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 ''' 레바논의 축구선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mber_46894_1.jpg|width=100%]]}}} || || {{{#000000 '''이름'''}}} || '''{{{+1 호안 오우마리}}}[br] جوان العمري | Joan Oumari''' || || '''본명''' ||호안 누레딘 오우마리[br] جوان نور الدين العمري [br] Joan Noureddine Oumari || ||<|2> '''출생''' ||[[1988년]] [[8월 17일]] ([age(1988-08-17)]세) || ||[[독일]] [[베를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레바논)]'''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크기=20)] || || '''신체 조건''' ||187cm, 84kg || || '''포지션''' ||[[센터백]] || || '''소속팀''' ||라이켄도르퍼 푹스 (2006~2008) [br] [[SV 바벨스베르크 03]] (2008~2011) [br] [[FC 로트바이스 에어푸르트]] (2011~2013) [br] [[FSV 프랑크푸르트]] (2013~2016) [br] [[시바스스포르]] (2016~2017) [br] [[알 나스르 SC]] (2017~2019) [br]→ {{{-1 [[사간 도스]] (2018 / ^^임대^^)}}} [br] [[비셀 고베]] (2019~2020) [br] [[FC 도쿄]] (2020~2021) [br] [[사간 도스]] (2022) || || '''국가대표'''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width=35]]]] 36경기 4골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레바논]] / 2013~ )^^ || || '''SNS''' ||[[https://www.instagram.com/joanoumari/|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바논]] 국적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 클럽 경력 == === 독일 리그 === 그의 부모는 1980년 때 [[레바논 내전]]을 피해 독일로 이민을 갔었다. 베를린에서 태어나 베를린의 여러 유스팀을 거쳐서 5부 리그의 라이켄도르퍼 푹스에서 데뷔했다. 1군으로 올라온 후 줄곧 주전으로 뛰면서 팀을 승격시켰다. 이러한 활약으로 인해 [[레기오날리가]]의 [[SV 바벨스베르크 03]]으로 이적했다. 이적 후 초반 두 시즌에선 주로 교체자원으로 활약했지만 팀이 [[3. 리가]]로 승격한 이후론 주전으로 뛰었다. 2011년 5월 [[FC 로트바이스 에어푸르트]]에 2년 계약으로 이적했다. 주전으로 2년동안 활약한 후 2012년, [[2. 분데스리가]]의 [[FSV 프랑크푸르트]]으로 이적했다. === 중동 리그 === 2015년 터키 [[쉬페르리그]]의 시바스스포르로 이적했다.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골까지 기록하지만 결국 16위를 기록하며 강등당했다. 총 17경기에 출전했다. 팀이 강등당하고도 잔류하여 2부리그에서 13경기를 뛰었다. 2017년 1월 3일 [[아라비안 걸프 리그]]의 알나스르 SC로 이적했다. 첫 시즌에 총 32경기를 뛰었다. 2018년 8월 [[J1리그]]의 [[사간 도스]]로 임대되어 [[J리그]]의 첫 레바논 선수가 되었다. 총 11경기 1골을 기록했다. 임대 복귀 후, 알나스르 SC에서 11경기를 뛰었으며 [[아시아 챔피언스 리그]]에 데뷔하기도 했다. === [[J리그]] === 2019년 7월 23일 [[J1리그]]의 [[비셀 고베]]로 이적했다. 8월 17일 이적 후 첫 출전했다. 10월 20일 팀에서의 데뷔골을 기록했다. 2020년 1월 4일 [[FC 도쿄]]로 이적했다. == 국가대표 경력 == 2013년 9월 7일 시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전에서 성인대표에 데뷔했다. 후반 55분에 교체로 출전했는데 7분 후에 다이렉트 퇴장을 당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G조|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지역예선]]에서 [[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국가대표 데뷔골을 기록했다. [[2019년 AFC 아시안컵]]의 명단에도 포함되어 조별기그 3경기에 모두 출전했으나 팀은 16강 진출에 실패한다. 2019년 9월 5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H조|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지역예선]]의 북한전 차출을 거부한 뒤 국가대표에서 제명되었다. 이후 차출 거부에 대해 사과를 하여 협회에서 징계를 거두었다. 2021년 6월 5일 월드컵 예선에서 [[스리랑카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멀티골을 기록했다. == 같이 보기 == [각주] [[분류:1988년 출생]][[분류:2006년 데뷔]][[분류:베를린 출신 인물]][[분류:레바논의 축구선수]][[분류:복수국적자]][[분류:SV 바벨스베르크 03/은퇴, 이적]][[분류:FC 로트바이스 에어푸르트/은퇴, 이적]][[분류:FSV 프랑크푸르트/은퇴, 이적]][[분류:시바스스포르/은퇴, 이적]][[분류:사간 도스/은퇴, 이적]][[분류:비셀 고베/은퇴, 이적]][[분류:FC 도쿄/은퇴, 이적]][[분류:레바논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참가 선수]][[분류:수비수]][[분류:센터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