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JR 동일본의 우등열차)] [include(틀:JR 서일본의 우등열차)] ||<-2><:>{{{+1 '''北越'''}}}[br]Hokuetsu / 호쿠에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62e3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운행종료)]|| ||<-2><:>[[파일:attachment/호쿠에츠/hokuetsu.jpg|width=100%]] ---- [[485계 전동차]]|| ||<-2><:>'''정보'''|| ||<:>'''운행 국가'''||[[일본]] || ||<:>'''종별'''||[[특급열차]]|| ||<:>'''현황'''||폐지 || ||<:>'''운행개시일'''||[[1969년]] [[10월 1일]] || ||<:>'''운행종료일'''||[[2015년]] [[3월 13일]] || ||<:>'''후신'''||신칸센 [[하쿠타카]][br]특급 [[시라유키(열차)|시라유키]][br]쾌속 8621M, 8622M || ||<:>'''운영자'''||[[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008900 JR 동일본}}}]][br][[JR 서일본|[[파일:JR 서일본 로고.svg|width=220]][br]{{{#0072bc JR 서일본}}}]]|| ||<-2><:>'''노선'''|| ||<:>'''기점'''||[[카나자와역]]|| ||<:>'''종점'''||[[니가타역]] || ||<:>'''운행거리'''||313.5km (카나자와~니가타) || ||<:>'''경유노선'''||[[신에츠 본선]], [[호쿠리쿠 본선]]|| ||<-2><:>'''차내 서비스'''|| ||<:>'''클래스'''||일반석, 그린샤 || ||<-2><:>'''기술'''|| ||<:>'''차량'''||[[485계 전동차]] ([[니가타 차량센터]]) || ||<:>'''궤간'''||1067mm || ||<:>'''전력 공급'''||직류 1500V 가공전차선[br]교류 20000V 50Hz 가공전차선 || ||<:>'''최고 속도'''||120km/h || [목차] [clearfix] == 개요 == [[니가타현]]와 [[카나자와시]]를 잇는 특급열차로 호쿠리쿠 연선 지역 및 조에츠 지방과 니가타 방면을 연결하는 구실을 하였다. 폐지 전까지 1일 5왕복 운행했었다. == 역사 == 1969년 10월 첫 등장시에는 오사카~니가타를 잇는 노선으로 도카이도 본선, 호쿠리쿠, 본선, 신에츠 본선을 경유하였으며 정기 특급 열차가 아닌 임시 특급 열차였다. 이후 1970년 3월에 정기 열차가 되었다. 코세이선이 개업한 이후 도카이도 본선 경유에서 코세이선 경유로 경로가 변경되어 운행했다. 1978년 10월, 호쿠리쿠 방면 특급열차 운행계통 정리에 따른 다이어 개정으로, [[카나자와역|카나자와]]를 기준으로 계통이 분할되었다. 이로 인해, 호쿠에츠는 카나자와(후쿠이)~니가타 간으로 단축되어 호쿠리쿠 지방과 고신에츠 지방의 도시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후 후쿠이~카나자와 간은 단축되었다. 한편, [[오사카역]] 착발 열차는 모두 특급 [[라이쵸(열차)|라이쵸]]로 변경되었다. 2001년 3월 [[다이어]] 개정으로 오사카역 - 니가타역 구간을 운행하던 [[라이쵸]] 2왕복이 [[카나자와역]]으로 단축되었다. 동시에 일본에서 가장 긴 거리를 운행하던 오사카와 아오모리를 잇던 특급 [[하쿠쵸]]가 폐지되어 [[오사카역]] - [[카나자와역]]은 특급 [[라이쵸]]와 [[선더버드(열차)|선더버드]]가, [[카나자와역]] - [[니가타역]]은 호쿠에츠, [[니가타역]] - [[아오모리역]]은 특급 [[이나호]]로 각각 역할이 분배되면서 세 특급열차 모두 증편되었다. 