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서진의 인물이자 화흡의 손자, rd1=화교(서진))] [include(틀:진서)] 華嶠 (? ~ 293)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서진]]의 인물이며 자는 숙준(叔駿)으로 [[화표]]의 셋째 아들이자 [[화흠]]의 손자. 청주 평원군 고당현 사람. == 생애 == 재주와 학문은 깊고 넓으면서 어려서부터 영리하고 똑똑했으며, [[사마소]]가 대장군이 되자 벽소되어 대장군연속이 되었다가 상서랑에 임명되었다. 거기장군의 종사중랑으로 옮겨졌다가 265년에 서진이 건국되자 관내후의 작위를 받았고 태자중서자가 되었다가 안평태수로 임명되었지만 늙은 어머니가 있어 가지 않았으며, 산기상시, 중서저작, 국자박사, 시중 등을 역임했다. 289년에 [[사마염]]이 연회의 즐거움에 빠져 큰 질병에 대한 근심이 있었고 화교는 양생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라고 진언했지만 사마염은 병은 금방 나을 것이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지만 사마염은 290년에 사망했으며, 291년에 화교는 선창정후에 봉해졌다가 이 해에 [[양준(서진)|양준]]이 주살되자 낙향후로 고쳐 봉해졌고 상서로 옮겼다. 화교는 사물에 대해 널리 들은 것과 아는 것이 많았고 쓴 글은 사실에 충실했으며 훌륭한 역사가의 뜻이 있어 화교는 비서감에 임명되면서 산기상시를 더했고 중서로 돌아갔다. 화교는 절에서 중서, 산기, 저작의 문서들을 모았고 법도, 음률, 천문, 산술 등에 대해 요점을 모아 문하의 사람들에게 편집해 모으도록 해 정리했다. 처음에 화교는 한기가 번잡하고 문체가 깨끗하지 못하다고 해서 다시 써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낭의 일로 관제에 대한 일을 했기 때문에 낙양에 보관된 문서를 모두 볼 수 있어 한기에 대한 개정을 할 수 있었고 [[순욱(서진)|순욱]], 화교, [[장화(삼국지)|장화]], [[왕제(서진)|왕제]] 등은 모두 화교의 문장을 칭찬했다. 순박하면서 핵심을 파악하고 시종일관으로 사실에 입각하고 쓴 문체로 황실 도서관의 책으로 삼아야 한다고 평가받았다. 이후 태위에서 [[사마량]], [[위관]] 등이 동궁부로 갔고 사마량, 위관 등은 동궁에서 역사 강의를 했는데, 화교의 한후서를 황실 도서관에 들였고 화교가 저술한 논의, 난박, 시부 등이 수십만 마디가 있었다. 화교는 관제에 대해 상주해 황태자를 동궁으로 되돌아가게 하자고 제안하거나 비를 내리는 행사, 인재 등용, 치수에 대한 의견을 내놓았으며, 화교는 우가 물에 대한 관리를 따로 두는 등 여러 가지를 제안했고 화교가 제안한 것은 대부분 채용되었다. 293년에 사망했고 소부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간(簡)이다. 화교는 술을 즐기는 것을 항상 취해있었고 편집한 것 중에서는 십전은 완성하지 못했으며, 십전은 하초가 상주해 그의 아들들과 사관이 협력해 완성했으며, 화교가 쓴 저작들은 대부분 유실되었고 당나라 때까지 50여권만 현존했다. [[분류:서진의 인물]][[분류:29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