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FFD700 {{{+1 EL Grafico선정[br]아르헨티나 역사상 가장 위대한[br]축구선수 5인}}}}}}[* 1980년 후반 선정] || || [[안토니오 사스트레]] || [[호세 마누엘 모레노]] || [[아돌포 페데르네라]] || [[알프레도 디스테파노]] || [[디에고 마라도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DDED 15%, #FFFFFF 15%, #FFFFFF 30%, #ABDDED 30%, #ABDDED 70%, #FFFFFF 70%, #FFFFFF 85%, #ABDDED 85%, #ABDDED );" {{{#002643 ''' 호세 마누엘 모레노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4> [[틀: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1대~40대)|[[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ABDDED; font-size: 0.9em;" [[틀: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1대~40대)|{{{#2c2d32 '''아르헨티나'''}}}]]}}}[br]{{{-2 10대}}} || ||<-4> {{{#333333,#cccccc '''클럽'''}}} ||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DDED 15%, #FFFFFF 15%, #FFFFFF 30%, #ABDDED 30%, #ABDDED 70%, #FFFFFF 70%, #FFFFFF 85%, #ABDDED 85%, #ABDDED );" {{{#002643 ''' 호세 마누엘 모레노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white 1947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MVP}}}''' || || '''호세 마누엘 모레노'''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아르헨티나의 前 축구 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edia.tumblr.com/tumblr_inline_miojylQOSf1qz4rgp.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호세 마누엘 모레노'''}}}[br]'''José Manuel Moreno''' || ||<-2> {{{#000000,#e5e5e5 ''' 본명 ''' }}} ||호세 마누엘 모레노 페르난데스[br](José Manuel Moreno Fernández) || ||<-2> {{{#000000,#e5e5e5 ''' 출생 ''' }}} ||[[1916년]] [[8월 3일]] [br]{{{-1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 ||<-2> {{{#000000,#e5e5e5 ''' 사망 ''' }}} ||[[1978년]] [[8월 26일]] (향년 62세) [br]{{{-1 [[아르헨티나]] [[메를로]]}}}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70cm | [[체중]] 75kg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 선수]] ([[인사이드 라이트]] / ^^은퇴^^)[br][[축구 감독]] (^^은퇴^^)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CA 리버 플레이트]] (1935~1944)'''[br]레알 클루브 에스파냐 (1944~1946)[br]'''[[CA 리버 플레이트]] (1946~1948)'''[br][[클루브 데포르티보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1949)[br][[CA 보카 주니어스]] (1950)[br][[클루브 데포르티보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1951)[br][[데펜소르 스포르팅]] (1952)[br]페로카릴 오에스테 (1953)[br][[인데펜디엔테 메데인]] (1954~1957)[br][[인데펜디엔테 메데인]] (1960~1961) || || {{{#000000,#e5e5e5 ''' 감독 ''' }}} ||[[CA 보카 주니어스]] (1958~1959)[br][[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대표팀]] (1959)[br][[CA 우라칸]] (1961~1962)[br][[인데펜디엔테 메데인]] (1962)[br][[콜로-콜로]] (1962)[br][[CA 우라칸]] (1966)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width=25]]]] 34경기 19골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1936~1950)^^ || [목차] [clearfix] == 개요 == > “누군가 내게 누가 최고의 선수인지 물어본다면, 모레노를 비롯한 [[라 마키나]]의 공격 5인방을 말할겁니다. 그들은 진정한 크랙이었습니다.” > ----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아르헨티나]]의 前 축구선수.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의 우상이었다. == 생애 == === 어린 시절 === 모레노는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라보카 지역에서 태어났다. 모레노 역시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외국 선원들을 상대로 하는 세탁소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도 그 지역의 여느 다른 아이들처럼 어린 시절엔 [[CA 보카 주니어스|보카 주니어스]]의 팬이었다. 