE_color_bars|SMPTE 컬러 바]] *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EBU_Colorbars.svg|EBU 컬러 바]] * [[https://youtu.be/Ld21FSEMoBk|EIA 컬러 바]] * [[https://ja.wikipedia.org/wiki/%E3%82%AB%E3%83%A9%E3%83%BC%E3%83%90%E3%83%BC#/media/File:ARIB_COLOR_BAR_100.png|ARIB 컬러 바]] 보통 정파 시에 주로 쓰이는 화면이지만, 간간이 화면조정시간에도 쓰였다. 대표적으로 [[경인방송]]. 이외에도 일부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지역 MBC]]와 [[지역 민영방송]], [[북한]] 방송을 차단하는 전파에서도 SMPTE 컬러 바를 화면조정시간에 썼다. 방송 이외에도 [[VHS]] 비디오용 동영상에는 앞에 의무적으로 SMPTE 컬러바를 삽입하게끔 유도하는 경우도 있으며, 영성프로덕션에서는 비디오 앞부분에 삽입하는 컬러바에 특유의 음악을 추가했다. || [[은색|{{{#000 '''실버'''}}}]][* 한때, [[흰색|{{{#silver '''화이트'''}}}]]였으나 현재는 바뀌었다.] || [[노란색|{{{#000 '''옐로우'''}}}]] || [[하늘색|{{{#000 '''시안'''}}}]] ||<#0b0> [[초록색|{{{#white '''그린'''}}}]] || [[마젠타|{{{#000 '''마젠타'''}}}]] ||<#e11> [[빨간색|{{{#fff '''레드'''}}}]] || [[파란색|{{{#fff '''블루'''}}}]] || 위 색상표는 컬러바에 주로 사용되는 색상으로 총 7가지다. 쉽게 말하면, [[가산혼합]] {{{#e11 '''3'''}}}{{{#0b0 '''가'''}}}{{{#dodgerblue '''지'''}}} 색과 [[감산혼합]] {{{#cyan '''3'''}}}{{{#magenta '''가'''}}}{{{#gold '''지'''}}} 색, [[검은색|{{{#000 '''검정'''}}}]]과 [[흰색|{{{#silver '''흰색'''}}}]]의 중간인 [[은색|{{{#gray '''은색'''}}}]]이 합쳐졌다고 보면 된다. [[이상순]], [[조원선]], [[Hitchhiker|최진우]]가 [[1998년]] 결성한 그룹 [[롤러코스터]] 1집의 타이틀곡 "내게로 와" PV 첫머리에는 컬러바가 각 멤버 소개로 전환되는 [[https://youtu.be/t9N1KF7fYk8?t=11|아트워크 연출]]이 있다. 당시의 젊은 세대에게 컬러바는 이런 식으로 패러디될 정도로 익숙한 존재였다는 말. === 기타 === *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Multiburst.jpg|멀티버스트]] *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FCC_Composite.jpg|FCC 컴포지트]] *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Tpulse.jpg|T-펄스]] 이 외에도 정파에 쓰인 멀티버스트나 기타 컴포넌트가 있기는 하지만, 단독으로 화면조정시간에 쓰인 예는 없다.[* 단, 컬러바와 멀티버스트, NTC7 컴포넌트 등을 조합한 자체 시험화면을 [[SBS]], [[TJB]]에서 화면조정시간에 쓴 적이 있다.] == 각 방송국의 화면조정시간 방송 현황 == === [[KBS]] === [[파일:testcard-kbs.png]] [[파일:KBS청주 전국TV전파조사.jpg|width=770]] * [[https://www.youtube.com/watch?v=zKgZck1K5kc|1993년 3월 16일 KBS2 화면조정시간[* 앞부분 짤림]]] * [[https://www.youtube.com/watch?v=jiCnt9aa8vY|2000년 8월 31일 KBS1 화면조정시간]] * [[https://www.youtube.com/watch?v=WeB-5axMgSo|2001년 2월 6일 KBS2 화면조정시간]] * [[https://www.youtube.com/watch?v=mCAOhtZIT50|2001년 5월 27일 KBS1 화면조정시간]] * [[https://youtu.be/tybc-DGzcRI|2002년 2월 6일 KBS2 화면조정시간]] === [[MBC]] === === [[SBS]]와 네트워크 협정 [[지역민방]] === === [[EBS]] === === [[iTV]] === == 기타 == [youtube(B4dnPVZ2MV0)] 딱히 용도도 형태도 실용적인 구석은 없지만, [[유튜브]]의 프리미어 공개 영상 혹은 최초공개 영상 카운트다운에서 화면 조정 패턴이 등장한다. [[오락실|아케이드 비디오 게임]]에서도 위의 컬러바같은 조정 화면이 사용된 바가 있다. 소프트웨어 조정형식으로 된 게임 세팅에는 항상 모니터 테스트 메뉴가 존재하는데, 일부 게임의 경우 위 TV 화면조정시간을 연상케하는 컬러바를 화면 테스트용에 집어넣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솔로몬의 열쇠(테크모)|솔로몬의 열쇠]]가 컬러바 형식의 조정 화면을 사용한다. 거의 대부분의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들이 장면을 전환할 때 1초간 테스트 톤과 같이 자주 쓴다. [[모여봐요 동물의 숲]]의 TV는 평일과 일요일에는 밤 12시부터 아침 6시까지 정파방송과 함께 컬러바만 내보내며, 토요일에는 새벽 3시 33분에 비밀 방송이 송출된다. [[MBN]]에서 6개월의 방송 정지 징계를 먹으며 6개월의 유예기간 이후에는 6개월 동안 24시간 내내 이 화면만 틀어놓아야 했으나 유야무야되면서 없던 일이 됐다. [[주한미군]] 방송 [[AFN Korea|AFKN]]에서도 새벽 시간대에 볼 수 있었는데, SMPTE 컬러바를 사용했다.[* 화면조정시간이 끝나면 [[애국가]]와 [[The Star-Spangled Banner|미국 국가]] 영상을 틀어주고 정규방송을 시작했다.] [[베리드 스타즈]]에서 배드 엔딩을 보게되면 컬러바와 동시에 PLEASE STAND BY라는 멘트가 함께 나오고 이어서 TV꺼지는 화면이 연출되며 게임오버가 된다. 게임의 소재가 방송 프로그램에서 일어난 사고를 기반으로 한지라 쓰이는 듯 하다. [[사가 프론티어]]에서 T260G루트의 최종보스 제노사이드 하트를 상대할 때, 배경에 화면조정시간의 화면이 여러 개 펼쳐진다. 그리고 [[Vampire Survivors]]에서 룬트레이서(RuneTracer)의 진화 무기 절멸(No future)에서도 폭발 이미지에 [[https://youtu.be/446SiRhRcY4?t=58|이 화면이 나타난다.]] == 관련 문서 == * [[대기 중]] * [[정파 방송]] * [[신서유기]] - 돌발상황을 가리기 위해 풍경영상과 '신묘한 힘' 인형, 그리고 츠체코 민요 '목장길 따라'의 후렴구가 나온다. [[분류:방송]] [include(틀:포크됨2, title=화면조정시간, 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