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불교조계종 말사]][[분류: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북한산]][[분류:강북구]][[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서울 미래유산]][[분류:한국의 절]] ||<-2>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width=22]] '''[[조계종|{{{#000 대한불교조계종}}}]]''' || ||<-2> '''{{{+2 삼각산 화계사}}}'''[br]三角山 華溪寺 | Hwagyes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계사 전경.jpg|width=100%]]}}} || || '''설립일''' ||1522년 || || '''소속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주지 스님''' ||우봉 || ||<|2> '''위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화계사, 높이=200px, 너비=100%)]}}} || ||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 ([[수유동]] 487) || || '''외부링크''' || [[http://www.hwagyesa.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0TFr5tNVH7uvUpm8p0H3S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계사.jpg|width=100%]]}}} || || {{{#fff ''' 화계사 대웅전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삼각산]]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총본산 [[조계사]]의 말사이다. == 역사 == [[중종(조선)|중종]] 17년(1522년) 신월(信月)선사가 창건했다. [[고려]] [[광종(고려)|광종]] 때 탄문(坦文)과 법인(法印)이 현재 화계사 근처 부허동(浮虛洞)에 세운 보덕암(普德庵)을 신월이 서평군 이공(西平君李公)과 함께 현위치로 옮긴 것이다. [[광해군]] 10년(1618년) 화재로 전소되어 도월(道月)이 중창했다. 이후 [[고종(대한제국)|고종]] 3년(1866년)에도 낡은 건물들을 보수했다. [[구한말]]에는 [[흥선대원군]]이 개인적으로 후원을 하였다. == 소장 문화재 == === 사인비구 제작 동종 ===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물)]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11 - 5호}}}]]''' || ||<-2> {{{#fff {{{+1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 화계사 동종'''}}}[br]{{{-1 思印比丘 製作 銅鍾 - 서울 華溪寺 銅鍾[br]Bronze Bell Cast by Buddhist Monk Sain - Hwagyesa Temple, Seoul}}}}}}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화계사,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 (수유동 487) || || '''{{{#fff 분류}}}''' ||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 || '''{{{#fff 시설}}}''' || 1구 || || '''{{{#fff 지정연도}}}''' || [[2000년]] [[2월 15일]] || || '''{{{#fff 시대}}}''' || [[1683년]] ([[숙종(조선)|숙종]] 9년)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화계사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화계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계사동종.jpg|width=100%]]}}} || || {{{#fff ''' 사인비구 제작 동종 '''}}} || [clearfix] ---- 조선 후기 사인비구가 제작한 동종으로,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11-5호로 지정되어 있다. 용뉴[* 종을 매다는 고리부분]가 전통 방식과는 달리 중국 양식의 영향을 받아 쌍룡으로 만들어졌다. 종신의 상단에는 유곽과 위패 모양 조각이 번갈아 가며 배치되어 있다. 승려 사인비구가 제작한 동종은 총 8기가 전해지며, 양산 [[통도사]], 의왕 청계사 등지에 위치해 있다. ===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물)]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1822호}}}]]''' || ||<-2> {{{#fff {{{+1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br]{{{-1 서울 華溪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br]Wooden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Ten Underworld Kings of Hwagyesa Temple, Seoul}}}}}}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화계사,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 (수유동 487) || || '''{{{#fff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 || '''{{{#fff 시설}}}''' || 25점 || || '''{{{#fff 지정연도}}}''' || [[2014년]] [[3월 11일]] || || '''{{{#fff 시대}}}''' || [[1649년]] ([[인조]] 27년)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화계사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화계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계사지장보살.jpg|width=100%]]}}} || || {{{#fff ''' 지장보살삼존상 '''}}} || [clearfix] ---- 지장삼존상을 포함하여 존상 총 25좌로 명부전에 있는데 보물 제1822호로 지정받았다. 영철(靈哲)이 제작했다고 추정한다. === 대웅전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64호 ||<|2> ← || '''65호''' ||<|2> → || 66호 || || [[봉은사 선불당]] || '''화계사 대웅전''' || [[흥천사 극락보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5호}}}]]''' || ||<-2> {{{#fff {{{+1 '''화계사 대웅전'''}}}[br]{{{-1 華溪寺 大雄殿}}}}}}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화계사,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 (수유동 487)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 || '''{{{#fff 수량 / 면적}}}''' || 건물 1棟, 토지 122.3㎡ || || '''{{{#fff 지정연도}}}''' || [[1985년]] [[12월 5일]]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화계사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화계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계사대웅전.jpg|width=100%]]}}} || || {{{#fff ''' 화계사 대웅전 '''}}} || [clearfix] ---- 대웅전은 화계사의 중심 법당으로, 명부전, 천불오백성전, 보화루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다소 폐쇄적인 느낌이다. 내부에 시도유형문화재 제385호인 목좌관음보살좌상이 위치해 있다.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이다. 전면 3칸으로 그리 큰 건물은 아니다. == 교통편 == 화계사 입구에 [[동아운수]]의 차고지가 있다. [[서울 버스 121|121]], [[서울 버스 151|151]], [[서울 버스 152|152]], [[서울 버스 1115|1115]], [[서울 버스 1165|1165]], [[서울 버스 강북02|강북02]]번이 정차한다. 아니면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나 [[서울 버스 104|104]], [[서울 버스 109|109]], [[서울 버스 144|144]], [[서울 버스 1120|1120]], [[서울 버스 1128|1128]], [[서울 버스 1218|1218]], [[서울 버스 강북03|강북03]]번을 타고 [[화계역]]/화계사입구/강북노인종합복지관/화계유치원에서 내려 10분 ~ 15분 정도 걸어와도 된다. == 대중매체에서 == PC게임 〈[[임진록 2]]〉의 시나리오에서 비가 내리지 않아 군량미 확보[* 〈임진록 2〉에서는 비가 내리면 채취했던 감자가 다시 자라게 되어 재채취가 가능하게 된다.]에 어려움을 겪는 [[행주산성]] 주둔 조선군의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사명대사가 화계사에 방문하여 기우제 부적을 얻고 비를 내리게 하여 식량난을 해결한다. 게임 내 등장하는 '조선 절'과 다른 고유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건물 판정이 아니라 그냥 장식물 판정이라 맵 제작자들이 대규모 병력이 통과하기 어려운 협소한 지형을 만들때 자주 등장한다. == 같이보기 == * [[흥선대원군]] * [[회암사]] - [[흥선대원군]]이 개인적으로 후원한 왕실 원찰이 화계사라면, [[이성계]]가 후원한 왕실 원찰은 [[회암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