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1년 여수에서 현장실습생이 사망한 사건, rd1=여수 현장실습 고교생 사망사고)] [include(틀:대구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홍정운의 역임 직책'''}}}}}} || || {{{#!folding ▼ [include(틀:대구 FC/역대 주장)]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_홍정운_프로필.png|width=100%]]}}}|| ||<-3> '''{{{#051d39,#ffffff 대구 FC No. 6}}}''' || ||<-3> '''{{{#ffffff {{{+1 홍정운}}}}}}''' [br] '''{{{#ffffff {{{-2 洪正雲 | Hong Jung-Un}}}}}}''' || ||<|2><-2> '''출생''' ||[[1994년]] [[11월 29일]] ([age(1994-11-29)]세) || ||[[부산광역시]]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신체''' ||188cm, 76kg || ||<-2> '''포지션'''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 ||<|2> '''소속''' || '''유스''' ||[[부산 아이파크]] (2010~2012) || || '''선수''' ||'''[[대구 FC]] (2016~ )''' || ||<-2> '''국가대표''' ||4경기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 2015~2016)^^ || ||<-2> '''응원가''' ||[[Frankie Valli]] - [[Can't Take My Eyes off You]] [[https://www.instagram.com/p/Cyzs3QoSO1I/?igshid=MzRlODBiNWFlZA==|#]] || ||<-2> '''SNS''' ||[[https://www.instagram.com/jeonguninst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3> {{{#08162e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 || '''학력''' ||[[부산중앙중학교]] {{{-2 (2007~2009)}}} [br] [[부산개성고등학교]] {{{-2 (2010~2012)}}} [br] [[명지대학교]] {{{-2 (2013~2015)}}} || || '''병역''' ||[[전시근로역]][* 양 무릎 십자인대 파열.]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 FC]] 소속 [[센터백]]. == 클럽 경력 == === 프로 입단전 === 부산에서 태어난 만큼, 전통의 축구부로 유명한 [[부산중앙중학교]]를 거쳐 [[부산 아이파크]] U-18팀인 [[부산개성고등학교]]에 진학을 하였다. 당시 포지션은 [[공격수]]와 [[측면 미드필더]]였다. 그러다 [[명지대학교]]에서 [[김경래]]감독에게 센터백으로 포지션 전환 제의를 받고부터 인생은 180도 뒤집히게 되었다. 포지션 변경 초기에는 실수도 많았지만 김경래 감독의 믿음 덕분인지 3학년이 되던 시기에는 결국 완벽하게 센터백 포지션에 적응에 성공을 하였다. . === [[대구 FC]] === [[대구 FC]] [[조광래]]단장의 눈에 띄어 2015년 자유계약을 통해 대구로 입단을 하였다. ==== [[대구 FC/2016년|2016 시즌]] ==== 초반에는 2군에서만 뛰다가 5월 25일 12라운드 [[FC 안양]]과의 원정경기에서 후반 44분 [[감한솔]]과 교체되어 프로데뷔전을 치루게 되었다. 