호쿠리쿠 신칸센이 개통되면, JR 서일본은 병행재래선이므로 당연히 폐지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에 지역주민(특히 이토이가와와 가시와자키 지역)들이 크게 반발하였다. [[http://cafe.daum.net/jtrain/3G6e/3958|JR 동일본에서는 존속이 가능할 수 있다고 시사]]하기도 했지만, 결국 2015년 3월 [[호쿠리쿠 신칸센]]의 개통에 따라 폐지되고 말았다. 호쿠에츠의 폐지와 함께 [[조에츠묘코역|조에츠묘코]]-[[니가타역|니가타]] 사이를 운행하는 특급 [[시라유키(열차)|시라유키]]가 신설되었으며, 호쿠리쿠 신칸센 [[하쿠타카]]와 연계되어 호쿠리쿠에서 니가타를 잇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youtube(x960cuITOiQ)] || || 특급 호쿠에츠 마지막 운행영상 || == 과거 운행현황 == 2015년 3월 운행종료 직전의 현황이다. [[파일:attachment/호쿠에츠/hokuetsu1.jpg]] [[카나자와역]] - [[니가타역]]간 1일 5왕복 운전하였다. 운행횟수가 적은 이유는 이 열차가 경유하는 구간인 [[호쿠리쿠 본선]]내에는 [[하쿠타카]]나 [[선더버드(열차)|선더버드]] 및 [[시라사기(열차)|시라사기]] 호가 운행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신에츠 본선]]내에서는 이 열차의 보완열차로 [[쿠비키노]]가 운전하고 있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카나자와역|카나자와]] - ([[츠바타역|츠바타]]) - ([[이스루기역|이스루기]]) - [[타카오카역(도야마)|타카오카]] - ([[코스기역(아이노카제 도야마 철도)|코스기]]) - [[도야마역|도야마]] - ([[나메리카와역|나메리카와]]) - [[우오즈역|우오즈]] - ([[쿠로베역|쿠로베]]) - ([[뉴젠역|뉴젠]]) - ([[토마리역(도야마)|토마리]]) - [[이토이가와역|이토이가와]] - [[나오에츠역|나오에츠]] - [[카키자키역|카키자키]] - [[카시와자키역|카시와자키]] - [[나가오카역|나가오카]] - [[미츠케역|미츠케]] - [[히가시산조역|히가시산조]] - [[카모역(니가타)|카모]] - [[니츠역|니츠]] - [[니가타역|니가타]] 차내판매는 실시하나, 하행(니가타 방면) 3・5・9호 와 상행(카나자와 방면) 2・8・10호에서는 영업을 하지 않는다. === 사용차량 및 편성 === [[JR 동일본]]의 [[니가타 차량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485계 전동차]] 6량편성 으로 운행하였다. 말기에는 거의 대부분 3000번대 리뉴얼 차량으로 운행했다. 후속 열차인 니가타-이토이가와 쾌속 열차도 마찬가지. === 좌석배치 === ||||||||||||<:> 호쿠에츠 || ||<-3> ← 카나자와 ||<)><-3> 니가타 → || ||<:> 1 ||<:> 2 ||<:> 3 ||<:> 4 ||<:> 5 ||<:> 6 || || 그린샤/지정석 || 지정석 || 자유석 || 자유석 || 자유석 || 자유석 || == 여담 == * [[나오에츠역]] - [[니가타역]]은 쾌속 [[쿠비키노]]와 병행하는데, [[미야우치역(니가타)|미야우치역]]을 정차하느냐, 안 하느냐의 차이일 뿐이지만 소요시간이 약 10분 정도 차이가 난다. 