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다|[[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어코드 인스파이어 11세대 전면.jpg|width=100%]]}}} || || {{{#ffffff '''INSPIRE'''}}} || [목차] '''HONDA Inspire''' '''Acura Vigor / TL''' == 개요 == [[혼다]]의 준대형 세단. 1989년부터 일본 내수용으로 출시했으며, 각국마다 수출명이 달랐다. 1세대는 [[아큐라 비거]], 2세대는 [[아큐라 TL]]로 판매했다가 3~5세대는 북미형 [[혼다 어코드|어코드]] 6~8세대와 동일하게 2012년까지 팔렸다. 이후 2018년부터 어코드의 앞/뒤, 실내를 고급화하며 중국 전략형 명칭으로 부활했다. [[대한민국]]에 들어온 7/8세대 [[혼다 어코드|어코드]]는 바로 인스파이어다. == 시대별 역사 == === 1세대 (CB5/CC2/3 계통, 1989~1995) === ||[[파일:external/1adcda7e5e58079dda9bcca6802379f2e4d5817f555a593f0071cce12bed5d1d.jpg|width=100%]] 전면부||[[파일:external/2b33465e8896d7027b0c34c1460daf710a5c2732da3177be75f81f283504c1a3.jpg|width=100%]] 후면부|| 1989년 어코드의 서브타이틀로 새롭게 탄생한 어코드 인스파이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게 되었는데, 1992년부터 어코드의 서브타이틀에서 버리고 인스파이어로 판매되었다. 문제는 당사의 동급인 비거와 판매간섭이 심한 건 매한가지였고, ~~게다가 양쪽 다 4도어 하드탑으로 병행판매 해왔다는 거...~~ 경쟁사인 [[토요타 크라운]]과 [[닛산 세드릭]] / [[닛산 글로리아|글로리아]] 그리고 [[마쓰다 루체]]에게 밀린 것도 모자라 1990년에 혜성같이 등장한 [[미쓰비시 디아망떼]]의 복병때문에 판매량 면에서 완전히 탈탈 털려 꼴찌로 등극하여, 1995년에 단종을 맞이하였다. 비화이자 여담이지만, [[대우 아카디아]]가 선보일 무렵에 [[대우 브로엄]]을 원래 이 차종으로 [[배지 엔지니어링]]하면서 판매하려고 했으나, 앞모습과 옆모습이 대우 아카디아와 비슷해보여 아카디아가 안팔린다는 이유만으로 대우자동차 이사진들의 반발때문에 철회되었다. === 2세대 (UA1/2/3 계통, 1995~1998) === ||[[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honda_inspire_25gx_4.jpg|width=100%]]||[[파일:external/22efe4e6caa44a6e1e495c8c31683b088f9f814dcde54cc7d66f5a568cde0d88.jpg|width=100%]]|| ||전면부||후면부|| 1995년에 풀체인지가 되었지만, 여전히 고급화면에서 너무 딸린 탓인지 [[토요타 크라운]]과 [[닛산 세드릭]] / [[닛산 글로리아|글로리아]] 그리고 [[미쓰비시 디아망떼]]에게 벽을 넘지 못하고 판매가 저조했던 데다가 [[토요타 아발론]][*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생산된 내수/수출 겸용차량으로 판매되었다. 단 내수용 차량은 1세대만 판매되었고, 수출용 2세대는 내수용을 프로나드로 판매되었다.]이라는 복병까지 등장하여 1998년에 4도어 하드탑은 막을 내리고 단종하였다. 1996년부터 해당 차량을 기반으로한 쿠페 [[아큐라 CL]](YA-1)이 미국 오하이오 이스트리버티 현지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은 비엠 모터스라는 그레이 임포터를 통해 수입되었다. === 3세대 (UA4/5 계통, 1998~2003) === ||[[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honda_inspire__32v_6.jpg|width=100%]]||[[파일:external/5a240af9f29261942ac9802514e8bff4a82d3e69f0ffdd193354be21af7322a0.jpg|width=100%]]|| ||전면부||후면부|| 1998년에 4도어 세단으로 풀체인지되었다. 명성이 떨어진 인스파이어를 수습하고 재기하기엔 너무 늦어버린 면도 있지만, 미쓰비시 디아망떼를 간신히 넉다운시켜 보내버리는 데에 성공한다. 하지만 토요타 크라운과 닛산 세드릭 / 글로리아의 판매량을 뛰어넘기엔 매우 벅찼고 토요타의 또 다른 복병인 ~~아발론에서 이름만 바뀐~~ [[토요타 프로나드|프로나드]][* 토요타에서 2000년부터 2005년까지 판매한 내수용 차종으로 2세대 아발론과 동형이다.]에 밀려 2003년까지 생산되다 단종되었다.[* 정작 웃긴 것은, 그 프로나드 역시 죽을 쓰고 7,00대 가량만 판매된 후 단종되었다는 것이다. 그 덕에 아발론은 [[일본]] 시장에서 안 팔리고 있다.] 역대 인스파이어 중 유일하게 미국에서 역수입되었다. ||[[파일:honda_inspire_type-s_7.jpg|width=100%]]||[[파일:honda_inspire_type-s_5.jpg|width=100%]]|| |||| '''Type-S''' (2001.4 ~ 2003.5) || 이때부터 미국에서 생산되었다. === 4세대 (UC1 계통, 2003~2007) === ||[[파일:honda_inspire_7.jpg|width=100%]]||[[파일:honda_inspire_5.jpg|width=100%]]|| |||| 2003.06 ~ 2005.10 |||| ||[[파일:혼다 인스파이어.png|width=100%]]||[[파일:honda_inspire_90.jpg|width=100%]]|| |||| 2005.11 ~ 2007.11 |||| 2003년에 생산을 시작하여 판매에 돌입하였으며, 형제차였던 북미형 어코드보다 더 고급스러운 형태였다. 