이후 15라운드 [[충주 험멜]]과의 홈경기에서도 후반 44분 그라운드에 잠시 뛰다 22라운드 [[대전 시티즌]]과의 경기부터 팀 포지션이 포백에서 쓰리백으로 변경되어 [[홍정운]]이 주전으로 경기에 나오는날이 많아지게 되었다. [[K리그 챌린지]]에서 손꼽히는 외국인 공격수 [[부천 FC 1995]]의 [[루키안]]과 [[경남 FC]]의 [[크리스티안 더널라케|크리스찬]]을 압도하며 많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리고 입단 첫 시즌에 팀의 승격을 경험하게 되었다. * ''' 2016시즌 기록 : K리그 20경기''' ==== [[대구 FC/2017년|2017 시즌]] ==== 2017 시즌에는 부상 때문에 주로 벤치에 있었으며, 6경기에 출전하였다. ==== [[대구 FC/2018년|2018 시즌]] ==== 시즌 초반에는 [[수비형 미드필더]]로 많이 출전하였으며, 가끔 본 포지션인 [[센터백]]으로도 뛰었다. 5라운드 [[경남 FC]]전에서 프로 데뷔골을 터뜨렸다. 월드컵 휴식기 이후 16, 17라운드 [[상주 상무]], [[제주 유나이티드]]전에서 2경기 연속 극장 결승골을 넣으며 대구에게 2승을 안겼고, 29라운드 [[상주 상무]]전에서는 팀의 [[https://m.sports.naver.com/video.nhn?id=476157&type=GAMEID|3번째 골]]을 터뜨렸다. 경기는 5:2로 승리했고, 홍정운의 골은 결승골로 기록되었다. 37라운드 [[전남 드래곤즈]]전에서 1:1로 비기고 있던 77분 [[세징야]]의 프리킥을 간결한 헤더로 밀어 넣으며 팀에게 승리를 안겼다. ==== [[대구 FC/2019년|2019 시즌]] ==== 시즌 전 머리를 [[세징야]]와 함께 노란색으로 물들였다.[* 2018년 FA컵에서 우승하면 [[세징야]], [[조세 호베르토|조세]], [[에드가 실바|에드가]]와 같이 염색하기로 약속했다고 한다.] 시즌 초반 주전 센터백으로 매 경기 출전하며 안정적인 제공권과 엄청난 수비력으로 철벽 수비를 보여 주고 있다. 팬들은 [[조현우]] 강제 레벨업 시키던 수비수들 어디 갔냐며 감탄하는 중이다. 인터뷰에서 올 시즌 목표를 밝혔는데, 패기롭게도 시즌 '''10골''' 달성이라고 한다. [[https://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77&aid=0000169525|#]] 3라운드 [[울산 현대]]전에서 골키퍼 선방에 막힌 강력한 중거리 슛으로 유효 슈팅을 적립했으며, 간간히 공격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는 모습도 보여 팬들은 저 말이 실현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4라운드 [[경남 FC]]전에서는 1:1로 비기고 있던 경기 종료 직전 치명적인 클리어링 미스를 범하며 팀의 패배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다. 8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전에서는 압도적인 질식 수비를 선보이며 무실점 승리에 기여하였으나 경기 내내 상대에게 걷어 차이며 수난을 당했다. 전반 20분 [[데이비드 아파레시두 다시우바|데이비드]]가 휘두른 발에 얼굴을 맞아 퇴장을 유도했으며, 63분 상대와의 경합 과정에서 부상으로 쓰러져 교체 아웃되었다. 다행히 큰 부상은 아니었는지 다음 경기를 정상적으로 소화하였다. FA컵 16강 [[경남 FC]]전에서 전반 13분 만에 부상으로 아웃되었다. 이 날 [[정태욱]]은 부상, [[조현우]]는 B형 독감 증세로 명단 제외되었고 후반 5분 [[김우석(축구선수)|김우석]]까지 퇴장당하면서 주전 수비 라인 전원이 리타이어된 대구는 결국 탈락을 피하지 못했다. 17라운드 [[FC 서울]]전에서 공중볼 경합 후 착지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교체 아웃되었고, 경기 후 정밀 검진 결과 좌측 십자인대 파열로 사실상 시즌 아웃 판정을 받았다. [[https://sports.naver.com/video.nhn?id=554676|9분 9초부터]] [[니시 츠바사|츠바사]]를 십자인대 파열로 잃은 대구에게 더욱 치명적인 전력 손실이 발생했다. 2019 시즌에는 16경기에 출전하였다. ==== [[대구 FC/2020년|2020 시즌]] ==== 2020 시즌 주장으로 선임되었고, 구단 역사상 최연소 주장으로 이름을 남기게 되었다. 4라운드 [[상주 상무]]전에서 전반 5분 코너킥 상황에서 결정적인 찬스를 맞았으나 골키퍼 선방에 막혔고, 이후 코너킥에서 터닝 슛을 시도했으나 슈팅 과정에서 무리가 오면서 경기 시작 10분 만에 부상으로 [[김재우(축구선수)|김재우]]와 교체되었다. 