그 이유는 [[쿠비키노]]는 쾌속 열차 이므로 100km/h까지 달릴 수 있지만, 호쿠에츠는 특급 열차 이므로 120km/h까지 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시각표상, 호쿠에츠가 [[쿠비키노]]를 추월하지는 않는다. == 연혁 == * 1969년 10월 1일 : [[오사카역]] - [[니가타역]](도카이도 본선, 호쿠리쿠 본선, 신에츠 본선 경유)로 임시열차로 특급 호쿠에츠가 운행개시 * 1970년 3월 1일 : 정기열차가 됨 * 1973년 3월 1일 : 2왕복 증편되어, 오사카 - 니가타간을 2왕복, 카나자와 - 니가타 간이 1왕복으로 되었다. * 1975년 3월 10일 : [[코세이선]] 개업에 따라, 코세이선 경유로 변경됨. * 1978년 10월 2일 : 특급열차 재편에 따라, 오사카역 발착열차가 [[라이쵸]]에 통합되어, 호쿠에츠는 1왕복으로 됨. * 1982년 11월 15일 : [[죠에츠 신칸센]] 개업에 따른 다이어 개정으로, 3왕복 증편 됨. * 1985년 3월 14일 : [[후쿠이역(후쿠이)|후쿠이역]] - [[아오모리역]] 간의 [[하쿠쵸]]가 [[후쿠이역(후쿠이)|후쿠이역]] - [[니가타역]]으로 단축됨에 따라 호쿠에츠에 통합. 호쿠에츠는 1왕복 증편되어, 5왕복이 됨. * 하행 1편이 [[나가오카역]] → [[니가타역]]간은 보통열차로, 상행 1편이 [[니가타역]] → [[나가오카역]]간이 쾌속열차가 됨. * 1994년 12월 3일 : 1왕복이 나가오카역 발착으로 변경 * 1997년 3월 22일 : [[호쿠에츠 급행 호쿠호쿠선]] 개업에 따라, 일부가 [[하쿠타카]]에 통합되어, 호쿠에츠는 [[카나자와역]] - [[니가타역]] 간 2왕복으로 됨. * 2001년 3월 3일 : [[라이쵸]]와 [[선더버드(열차)|선더버드]]의 운행 구간 변경으로, [[오사카역]] - [[니가타역]]간의 [[라이쵸]] 2왕복과 [[하쿠쵸]]가 폐지. 이것으로 인해, [[카나자와역]] - [[니가타역]] 구간이 5왕복으로 변경 됨. * 2007년 3월 18일 : 전석금연화 됨. * 2015년 3월 13일 :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으로 폐지되었다. [[http://ja.wikipedia.org/wiki/%E5%8C%97%E8%B6%8A_(%E5%88%97%E8%BB%8A)| 연혁 출처]] == 후속 열차 8621M, 8622M == || [youtube(aEgvdAf5wLU)] || || 이토이가와 쾌속 (8622M) 라스트런 || * 2015년 3월 14일부터 특급 호쿠에츠의 니가타~이토이가와 구간을 대체하는 쾌속열차로 운영을 시작하였다. 별도의 애칭은 없으며 정식 명칭은 니가타행 열차는 8621M, 이토이가와행 열차는 8622M이나 흔히 8622M의 종점인 이토이가와역을 딴 이토이가와 쾌속으로 불렸다. * 차량은 호쿠에츠에서도 사용된 바 있는 [[485계 전동차]][* 리뉴얼이 된 3000번대로 운행하고 있다. 원형을 간직하고 있던 T18편성은 2015년 5월 경에 은퇴하였고, K1편성은 다이어 개정 이후 폐차되었다. 마지막으로 원형을 간직하고 있는 센다이 차량센터 소속의 A1+A2편성은 2016년 6월 19일 마지막 운행했고 T18 편성은 보존이 결정되었다.]를 사용하며, 쾌속열차임에도 그린샤가 있었다. * 1일 1왕복 운행하다가 2017년 시각표 개정으로 운행을 종료하였다. 이 열차의 폐지 이후 이제 이토이가와에서 나가오카나 니가타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나오에츠에서 환승해야 한다. == 관련 문서 == * [[신에츠 본선]] * [[호쿠리쿠 본선]] [[분류:일본의 폐지된 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