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5 '''[[虎]]'''}}} ||||<:>{{{+5 '''[[死]]'''}}} ||||<:>{{{+5 '''[[留]]'''}}} ||||<:>{{{+5 '''[[皮]]'''}}} || ||<:>[[虎|범 호]] ||||<:>[[死|죽을 사]] ||||<:>[[留|머무를 유]] ||||<:>[[皮|가죽 피]] || [목차] == 겉뜻 ==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김. == 속뜻 ==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 == 유래 == [[당나라]]가 멸망하고 [[오대십국]]시기에 [[후량]]의 [[왕언장]]은 성품이 우직하고 곧았는데, 그는 싸움에 나갈때면 항상 쇠창을 들고 용감히 덤벼들어서 별명이 왕철창이었다. '''호랑이는 죽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긴다''' 라는 말에 감명받아 죽는 순간까지도 그 말을 외웠다 한다. 시대상은 다르지만[* 애초에 개그영화라 고증과는 거리가 있다. 작중 시대상은 한반도 [[삼국시대]] 말이라 오히려 격언이 후대의 일.] 영화 [[황산벌(영화)|황산벌]]에도 인용된 바 있다. 다만 이땐 가죽과 이름을 남기는 명예를 뒤집어 그 잘난 가죽과 이름값 때문에 개죽음 당한다는 [[촌철살인]]으로 인용됐지만. == 유사한 성어 == * 豹死留皮 표사유피[* 본래 표사유피였는데 일본으로 넘어가면서 호사유피로 변했다는 말이 있다.] 표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 人死留名 인사유명[* '''표사유피 인사유명, 인사유명 표사유피'''로 붙여 쓴다.]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의 삶이 헛되지 아니하면 그 이름이 길이 남음을 이르는 말. == 같이보기 == * [[명예]]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