이후 우측 십자인대 파열로 시즌 아웃되었다. ==== [[대구 FC/2021년|2021 시즌]] ==== 올 시즌 앞두고 주장 완장을 [[김진혁]]에게 양도하였으며, 번호도 [[김재우(축구선수)|김재우]]와 맞바꿔서 6번을 달게 되었다. 6라운드 [[울산 현대]]전 경기막판인 90+3분에 [[이근호]]와 교체되어 약 1년만에 그라운드에 복귀하였다. 7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전에선 선발로 출전하여 풀타임을 소화했다. 이후, 8라운드 [[성남 FC]]전에서도 선발출장을 하여, 성남의 주포 [[페이살 뮬리치|뮬리치]]를 막아내는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9라운드 [[강원 FC]]전에서는 명단제외 되었다. 14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전에서 다시 복귀하여 짠물수비를 보여주다 전반 30분 무릎에 통증을 느껴 [[김우석(축구선수)|김우석]]과 교체되어 나왔다. 16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전에서도 좋은 활약을 해주었으나 [[최영은]]의 미스로 시즌 첫 실점을 내주고 말았다. 17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원정경기에서는 후반 45분에 극적인 마수걸이 동점골을 넣으며 팀을 패배의 위기에서 구해냈다. [[FA컵(대한민국)/2021년|FA컵]] 8강전 [[김천 상무]]와의 경기에 다시 선발로 출장하여 좋은모습을 보여주었으나 바로 3일뒤 [[강원 FC]]와의 경기에서는 다시 부상으로 빠지게 된다. 그리고 대구는 부상병동 속 수비불안으로 인해 결국 또 패하게 된다. 27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원정경기에 드디어 부상에서 복귀하며 선발로 출장하였다. 그리고 홍정운 자체로는 나쁘지 않은 활약을 했으나 감독의 전술적 실패로 인한 실점이 빌미가 되어 아쉽게도 복귀전에 0:2패배를 당하게 된다. [[AFC 챔피언스 리그]] [[나고야 그램퍼스]]와의 16강 경기에서 2대2 상황, 상대공격수가 들어온상황인데 볼을 걷어내지않고 지키려하는 이해할 수 없는행동을 보이다가 몸싸움에서 완벽하게 나가떨어지며 역전골을 헌납하였다. 31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6시즌만에 '''K리그 통산 100경기'''를 달성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_1632463671398_750.jpg|width=100%]]}}}|| ||<#59B8F6> {{{#fff '''홍정운 100경기 기념품'''}}} || FA컵 결승전 마지막 경기에선 전반 20분에 팔꿈치를 날려 '''다이렉트 퇴장을 당하는 바람에''' 대구의 전략이 완전히 꼬여버렸고 눈앞에서 트로피를 날려먹는 원흉이 되고 말았으며 패배에 큰 기여를 했다. 결국 전남이 4 : 3 역전승으로 FA컵 우승을 차지했다. 대구 팬들에게 손에 꼽는 최악의 상황이였고 21시즌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합쳐 33경기 출전 3골. ==== [[대구 FC/2022년|2022 시즌]] ==== 2021년을 끝으로 대구와 계약이 종료될 예정이라 9월부터 [[인천 유나이티드]]와 [[성남 FC]]로 이적한다는 얘기가 많았다. 하지만 12월 21일 대구와 2년 재계약을 하며 대구에 잔류하게 되었다. 현재 건강 문제로 2R 전북전 이후로 경기에 나오지 않고 있는데 코로나 확진이 의심된다. 