모레노의 어릴 적 우상은 [[로베르토 체로]]와 [[도밍고 타라스코니]]였다. 모레노는 축구 외에도 [[권투]]도 좋아했던 소년이었고 권투 선수도 꿈꿨지만 축구 선수의 길을 택했다. 15살의 모레노는 자신이 응원하던 [[CA 보카 주니어스|보카 주니어스]] 구단에 입단 테스트를 받으러 갔고 코칭스태프들 앞에서 2골을 넣었지만 [[프란티셰크 플라니치카|보카 주니어스는]] [[주세페 메아차|그를 입단시키지 않았다]]. 모레노는 이 결과에 좌절했지만 곧 마음을 추스르고 '그들을 후회하게 만들어주겠다'라는 결심을 했다. 그러다 보카의 최대 라이벌 [[CA 리버 플레이트|리버 플레이트]]의 전설적인 공격수, [[베르나베 페레이라]]의 눈에 띄었고 그의 설득에 리버 플레이트에 입단하였다. === 선수 생활 === ==== 클럽 ==== ===== [[CA 리버 플레이트|리버 플레이트]] 그리고 [[라 마키나]] ===== [[CA 리버 플레이트]]에 모레노가 입단했을 때의 나이는 18세, 그가 치른 공식전은 브라질 [[보타포구 FR|보타포구]]와의 친선경기였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곧 플라텐세와의 리그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한 골을 넣었다. 그는 어렸지만 곧 [[카를로스 페우셀레]], [[베르나베 페레이라]] 등 리버에서 뛰던 선배 공격수들의 플레이에 녹아들어갔다. 그들이 팀을 떠난 후에는 새로 영입된 [[앙헬 라브루나]], 무뇨스 등과 호흡을 맞추면서 팀의 핵심 선수가 되었고 리버의 공격은 그를 중심으로 행해졌다. 전설적인 공격편대 [[라 마키나]]의 멤버 모두가 뛰어난 선수들이었고 라브루나가 센터 포워드에 서면서 모레노의 직접적인 득점은 상당히 줄었음에도 핵심은 단연 그였다. 1939년에 모레노는 비신사적인 행위로 인해 리그 출전을 장기적으로 금지당하는 중징계를 맞았지만 선수 노조의 파업으로 큰 위기 없이 징계를 넘기기도 했다. ===== 저니맨 =====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FIFA]]의 선수 등록이 느슨해진 틈을 타 모레노는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하던 [[리가 MX|멕시코]]의 클루브 에스파냐로 이적했다. 여기에서 우승도 맛보고 멕시코의 팬들로부터 el charro[* 한국어로 기병 또는 카우보이.]라는 별명도 얻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공식적으론 [[CA 리버 플레이트]] 소속이었던 그는 전쟁이 끝나고 다시 리버 플레이트로 돌아갔다. 그리고 팀에서 젊은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와도 호흡을 맞추었다. 하지만 이 때의 멕시코 이적으로 아르헨티나 팬들의 상당수가 모레노에게 등을 돌렸는데 한번은 시합 중 [[CA 티그레]] 팬들이 던진 돌에 맞아 다친 적도 있었다. 하지만 그는 이 상황에도 치료 받기를 거부했는데 티그레의 관중들이 치료받는 모습을 보면서 그를 다치게 했다는 만족감을 얻지 못하게 하려 일부러 그랬다고 술회했다. 1947년에는 [[아돌포 페데르네라]]가 팀을 떠났고 이런 사건까지 일어나자 모레노는 리버에서 정이 완전히 떨어져버렸고 칠레의 [[클루브 데포르티보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카톨리카]]로 이적해버렸다. 그 이후로 리버의 철천지 원수이자 모레노의 어릴 적 드림 클럽이었던 [[CA 보카 주니어스|보카 주니어스]]에서도 잠시 뛰기도 하다 다시 카톨리카로 돌아가는 등 복잡한 커리어를 이어나갔다. 하지만 그의 실력까지 어디 가는건 아니라서 이적하는 팀마다 항상 우승컵을 들고 다녔다. 모레노는 세계 최초로 4개국 1부 리그에서 챔피언이 되는 진기록을 세웠다.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우루과이]]에서 뛰기도 한 모레노는 선수 생활의 황혼기를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콜롬비아]]에서 보냈다. ====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중단되기도 하고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가 출전을 거부하기도 하는 등 [[FIFA 월드컵|월드컵]]과 모레노는 영 인연이 없었지만 [[CONMEBOL 코파 아메리카|남아메리카 챔피언십]]에서는 그의 실력을 발휘했다. [[1941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칠레|1941년 남아메리카 챔피언십]]으로 모레노는 첫 국제 대회에 참가했고 그를 포함한 [[라 마키나]] 멤버들의 맹활약으로 아르헨티나는 전승 우승을 달성했다. 모레노는 4경기 3골을 득점하였는데, 이중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를 상대로 2골을 넣어 2:1승리를 이끌었다. [[1942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우루과이|1942년 대회]]에서 모레노는 [[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에콰도르]]를 상대로 5골을 넣어 12:0 대승을 이끌었다.[* 이는 [[엑토르 스카로네]], [[후안 마르베시]]와 함께 갖고 있는 코파 아메리카 역대 1경기 개인 최다 득점 기록이며 코파 아메리카 역대 최다 득점차가 나온 경기이기도 하다.] 모레노는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를 상대로 2골을 더 넣어 총 7골로 득점왕을 차지하였지만 정작 아르헨티나는 준우승에 그쳤다. 이후 모레노가 [[리가 MX|멕시코]]로 떠난 동안에는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지 못하다가 1947년에 국가대표에 복귀, [[1947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에콰도르|1947년 남아메리카 챔피언십]]에 출전한다. 