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다|[[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 혼다 릿지라인.png|width=100%]]}}} || || {{{#ffffff '''RIDGELINE'''}}} || [목차] '''Honda Ridgeline''' == 개요 및 공통사항 == [youtube(CM8s_qOU2QA)] [[타임랩스]]를 활용한 릿지라인 광고. [[일본]]의 자동차 기업 [[혼다]]의 미국 시장 본부인 혼다 아메리카에서 만든 중형 픽업 트럭이다. 1세대는 [[캐나다]] [[온타리오]]에서 생산하였으며, 1세대 페이스리프트 이후부터 [[미국]]에서 생산 중이다. 타 [[픽업트럭]]과는 달리 바디 온 프레임이 아닌 유니 바디를 기반으로 하며 전륜구동과 풀타임 4WD 시스템을 사용한다. 유니 바디임에도 불구하고 적재 및 견인능력을 위하여 많은 보강이 되어있어서 차량 강성에서는 사실상 바디 온 프레임과 큰 차이는 없다.[*1세대 [[파일:gen1_ridgeline_frame.jpg|width=700]]][*2세대 [[파일:gen2_ridgeline_frame.jpg|width=700]]] 1세대는 릿지라인 전용의 새로 개발된 플랫폼을 사용하였으나, 2세대는 혼다의 새로운 공용 플랫폼을 사용하여 [[혼다 파일럿|파일럿]]과 공유하는 부분이 많다. 유니 바디 + [[FF(자동차)|전륜구동]] 기반의 차량이다 보니 후방 적재함에 휠하우스가 존재하지 않아서 보편적인 4ft x 4ft 사이즈의 팔렛트까지도 적재가 가능하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적재함 아래에는 골프백도 들어가는 적잖은 사이즈의 트렁크 공간까지 있다. 적재함 도어는 세로 방향으로 열리는 것 외에도 가로 방향 스윙도어식으로도 열린다.[* 특이하게도 위 영상에 나온 것처럼 트렁크가 왼쪽으로 열리는 CR-V하고는 다르게 릿지라인은 오른쪽으로 열린다. 이유는 간단한데, 릿지라인이 북미 지역에 있는 공장에서 만들어져서 설계 방식이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사이즈로는 중형이지만 미국 트럭 클래스 구분시 타 중형 픽업들[* 토요타 타코마, 닛산 프론티어 등.]에 비해 한 단계 윗급의 1500급 1/2톤[* 포드 F150, 쉐보레 실버라도 1500 등.]과 같은 클래스로 구분되기도 한다.[* 실제로 Class 2a에 해당하는 GVWR(차량 최대 총 중량)이며 F150과의 GVWR은 200파운드정도 차이난다.] == 모델별 설명 == === 1세대 (YK1, 2006~2014) === || [[파일:honda_ridgeline_rtl_56_003f00000b7807d1.jpg|width=100%]] || [[파일:autowp.ru_honda_ridgeline_rtx_12.jpg|width=100%]] || 1세대는 베이스가 되는 모델이 따로 없으며 타 혼다 차량과의 호환률이 약 7%에 불과한, 모두 새로 설계된 [[픽업트럭]]이다. 당시 혼다의 주력인 3.5리터 V6 SOHC J35A 엔진을 채용하여 247hp[* F/L 후 250hp]의 파워를 낸다. 다만 타 혼다 3.5리터급 차량과는 다르게 실린더 차단 시스템 (VCM) 같은 연비향상 기능은 빠졌고, i-VTEC이 아닌 일반 [[VTEC]]이 달려있어서 흔히 말하는 [[VTEC]] 터지는 소리가 난다. 5단 [[자동변속기]]와 VTM-4 풀타임 [[4WD]] 시스템에 4WD LOCK이 장착되어 험로 주파 능력과 견인력을 갖추었다. 2007년식 이후로는 트레일러 견인장치 및 배선이 기본 장착되었으며 파워 스티어링 쿨러 및 미션오일 쿨러도 기본으로 장착되어 나온다. 2009년에 F/L이 되면서 엔진에 약간의 개선이 이루어졌고, 전면 디자인에도 약간의 변경이 있었으며 및 클러스터에서 더 많은 정보를 볼 수 있게 개량되는 등 상품성 강화가 있었다. 타 중형 [[픽업트럭]]에 비해서는 판매량이 크진 않지만, 혼다 아메리카 입장에서는 연구 투자 비용에 비해서 본전 이상의 수익을 낸 차량으로 꼽힌다. 혼다 아메리카의 판매 차량중 상위권에 해당하는 이익률로 인해 2세대 출시 전 2년까지 단종되지 않고 꾸준히 판매되었다. 이 차도 [[쌍용 액티언 스포츠|액티언 스포츠]]처럼 평강특장에서 견인차로 개조된 적이 있다.