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홍묵}}}'''[br]'''洪默'''}}}}}} || || '''자''' ||명부(明夫) || || '''본관''' ||[[홍(성씨)|부림 홍씨]](缶林)[* 대율파-신리(莘里)파 23세 섭(燮) 항렬. 족보명은 홍하섭(洪夏燮).] || ||<|2> '''출생''' ||[[1892년]] || ||[[경상도]] [[군위군|의흥현]] 부남면 황청리[br]{{{-1 (현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동산리 황청리마을[* 인근의 남산리·대율리와 함께 [[홍(성씨)|부림 홍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진옥련]]도 이 마을 출신이다.] 982번지[*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443002&docid=0011075759&mngno=BJCA320127&want=1|1914년 작성된 지적원도]]에 따르면, 1914년 당시 이 지번은 홍묵의 아버지 홍기순(洪祺舜, 1858 ~ 1948)의 소유로 되어 있었다. 이후 이 지번은 1980년 8월 27일 21촌 지간의 족증손(族曾孫) 홍연화(洪淵和, 1941. 10. 14 ~ )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 || '''사망''' ||[[1934년]] [[5월 10일]]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5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채송대]]는 그의 첫째 매부이다.[* 첫째 여동생(1898. 6. 20 ~ ?)의 남편이다.] == 생애 == 홍묵은 1892년 경상도 의흥현 부남면 황청리(현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동산리 황청리마을 982번지)에서 아버지 홍기순(洪祺舜, 1858 ~ 1948)과 어머니 [[채(성씨)|인천 채씨]](仁川 蔡氏, 1867 ~ 1921) 사이의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일찍이 곽종석의 문하에서 한문을 수학하였다. 1926년 1월, [[중화민국]] [[베이징시]] 등지에서 활동하던 [[김창숙]]은 군자금 모금차 밀입국하였는데, 그는 [[내몽골]] 지방의 미개간지 및 황무지 20만 [[정보#s-2|정보]](町步)[* 6억 평 정도.]를 매입하여 이상촌(理想村)을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즉, [[만주]] 지역의 한인들을 집결시켜 개간사업을 일으키고, 그 수익금으로 무관학교를 설립하여 군대를 양성하는 둔병식(屯兵式) 제도를 실시함으로써 10년 동안의 실력양성을 통하여 독립을 달성한다는 원대한 포부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홍묵은 김창숙의 밀명을 받고 경북 지역의 담당자로 파견된 [[정수기(독립운동가)|정수기]]와 함께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345|이기원]](李基元)의 집에 가서 군자금을 요청하는 등 유림단(儒林團)의 일원으로서 활동하던 중, 1926년 4월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후 1927년 1월 21일 대구지방법원의 예심에서 소위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정치에 관한 범죄 처벌의 건 위반·[[치안유지법]] 위반·총포화약류 취체령 위반 및 강도 혐의에 대해 [[면소]][[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203&evntId=0034988687&evntdowngbn=Y&indpnId=0000019903&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로]] [[불기소처분]]을 받고 당일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920&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2572&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출옥했다]]. 출옥 후 옥고의 여독으로 고통받다가 1934년 5월 10일 별세하였다. 1995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부림 홍씨]][[분류:군위군 출신 인물]][[분류:1892년 출생]][[분류:1934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