오랫동안 못 나오다가 아챔부터 해서 점차 출전을 늘려가고 있다. 13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 원정경기에서 전반 16분 [[세징야]]의 코너킥을 헤더로 집어넣어 선제골을 기록했으나, 이후 세컨볼을 걷어내는 과정에서 [[스테판 무고사|무고사]]에게 볼을 넘겨주어 실점의 원인을 제공하고 말았다. 16라운드 [[성남 FC]] 원정 경기에서 후반 67분 안일하게 볼을 걷어내려다 성남의 동점골의 시초가 되는 수비 실책을 범하고 말았다. 특히 수비실책이후 빠르게 골문앞으로 가서 [[마누엘 팔라시오스|팔라시오스]]를 막으려 했으나 역으로 팔라시오스를 막으려다 뒷공간에 있는 성남 공격수들에게 프리한 상황을 만들어주며 동점골을 먹히게 되었다. 그러면서 팬들에게 예전같지 않은 폼을 계속 보여준다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17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홈경기에서 수비력을 보여주며 대구의 무실점 승리에 큰공헌을 하였다. [[포항 스틸러스]]와의 FA컵 8강 홈경기에서 전반 21분 동점골을 기록하며 팀 4강 진출에 기여했다. 그리고 이 골은 커리어 첫 홈 득점이다. 하지만 이 경기에서 태클을 하는과정에서 착지 실수로 팔꿈치 부상을 당하면서 또 다시 오랜시간동안 나오지 못하게 되었다. 수원과의 홈 경기에서도 나왔지만 여러 번 위태로운 수비는 물론이요 실점 두 번에 모두 관여하며 결국 후반 20분 전에 교체당했다. 두 번째 골은 파울 시비가 있었지만 큰 이슈는 발견되지 않았다.[* 대구 팬들과 선수들이 심판 판정에 어필이 상당히 강하다는 걸 감안해야 한다.]특히 두 번째 실점에서는 아예 밀려 날아가고 말았다. 35,36 라운드 베스트11에 선정되었다. 22시즌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합쳐 33경기 출전 4골. ==== [[대구 FC/2023년|2023 시즌]] ==== 2023시즌 개막전 [[포항 스틸러스]]와의 원정경기에서 전반 29분 [[고재현]]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후반막판에 [[이호재(축구선수)|이호재]]에게 동점골과 역전골의 빌미를 내주며 2:3 역전패의 원흉이 되었다. 그 이후로 부침있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김진혁, 조진우와 함께 대구 수비진을 잘 이끌었고, 활약을 인정받아 18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26라운드 인천전에서 초반부터 김진혁과 불안한 면모를 보여주더니 결국 일이 터지고야 말았다. 황재원이 애매하게 거둬낸 공을 이진용이 떨궈줬지만, 제르소에게 몸싸움 속도 모두 밀리고 3번째 실점도 제르소를 제대로 마킹하지 않으며 실점의 빌미를 제공하고 말았다... 33라운드 수원 FC전에선 안정적으로 수비리딩을 하였지만 애매하게 거두며 이승우에게 역전골 실점의 빌미를 제공하고 말았다. 결국 실점 이후 곧바로 김강산과 교체되었다. 올시즌을 끝으로 계약이 만료되는 상황에서 [[울산 현대]]가 관심이 있다. 내년부터 홍명보 감독 체제에서 스리백으로 포메이션을 변경하려는 울산이 홍정운에게 스위퍼를 맡길 전망이다. == 국가대표 경력 == 대학교 때 [[신태용]] 감독의 눈에 띄어 2015년부터 2016년까지 U-23 대표팀에 종종 선발되었고,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준우승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공식 출전 기록은 없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ie6yZcA4sZ4)] 제공권에서 상당한 강점을 보이는 선수로 위치 선정도 준수하다. 중앙에서 수비를 조율하고 빌드업을 주도하는 커맨더형 센터백으로, 대구 3백의 중심을 잡아주고 있다. 수비 조율과 빌드업 능력이 상당히 좋아 홍정운이 없거나 흔들릴 때 대구 수비가 흔들리는 경우가 잦다. 다만 주력이 느린 데다가 두 차례의 장기 부상 이후로, 이전의 좋았던 폼만큼 올라오진 못하고 있다. 