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EDD200> {{{+1 '''{{{#000000 역대}}}''' [[대종상|[[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width=120]]]]}}} || ||<#FFFFFF,#191919><-5> [[파일:daejongawards.png|width=50]] || ||<#EDD200><-5> {{{#000000 '''최우수작품상'''}}} || || 제11회[br]([[1972년]]) || {{{+1 →}}} || '''제12회[br]([[1973년]])''' || {{{+1 →}}} || 제13회[br]([[1974년]]) || || [[의사 안중근]] || {{{+1 →}}} || '''홍의장군''' || {{{+1 →}}} || [[토지(영화)|토지]] || ||<#EDD200><-5> || ||<-2> {{{+1 '''홍의장군'''}}} (1973)[br]紅衣將軍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홍의장군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이두용]] || || '''원작''' || 백철 || || '''각본''' || 문상훈, [[이두용]] || || '''기획''' || 강인옥, 이재훈 || || '''제작''' || [[곽정환(영화제작자)|곽정환]] || || '''주연''' || [[황해(배우)|황해]], [[고은아(1946)|고은아]], [[도금봉]] || || '''촬영''' || 손현채 || || '''조명''' || 김동포 || || '''편집''' || 이경자 || || '''음악''' || 황문평 || || '''미술''' || 이봉선 || || '''제작사''' || 합동영화주식회사 || || '''개봉일''' || [[1973년]] [[10월 13일]] || || '''개봉관''' || 명보극장 || || '''관람인원''' || 8,636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두용]] 감독의 1973년 개봉 영화. 이두용 감독의 첫 사극으로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 [[곽재우]]의 무용담을 그린 이야기다. 천강홍의장군(天降紅衣將軍) 줄여서 홍의장군은 ‘하늘에서 내려온 붉은 옷의 장군’이란 뜻으로 곽재우의 별칭이다. == 출연진 == * [[황해(배우)|황해]] – [[곽재우]] 역 * [[고은아(1946)|고은아]] – 김씨(곽재우의 처) 역 * [[도금봉]] – 허씨(최승의 처) 역 * [[신구]] – 안국사 역 * [[조춘(배우)|조춘]] – 왜장 역 == 줄거리 == 초야에 묻혀있던 [[곽재우]]([[황해(배우)|황해]])는 [[임진왜란]]을 맞아 [[가재(동음이의어)#家財|가재]]를 털어 [[의병]]을 일으킨다. 그는 교묘한 지략으로 도처에서 왜병을 격파하고 그의 위세에 왜군 총대장 [[가등청정]]은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후퇴하는 왜병들을 결사의 항쟁으로 물리치지만 의병들도 많이 전사하게 된다. 동료를 잃고 허탈에 빠진 곽재우에게 조정에서 그의 공을 찬양하여 상을 내리지만 곽재우는 모든 벼슬을 사양하고 비파산에 들어가 조용히 여생을 마친다. == 수상 == * 1973년 제12회 [[대종상]] 최우수작품상 == 여담 == [[조춘(배우)|조춘]]이 처음으로 [[삭발]]을 하고 출연한 영화라고 한다. 이후 [[대머리]] + 악역은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다. [[분류:한국 영화]][[분류:1973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12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