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dica&No=35548&bm=1|#]] === 2세대 (YK2~3, 2016~현재) === || [[파일:honda_ridgeline_28.jpg|width=100%]] || [[파일:2019-Honda-Ridgeline-Obsidian-Blue-Pearl_o.jpg|width=100%]] || 2세대는 [[혼다 파일럿|파일럿]]의 플랫폼을 사용하였으며 차체 보강을 통해 1세대에 비해 차체 강성은 28% 올랐다. 파워트레인은 1세대에 비해 약 30마력 증가한 280hp의 3.5리터 i-VTEC 엔진에 연비 향상을 위한 기통 차단 시스템인 VCM이 추가되었으며, 6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었다. 최하 깡통옵션은 [[4WD]]마저 없는 [[FF(자동차)|전륜구동]] 버전으로도 출시했다. [[4WD]] 시스템은 1세대보다 업그레이드된 i-VTM4가 장착되어, 4WD LOCK 대신 눈, 모래, 진흙 등의 모드 조정을 통한 최적의 구동력 배분이 가능해졌다. 또한 최신 트렌드에 맞게 운전 보조 시스템인 혼다 센싱이 장착된다. 2020년 모델부터는 9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었는데, 기존 6단보다 모든 면에서 향상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20V의 가정용 콘센트 및 인버터를 적재함 내에 내장하여 야외 작업이 용이해졌으며, 또 적재함 자체를 울림판으로 사용하는 적재함 스피커 기능이 추가되어 야외 활동시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판매량은 신통치 않아서 중형 [[픽업트럭]] 중 꼴찌를 다툰다. 다른 중형 픽업들이 넘사벽인 것도 있고, 혼다에서 세일즈 포인트를 타 중형 트럭과의 경쟁으로 잡고 있지 않은 것도 있다. 고무적인 것은 가격방어가 잘 되어 있다는 것 정도. [[현대 싼타크루즈|싼타크루즈]]가 출시하면서 외부작업보다는 레저용에 가까운 컨셉과 모노코크 바디, 전륜기반 4륜 등으로 어느 정도 경쟁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릿지라인의 경우 싼타크루즈보다 차급이 한 단계 크다. ||[[파일:릿지라인 트레일스포트 전면.jpg|width=100%]] || [[파일:릿지라인 트레일스포트 후면.jpg|width=100%]] || 2024년형은 지상고를 높이고 18인치 터레인 타이어를 장착한 오프로드 트림인 트레일스포트를 선보였으며, RTL-E 트림을 대체한다. 차이점으로 적재함 데크에 차명을 크게 새겼다. ==== 릿지라인 [[HPD]] 패키지 ==== 2022년 공개된 릿지라인의 외관 패키지로, 업그레이드 품목으로는 카본 파이버 패턴의 검정 그릴, 18인치 브론즈 알로이 휠, 블랙 아웃 펜더 플레어 세트, HPD™ 데칼 및 엠블럼이 포함된다. == 경쟁 차량 == * [[포드 모터 컴퍼니]] - [[포드 레인저|레인저]] * [[닛산]] - [[닛산 나바라|나바라]] * [[쉐보레]] - [[쉐보레 콜로라도|콜로라도]] * [[GMC(자동차 제조사)|GMC]] - [[GMC 캐니언|캐니언]] * [[르노]] - [[르노 알래스칸|알래스칸]] * [[폭스바겐]] - [[폭스바겐 아마록|아마록]] * [[KG모빌리티]] - [[KGM 렉스턴 스포츠|렉스턴 스포츠 칸]] * [[토요타]] - [[토요타 타코마|타코마]], [[토요타 하이럭스|하이럭스]] * [[이스즈자동차]] - [[이스즈 D-맥스|D-맥스]] * [[푸조]] - [[푸조 랜드트렉|랜드트렉]] * [[미쓰비시 자동차]] - [[미쓰비시 트라이톤|트라이톤]] * [[램 트럭스]] - [[램 1200|1200]] * [[마쓰다]] - [[마쓰다 BT-50|BT-50]] * [[지프]] - [[지프 글래디에이터|글래디에이터]] == 둘러보기 == [include(틀:혼다의 차량)] [include(틀:모터트렌드 올해의 트럭/2000년대)] [[분류:혼다/생산차량]][[분류:2006년 출시]][[분류:중형 픽업트럭]][[분류:올해의 차/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