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호림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3.jpg]]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022276|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호림박물관 금속공예 특별전 <신라 황금귀걸이 보러 오세요>]] [목차] == 개요 == 4세기~5세기 경, 고[[신라]]시대에 [[경상북도]] [[경주시]] 지역에서 만들어진 [[한국]]의 금귀걸이 1쌍. 현재 서울의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호림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2.jpg]] [[http://blog.daum.net/klcyoh/8621106|사진 출처 :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현재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신라시대의 누금(鏤金) 제품으로, 제작 연대는 4세기~5세기 경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국보|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처럼 금알갱이로 [[귀걸이]] 전면을 누금 형태로 장식한 '금제태환이식'(金製太環耳飾)이며, 부부총 금귀걸이와 비슷한 형태를 한 다른 작품들인 [[금귀걸이]],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양산 금조총 금귀걸이]], [[양산 부부총 출토 유물 일괄|양산 부부총 금귀걸이]],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 [[이왕가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처럼 당시 신라시대의 왕족 또는 상위 귀족층에서 향유하던 황금 공예품이라 할 수 있다. 당시 신라의 [[수도(행정구역)|수도]]였던 [[서라벌]], 즉 현 [[경주시]] 지역에서 출토된 것이다. [[파일:호림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1.jpg]]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3063886|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특별전]],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301856|오마이뉴스 - 영원을 바란 신라인들의 금속 공예기술]] 태환(太環), 즉, 굵은 고리 겉면은 정교한 누금 기법으로 금알갱이를 촘촘히 녹여 붙였으며, 이 굵은 고리 안쪽에 끼운 또 다른 중간고리에는 금줄로 꼬아 둥글게 만든 중간식(中間飾, 샛장식)과 심엽형(心葉形, 하트 모양) 드리개 장식을 매달아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꽃]]이나 기하학적 도형을 금알갱이로 표현한 다른 누금 금귀걸이들과는 달리 [[이왕가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처럼 [[새]]모양을 표현하였으나, [[닭]]이나 [[삼족오]] 형태를 묘사한 것으로 확인되는 이왕가박물관 금귀걸이와는 달리 [[봉황]]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으로부터 1,600년~1,700여년 전에 [[신라]] [[서라벌]] 지역에서 만들어진 [[황금]] 공예품으로, 당시 한국의 금속공예술 및 황금 문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파일:호림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4.png]] [[http://thebigdata.co.kr/view.php?ud=201612141201230009192_23|사진 출처 : 글로벌경제 - 드라마 '달의 연인' 고대 주얼리 이야기 - 고전 문양과 정통 왕실 세공법을 활용한 장신구 디자인 ①]] 2016년 드라마인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에 본 '호림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 나온 적이 있다. 황후 유씨와 왕요의 장신구로 나왔고, 훗날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이태리 월드 골드 카운실'에서 세기의 디자인으로 수상을 하였다. [[분류:신라의 금제유물]] [[분류:호림박물관 소장품]] [[분류:경주시의 문화재]] [[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