이때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가 대회기간동안 6골을 넣으며 맹활약했고, 모레노 역시 3골을 넣으며 아르헨티나의 우승을 이끌었다. 1947년 대회 MVP는 모레노의 차지였다. === 감독 === 선수 생활을 쉴 때 여러 클럽의 감독직을 맡던 모레노는 [[1959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에콰도르|1959년 남아메리카 챔피언십]]에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를 이끌고 참가했다. == 플레이 스타일 == 모레노는 공격수로서 필요한 모든 것에 뛰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그의 키는 170cm로 당시 기준으로 평범했지만 머리로 75골을 넣는 등 몸싸움에서 쉽게 밀리지 않는 피지컬을 보유했고 양발 사용에 능하면서 기술도 뛰어났다. 하지만 그의 능력 중 특히 대단한 것은 시야로 경기를 풀어나가는 능력이 일품이었다고 전해진다. 포지션은 공격수지만 수비 가담도 잘해서 동료들에게 항상 든든한 존재였다. == 평가 == 모레노는 [[FIFA 월드컵|월드컵]]에서의 활약이 없어서 축구팬들에게 이름이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지지뉴]]와 더불어 1940년대의 남미 축구계를 대표하는 두 명의 공격수 중 한 명이다. IFFHS의 평가에서 모레노는 모든 20세기의 선수 중 25위에 꼽히기도 했다. 그 평가에서 아르헨티나 출신 선수 중 그보다 위에 있는 선수는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와 [[디에고 마라도나]] 둘 뿐이었을 정도. 후대의 선수들을 추가해도 모레노보다 확실히 위라고 평할 만한 아르헨티나 선수로는 [[리오넬 메시]]만 추가된다. [[라 마키나]]의 일원으로 [[CA 리버 플레이트]]에서 300골 가까이 넣은 [[앙헬 라브루나]]와 디 스테파노가 가장 존경하던 선배 [[아돌포 페데르네라]]보다 위의 평가를 받는 선수이자 라 마키나의 에이스라는 것에서 그의 위엄을 알 수 있다. == 뒷이야기 == * 모레노는 술, 담배를 즐기고 다소 불성실한 훈련 참여 태도를 지닌 게으른 천재였다. == 수상 == === 클럽 === * [[리가 프로페시오날|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6회: 1936 Copa Compeonato, 1936 Copa de Oro, 1937, 1941, 1942, 1947([[CA 리버 플레이트]]) * [[리가 MX|멕시칸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1회: 1946(클루브 에스파냐) * 칠리안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1회: 1949([[클루브 데포르티보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캄페오나토 프로페셔널]] 우승 2회: 1955, 1957([[인디펜디엔테 메데인]])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준우승 6회: 1938, 1939, 1943, 1944, 1948(이상 CA 리버 플레이트), 1950([[CA 보카 주니어스]]) === 국가대표 ===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우승 2회: [[1941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칠레|1941]], [[1947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에콰도르|1947]] === 개인 ===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남아메리카 챔피언십]] MVP 1회: [[1947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에콰도르|1947]] *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득점왕 1회: [[1942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우루과이|1942]] [각주] [[분류:1916년 출생]][[분류:1935년 데뷔]][[분류:1961년 은퇴]][[분류:1978년 사망]][[분류:부에노스아이레스 출신 인물]][[분류: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분류:CA 리버 플레이트/은퇴, 이적]][[분류:CD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은퇴, 이적]][[분류:CA 보카 주니어스/은퇴, 이적]][[분류:데펜소르 스포르팅/은퇴, 이적]][[분류:인데펜디엔테 메데인/은퇴, 이적]][[분류:아르헨티나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분류:1941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칠레 참가 선수]][[분류:1942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우루과이 참가 선수]][[분류:1947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에콰도르 참가 선수]][[분류:아르헨티나의 축구감독]][[분류:CA 보카 주니어스/역대 감독]][[분류:CA 우라칸/역대 감독]][[분류:인데펜디엔테 메데인/역대 감독]][[분류:콜로-콜로/역대 감독]][[분류: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1959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에콰도르 참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