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경북대학교 총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1F26 0%, #DB1F26 20%, #DB1F26 80%, #DB1F26)" '''{{{#ffffff 제19대 경북대학교 총장}}}[br]{{{#ffffff {{{+1 홍원화}}}[br] 洪元和 | Hong Won-hw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홍원화 총장님1.jpg|width=100%]]}}} || ||<|2> '''출생''' ||[[1963년]] [[4월 4일]] ([age(1963-04-04)]세) || ||[[경상북도]] [[예천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본관''' ||[[남양 홍씨]] 토홍계[*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29세 화(和) 항렬.] || || '''학력''' ||[[대구중앙중학교]] {{{-2 ([[졸업]])}}}[br][[경원고등학교]] {{{-2 ([[졸업]])}}}[br][[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경북대학교 공과대학]] {{{-2 ([[건축공학]] / [[학사]])}}}[br][[와세다대학|와세다대학 대학원]] {{{-2 ([[건축공학]] / [[석사]] · [[박사]][* 박사학위논문 : [[https://ndlonline.ndl.go.jp/#!/detail/R300000001-I000000285540-00|建築機能の面からみた都市供給処理施設の自立化に関する研究 (1994)]]])}}} || || '''현직''' ||제19대 [[경북대학교]] 총장 || || '''약력''' ||[[와세다대학]] 이공학종연구센터 책임연구원[br][[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교수[br][[건설교통부]] 신도시건설 자문위원[br][[경북대학교]] 대외협력처장[br][[경북대학교]] 산학협력처장[br][[경북대학교 공과대학]]장[br][[경북대학교/대학원|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장[br][[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공학기반단장[br]제26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br][[국가교육위원회]] 위원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color: #fff" [[파일:220224.png|width=70]]}}}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wonhwa_ho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공학자이자 교육인이며, 국립대학 총장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공과대학]] [[건축공학과|건축토목공학부]]에서 교수로 재직하다 [[2020년]] 제19대 경북대학교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 생애 == [[1963년]] [[4월 4일]] [[경상북도]] [[예천군]]에서 아버지 홍승국(洪承國, 1935. 5. 30 ~ 2022. 5. 1)과 어머니 [[경주 김씨]] 김귀호(金貴鎬, 1937. 1. 9 ~ )[* 김자룡(金子龍)의 딸이다.] 사이의 1남 2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출생 이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現 [[대구광역시]])로 이사하였다. [[대구중앙중학교]], [[경원고등학교(대구)|경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2년]]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에 진학하였다. 1986년 학부 졸업 후 [[일본]] [[와세다대학|와세다대학 대학원]]으로 유학해 1992년 [[건축공학]] [[석사]] 학위, 1994년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이후 귀국해 1999년 모교인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이후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대외협력처장,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산학연구처장,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공과대학장 겸 산업대학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20년]] [[10월 20일]] 본교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총장 취임 후 기존 슬로건에 '''다시 뜨겁게, 다시 자랑스럽게!'''라는 슬로건이 추가되었다. [[2022년]] [[1월 26일]]에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으로 선출되었고 1년 임기 이후 [[장제국]] [[동서대학교]] 총장에게 직을 물려주고 대교협 회장직에서 퇴임하였다. [[https://www.news1.kr/articles/?4567375|#]] == 저서 == * 『2·18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기록과 교훈』, 2005, 119매거진 * 『인간과 주거문화』, 2013, 경북대학교출판부 == 업적 == === 세계 대학 평가 === [[2021년]]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의 'THE 세계대학 영향력 평가'에서 세계 54위, 국내 2위를 달성하였으며, [[2022년]]에는 라이덴 대학의 '2022 THE IMPACT RANKINGS'에서 세계 13위, 국내 1위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20년]]에는 국내 17위였으며, 당시 [[영남대학교]], [[부산대학교]]와 순위가 같았었다. '2021 세계대학랭킹센터 대학평가(CWUR)'에서는 세계 402위, 국내 9위를 달성하였으며, '2022 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는 아시아 93위, 국내 12위[* [[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건국대학교]], [[울산대학교]]와 공동 12위를 하였다.]를 달성하였다. === 일청담 재단장 === 2023년 6월부터 일청담을 비롯해서 주변일대에 대한 조경공사를 착수해서 약 160일 간의 공사기간을 거쳐서 11월에 일청담 새단장을 완료하였다. 