이 세대부터는 미국에서 역수입하지 않고 일본 생산으로 다시 돌아왔다. 2005년에 대대적인 페이스리프트를 단행해 2007년까지 생산하고 단종되었다. 여담으로 1년 뒤에 출시한 [[현대자동차]]의 NF[[쏘나타]]가 이 차량의 후면부와 비슷하게 생겼었던 탓에 디자인 표절 논란 문제가 일어난 적이 있었다. [*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외국 자동차를 많이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의 편견에 의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NF 쏘나타와 이 차의 후면을 비교해 보면 테일램프가 가로로 길고 상하로 나눠져 있다는 공통점이 있을 뿐 그 외의 닮은 구석이 전혀 없다. 북미형 어코드의 테일램프는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상하로 두터워지는 디자인이며 번호판 옆까지 꽉 차 있으나, NF 쏘나타의 테일램프는 상하 폭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번호판 옆에 공간을 두고 있다. 이때문에 얼핏 볼 때의 인상부터 전혀 다르다. 오히려 TG 그랜저의 테일램프 쪽이 윗부분이 이어져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북미형 어코드와 닮아 있다.] ||[[파일:honda_inspire_19.jpg|width=100%]]||[[파일:honda_inspire_89.jpg|width=100%]]|| || 2003.06 ~ 2005.10 || 2005.11 ~ 2007.11 || 여담으로 이 대시보드는 뜬금없게도 아큐라 TSX에 사용되었다. 그러니까 아큐라 TSX의 원 모델인 국제시장용 어코드에 인스파이어의 대시보드가 들어가고 진짜 인스파이어인 북미헝 어코드에 국제시장용 어코드의 대시보드가 들어갔다. === 5세대 (CP3 계통, 2007~2012) === ||[[파일:external/d17059e2c99c825d7aa0592aa4ec351beeadbffa3c75488105b7861db68786e9.jpg|width=100%]]||[[파일:external/80a2a9a8aed97c804cd9203d2c64ce0d227b9b9528309b2d6bed3775a6e8baf6.jpg|width=100%]]|| ||전면부||후면부|| 2007년에 풀체인지되어 새롭게 바뀌었다. 내수시장은 인기가 적어져 외면을 받게 되어 판매량이 점점 떨어졌고, 간간히 팔리다 2012년에 단종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후 인스파이어의 자리는 지역마다 달랐던 차체를 통합시킨 9세대 [[혼다 어코드|어코드]]가 맡게 된다. [[명탐정 코난]]에서 나가노 현경(강원지방경찰청)소속의 형사이자 [[야마토 칸스케]] 경부(양만호 반장)의 부하 형사이자 소꿉친구인 [[우에하라 유이]] 형사(우하라 형사)가 모는 차로 나온다. 색상은 파란색이고 2007년형 모델이다. === 6세대 (2018~202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스파이어 10세대 어코드 전기형.jpg|width=100%]]}}}|| ||<-2> '''{{{#ffffff 전기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스파이어 10세대 어코드 후기형 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스파이어 10세대 어코드 후기형 2.jpg|width=100%]]}}}|| ||<-2> '''{{{#ffffff 후기형}}}'''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스파이어 10세대 어코드 후기형 3.jpg|width=100%]]}}}|| ||<-2> '''{{{#ffffff 실내}}}''' || [[혼다 스피리어|스피리어]]의 후속으로 2018년부터 중국의 [[둥펑 혼다]] 및 [[광치 혼다]]에서 10세대 어코드의 외관을 일부 변경하여 이 이름으로 팔리고 있다. 1.5T 및 2.0L 하이브리드가 팔렸다. === 7세대 (2023~현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코드 인스파이어 11세대 전면.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코드 인스파이어 11세대 후면.jpg|width=100%]]}}}|| ||<-2> '''{{{#ffffff 외관}}}'''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코드 인스파이어 11세대 실내.jpg|width=100%]]}}}|| ||<-2> '''{{{#ffffff 실내}}}''' || 어코드가 11세대로 풀체인지됨에 따라 2023년 5월 공개됐다. 범퍼를 살짝 늘려서 전장이 10mm 늘어났다. 인테리어도 북미 어코드보다 굉장히 고급스럽게 꾸몄고, 1.5T와 2.0L e:PHEV가 팔리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혼다의 차량)] [[분류:혼다/생산차량]][[분류:1989년 출시]][[분류:준대형 세단]][[분류:중형 세단]][[분류: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