잔실수도 꽤 있는 편이다. == 기록 == ||<|2> {{{#fff 시즌}}} ||<|2> {{{#fff 클럽}}} ||<|2> {{{#fff 소속 리그}}} ||<-3> [[K리그|{{{#fff 리그}}}]] ||<-3> [[대한축구협회 FA컵|{{{#fff FA컵}}}]] ||<-3> [[AFC 챔피언스 리그|{{{#fff 대륙 대회}}}]] ||<-3> {{{#fff 합계}}} || || {{{#fff 경기}}} || {{{#fff 득점}}} || {{{#fff 도움}}} || {{{#fff 경기}}} || {{{#fff 득점}}} || {{{#fff 도움}}} || {{{#fff 경기}}} || {{{#fff 득점}}} ||{{{#fff 도움}}} || {{{#fff 경기}}} || {{{#fff 득점}}} ||{{{#fff 도움}}} || || [[대구 FC/2016년|{{{#0c4ca3 '''2016'''}}}]] ||<|8> [[대구 FC]] || [[K리그 챌린지]] || 20 || 0 || 0 ||<-3><|2> - ||<-3><|3> - || 20 || 0 || 0 || || [[대구 FC/2017년|{{{#0c4ca3 '''2017'''}}}]] || [[K리그 클래식]] || 6 || 0 || 0 || 6 || 0 || 0 || || [[대구 FC/2018년|{{{#0c4ca3 '''2018'''}}}]] ||<|6> [[K리그 1]] || 35 || 5 || 2 || 6 || 0 || 0 || 41 || 5 || 2 || || [[대구 FC/2019년|{{{#0c4ca3 '''2019'''}}}]] || 16 || 0 || 0 || 1 || 0 || 0 || 6 || 0 || 0 || 23 || 0 || 0 || || [[대구 FC/2020년|{{{#0c4ca3 '''2020'''}}}]] || 4 || 0 || 0 || 0 || 0 || 0 ||<-3> - || 4 || 0 || 0 || || [[대구 FC/2021년|{{{#0c4ca3 '''2021'''}}}]] || 24 || 1 || 0 || 3 || 1 || 0 || 6 || 1 || 0 || 33 || 3 || 0 || || [[대구 FC/2022년|{{{#0c4ca3 '''2022'''}}}]] || 25 || 2 || 0 || 2 || 1 || 0 || 6 || 1 || 0 || 33 || 4 || 0 || || [[대구 FC/2023년|{{{#0c4ca3 '''2023'''}}}]] || 33 || 0 || 1 || 2 || 0 || 0 ||<-3> - || 35 || 0 || 1 || ||<-3> {{{#fff '''통산'''}}} || '''163''' || '''8''' || '''3''' || '''14''' || '''2''' || '''0''' || '''18''' || '''2''' || '''0''' || '''195''' || '''12''' || '''3''' || * 2023시즌 종료 기준 * [[https://portal.kleague.com/common/search/popUpPlayerDetail.do?playerDetailInfo=20160123|[[파일:K리그 로고.svg|width=20]] 홍정운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DB === 우승 기록 === * [[대구 FC]] * [[대한축구협회 FA컵]] : 2018 == 여담 == * 팀 동료인 [[세징야]]와 생일이 같다. * [[안와상융기]](T존) 때문에 축구 커뮤니티에선 얼굴이 서양인같다는 얘기가 많이 오간다. * 2018년 12월 15일에 결혼하였으며, 2021년 6월 9일에 아들이 태어났다. * 병역은 양쪽 무릎 십자인대 파열로 전시근로역 판정을 받았다.[[https://www.chosun.com/sports/sports_photo/2021/02/18/VDY2R27R7J5FOYKQVNWNSJRT3Q/?outputType=amp|#]] [[분류:1994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센터백]][[분류:수비형 미드필더]][[분류:대구 FC/현역]][[분류:개성고등학교 출신]][[분류:명지대학교 출신]][[분류:대구 FC/역대 주장]][[분류: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