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라별 보수주의]][[분류:왕당파]][[분류:호주의 사상]] [include(틀:보수주의)] [목차] == 개요 == 호주의 보수주의(Conservatism in Australia)는 호주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보수주의]]의 한 형태이다. 현재 [[호주]]에서 가장 규모가 큰 보수주의 정당은 단언 중도우파 '[[연합(호주)|연합]]'을 구성하는 [[호주 자유당]]이지만 이 정당은 [[호주의 자유주의|온건 보수주의]]자와 국민보수주의자가 공존하는 정당이다. 그보다 더 확고한 보수주의 성향의 정당에는 [[일국당]](우익~극우) 등이 있다. == 정치적 위치와 용어 사용 == 호주의 주류 보수주의자들은 종종 자유주의자(liberal)들과 혼동되거나 심지어 같은 의미로 쓰일 때도 있다. 이는 호주의 보수주의자들이 [[우파]] 성향의 [[호주 자유당]]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 내 계파를 나눌 때에는 주로 [[중도우파]]를 온건 보수주의 계파[* [[현대자유주의(호주)]] 참조.]로 [[우파]]~[[극우]]를 국민보수주의 계파로 분류한다.[* [[중도우파(호주)]], [[국민우파]] 참조.] 일단 현재 호주 자유당은 보수주의 정당으로도 분류되는 편이다. 그러나 당명을 보아하듯 원래는 자유보수주의 정당였다. 물론 지금은 사회보수주의가 강해졌는데 이는 [[호주 노동당]]과의 양당 체계의 영향도 있다. 그리고 이런 과정에서 자유보수주의 성격이 상대적으로 약해지고 [[국민보수주의]]를 포함한 보수주의 성격이 강해졌다고 학자들은 평가한다. 그렇기 때문에 언제부터 [[호주의 자유주의#s-3.1|자유당계 정당들]]이 보수정당화 되었는지는 명확하게 특정할 수 없다. 호주의 '자유주의자'(liberal)라는 용어는 범우파 진영 전반을 가리킬 때 사용되며, 따라서 미국, 영국과 달리 자유지상주의자~우파 자유지상주의 정당인 자유민주당도 스스로를 '자유주의자'로 정의한다. 일단 호주에서 대놓고 "보수주의"를 강조하는 정치인이나 정당들은 [[미국의 보수주의|미국]]이나 [[영국의 보수주의|영국]]과 달리 중도우파로 분류되는 경우가 별로 없고 우익이나 심지어 우익~극우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단적으로 당명에 Conservative가 들어가는 [[보수당(영국)]]은 우파 정당이지만, [[https://en.wikipedia.org/wiki/Australian_Conservative_Party|호주 보수당]]과 [[https://en.wikipedia.org/wiki/Australian_Conservatives|호주 보수주의자당]]은 우익으로 분류된다.] 자유당 내 보수주의 정치인들도 [[국민우파]]를 제외하면 적극적으로 보수주의를 내세우지 않는다. 그러나 학자들은 자유당을 [[시장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에 기반한 [[우파]] 정당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호주 내에서 편협한 용어 사용과, 실제 보수주의의 정의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는 미국에서, 유럽 스탠스에서는 일반적인 '보수주의자'가 아닌 [[온건주의]]자, [[고전적 자유주의]]자들마저 조차 미국에선 "보수주의자"라고 칭하는 것과 정반대의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 역사 == [[1990년대]] 이전까지 호주의 우익들은 자신들을 "자유주의자"로 정의하였다. 그 당시 호주 자유당과 노동당 양당체제에서 보수주의라는 용어는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왜냐하면 당시에 호주 정치에서 보수주의는 일종의 멸칭이였고, 미국과 달리 [[호주 노동당|사회주의 세력]]이 주요 반대파였는데다가, 유럽권과 달리 대놓고 [[보수주의]]를 표방하는 정당도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에 "보수주의"나 "보수주의자"는 사회주의자들과 좌파들에 의해 '''멸칭'''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세계화]]로 미국이나 유럽의 정치 용어, 철학이 도입되면서 스스로를 보수주의자로 정의하는 정치인들이 생겨나게 되었지만 여전히 호주의 보수주의자들은 자신을 보수주의자라고 적극적으로 정의하는데에 주저하는 편이다. 현대 호주 정치에서는 공화국 전환을 극구반대하고 [[호주 국왕]]을 계속 모시자는 [[왕당파]]들이 호주의 보수주의로 분류된다. 물론 이 것도 [[고프 휘틀럼]] [[호주 총리|총리]]의 해임으로 인해 생긴 개념이다.[* 영국에서는 좌파 자유주의자나 사회주의자들 사이에서 공화주의가 좀 더 우세하다고는 하나, 군주제를 유지하자는 견해도 그리 적은 것은 아니다. 현 노동당 대표인 [[키어 스타머]]가 대표적인데, 그는 공화정으로의 전환에 부정적인 편이다.] 노동당에서는 [[군주국의 공화주의|공화주의]]가 절대우세하지만 자유당은 의견이 갈리는 편인데, 당 내 소수파인 [[현대자유주의(호주)|중도파]]는 공화주의자와 왕당파가 혼재하지만, [[중도우파(호주)|당내 주류]]와 [[국민우파|강경파]]는 왕당파이다. 강경파가 아닌 중도우파(=당내 주류)인 [[스콧 모리슨]]조차 호주의 공화국 전환을 반대한다고 밝힐 정도이다. 그 이전에도 [[로버트 멘지스]]는 국민보수주의자가 아닌 온건 보수주의자이지만 군주정 지지자였다. == 같이 보기 == * [[호주의 자유주의]] * [[호주의 사회주의]] [include(틀:포크됨2, title=호주의 보수주의, d=2023-02-28 12:4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