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혼천전도.jpg]] [목차] == 개요 == 渾天全圖. [[조선]] 후기에 그려진 천문도. 지리학자 [[김정호]](金正浩)가 19세기 중엽 [[여지전도]](輿地全圖)와 함께 한 쌍으로 제작하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현재 필사본과 목판 원본이 모두 남아있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 [[성신여자대학교]] 등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천문도로 전통적인 천문 형식을 바탕으로 유럽의 성도 형식을 절충한 것이다. 남북 방향의 [[항성]] 336좌 1,449성과 눈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한 남반구의 항성 33좌 121성이 기록되어 있다. 천문도 외에는 칠정주천도(七政周天圖)[* [[태양|해]]와 [[달]]을 비롯한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그림 및 크기와 거리, 천체운행을 해설한 내용이다. 천체의 거리나 크기 등에 관한 내용은 현대과학으로 도출된 수치와 비교했을 때 정확하지는 않으나, 그림의 경우에는 [[목성]]과 [[토성]]의 위성까지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 이십사절신혼중성(二十四節晨昏中星)[* 이십사절기의 새벽과 저녁에 가장 높이 뜨는 별을 나타낸 표], 일월교식도(日月交食圖)[*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는 원리를 나타낸 글과 그림], 이십사절태양출입시각도(二十四節太陽出入時刻圖)[* 이십사절기에 해가 뜨고 지는 시각을 나타낸 표], 칠정고도(七政古圖)[*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관을 담았다.], 칠정신도(七政新圖)[* [[티코 브라헤]]의 절충론적 우주관을 담았다.], 현망회삭도(弦望晦朔圖)[* 달의 모양이 변하는 이치를 해설한 그림과 글.]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통 천문 지식과 서양 천문 지식의 융합을 보여주는 유물 중 하나이다. == 여담 == 북한 소재 판본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항목 참조. == 외부 링크 == * [[http://kyudb.snu.ac.kr/contents/content_detail.do?code=A00101&a_code=A01&b_code=B03&c_code=&num=101|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혼천전도(渾天全圖)]]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8223&cid=46637&categoryId=46637|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혼천전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4600&cid=40942&categoryId=32286|두산백과 : 혼천전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45585&cid=51293&categoryId=51293|e뮤지엄 : 혼천전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23138&cid=42469&categoryId=42469|천문학 작은사전 : 혼천전도]] [[분류:조선의 천문서]][[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김정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