새로운 광장이 마련되고 소공연이 가능한 야외무대와 잔디스탠드가 조성되고 연못 주변에는 안전을 위한 돌난간이 설치됐다. 기존 꽃시계가 있던 자리에는 장미공원과 장미터널이 만들어졌다. 야간 경관 조명을 보강해 안전은 물론 볼거리도 제공한다. 특히 일청담 광장 일대에 설치된 통석 의자 45개는 경북대 개교 77주년을 기념해 동문들이 전달한 기금으로 마련됐다.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2023/11/16/CMVTX67UHRC3XHGIKUNWEUTMXQ/|경북대 명물 ‘일청담’, 62년만에 복합 커뮤니티 공간으로 새 단장]] === 대구캠퍼스 보행로 정비 === 대구캠퍼스에 차도와 인도가 불명확한 경우가 많았는데 본관 앞과 향토관, 첨성관 인근에 보행로를 설치하였다. == 논란 == === 2021년 7월 모더나 접종 논란과 해명 === [[2021년]] [[7월 23일]] [[칠곡경북대병원]]에서 의료진용으로 배정된 [[모더나]] 백신을 접종한 적이 있다. 해당 백신은 [[질병관리청]]에서 30세 미만의 의료 종사자, 30세 이상 보건의료인 중 신규 입사자,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은 30세 이상 필수인력에 배정한 것이지만, 아무도 접종하려 하지 않았다. 병원 측에서도 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수소문했지만 직원들도 자신의 지인들(여기서는 의료인력에 해당하는 지인을 한정한다.)이 접종 후 사망했다는 이유로 접종을 거부하였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이사장인 그의 차례가 되자 그가 접종한 것이다. [[http://news.imaeil.com/page/view/2021072314172121493|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홍 총장의 백신 접종은 법적으로 아무런 하자가 없다고 할 수 있다. === 교육부 글로컬대학 탈락 === 2023년 6월 21일 교육부에서 발표한 [[글로컬대학 30]] 예비지정에서 탈락하였다. 글로컬대학 30 선정 받기 위한 노력과 준비가 미흡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한편 글로컬 대학 30에서 탈락한 이유가 국립대 통합을 주문했던 교육부 정책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일었는데 경북대는 대구교육대학교와 통합을 추진하고자 했으나 대구교대의 반대로 성사되지 못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부산대와 부산교대가 상호 통합을 결정하고 글로컬대학 30에 선전된 것과는 대조적이어서 아쉬움을 주기도 했다.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30621010002848|기사]] === 채용비리 논란 === 재임 중 교수채용 비리 논란이 자주 일어났다. 대표적으로 국악학과 교수채용 비리 의혹이 가장 많은 논란이 되었다. 2021년 신규 교수 채용 당시 특정인을 채용하기 위해서 심사기준을 변경해서 채용 절차를 진행했다는 혐의가 제기되었다. 이밖에도 음악학과 등 여러 학과에서 채용 공정성 문제가 불거졌다. 물론 1차적으로는 해당 학과에서 채용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은 것이 주원인이기는 하지만, 총장으로서 이를 제대로 감독하고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https://www.imaeil.com/page/view/2023061817142238108|기사]] === 금오공대 통합 추진 논란 === 2023년 12월 4일 매일신문을 통해서 금오공대와 통합을 추진한다는 기사가 보도되면서 큰 논란이 되었다. [[https://www.imaeil.com/page/view/2023120416032991365|기사]] 금오공과대학교와 통합을 추진하면서 학생들을 중심으로 대학 구성원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였다. 12월 5일 오전부터 경북대 재학생들이 과잠과 학잠을 본관 계단에 벗어 놓는 행동으로 금오공대와의 통합에 반대 목소리를 냈다. 12월 7일 경북대 본관 계단엔 각 학과의 점퍼가 가득 깔린 데 이어 근조화환과 경북대 상징 영정사진까지 등장했고, 통합 반대 온라인 서명 운동도 시작됐다. [[https://www.imaeil.com/page/view/2023120717125911808|경북대-금오공대 통합에 반발…경대에 근조화환, 영정사진까지 등장]] 사태가 심각해지자 구성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면서도 "통합 논의는 단순 내부 문제 해결이 아니라 지역·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적극 노력의 일환으로 이해돼야 한다"라고 밝혀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으니 너는 대답만 해) 식의 대응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3120811052106315|경북대, 답정너 논란 "금오공대 통합, 전적으로 부정할 수 없어"]] 12월 8일 기준 경북대학교 본관 앞 계단에는 재학생들이 입었던 과잠과 학잠들이 일렬로 깔려 있다. 지금도 몇 벌씩 새로 깔린 과잠을 볼 수 있다. 교수와 학생들의 의견 하나 구하지 않은 졸속 통합에 대해서 학생들의 반대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 수 있다. 경북대학교 재학생들의 인스타그램과 네이버 블로그에서도 통합 반대의 목소리가 들리고 있으며, 경북대학교 재(휴)학생과 졸업생만 로그인해서 볼 수 있는 복현의 소리에서도 통합 반대의 의견이 속속 나오고 있다. == 여담 == * 본인 소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운영하고 있다.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간혹 학부생·대학원생과 함께 촬영한 셀프카메라 사진이 종종 올라오며, 학부생들과 함께 촬영한 셀프카메라 사진의 비중이 높다. [[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공학 교수]][[분류:경북대학교 총장]][[분류:예천군 출신 인물]][[분류:남양 홍씨(토홍)]][[분류:1963년 출생]][[분류:대구중앙중학교 출신]][[분류:경원고등학교(대구) 출신]][[분류:경북대학교 출신]][[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공학자]][[분류:경북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