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호러물|무서운 내용이 주를 이루는]] 애니메이션을 말한다. [[1980년대|8]], [[1990년대|90년대]]엔 [[세기말]] 분위기 흐름을 타서 [[오컬트]] 분위기를 띄는 애니메이션들이 많이 제작되었지만[* 비단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드라마의 경우도 많았다. 한국의 [[M(드라마)|M]], 일본의 <에코에코 아자락>같은 경우가 그렇다.] [[2000년대]]로 접어들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미디어 변화로 이런 장르의 제작이나 힘은 비교적 많이 떨어진 편이다. 또한 장르의 특징상 [[고어물]]과 혼합된 경우도 많다. == [[클리셰]] == * 주로 [[히로인|여주인공]]이 메인 주인공이다. * 경고문을 일방적으로 무시하다가 화를 입는다. * OST는 [[백마스킹]]을 활용하여 더 무서운 느낌을 주기도 한다. * 비교적 저연령층이 대상이면 [[해피엔딩]]이나 [[달콤씁쓸 엔딩]]으로 끝내지만 대다수는 호러 장르 특성상 [[중과부적 엔딩]]이나 [[배드 엔딩]]으로 끝난다. * [[오카다 마리]] 같은 기복이 심하거나 다작왕이 각본을 맡으면 뒷수습도 못 하고 망하기도 한다. * 원작이 있는 경우에는 두번째와 엮어서 지나친 스킵과 발연출로 [[용두사미]]가 된다.[* 하지만 애니메이션의 문제만이 아니라 일본의 호러 영화들도 공유한다.] * [[호러물]] 특성상 개연성을 의도적으로 파괴하기에 개연성이나 명확한 결말하고는 인연이 없는데 매체가 애니메이션이니 해당 작품을 평론할 때 개연성을 비판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코즈믹 호러|떡밥의 회수를 안 하는 것]]은 호러의 기본적인 작법들 중 하나이지만 이를 간과하고 떡밥이 회수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하지만 지나친 스킵과 발연출로 [[용두사미]] 작품이 되는 경우와는 다르다. * [[신비아파트]] 등의 어느 정도 개연성이 있어야 스토리를 볼 맛이 난다는 평가가 많은 호러 애니메이션도 있다. 이 경우 등장인물의 인간관계나 떡밥 회수가 큰 축을 차지하는 일종의 떡밥 애니메이션인 경우이다. == 목록 == * 여기에 없는 애니메이션이 있으면 추가 시 되도록이면 국내 정발명을 우선. * '''최초 출시 및 선방영 방송사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학교유령]]은 투니버스에서도 방영되었지만 TV 방영보다 VHS 비디오 발매 출시가 더 빨랐던 경우 📼로 표시.] 한국 외 작품의 [[투니버스]] 방영은 ▩ 표시, [[대원방송]]은 ◈ 표시, [[애니맥스]]는 ◆, [[애니플러스]]는 ◇ 표시, 기타 방송국은 ※ 표시, [[VHS]] 비디오 발매는 📼 표시. === [[TVA]] === ==== 한국 ==== * [[신비아파트 시리즈]] - 주로 귀신들의 귀여운 SD 디자인, [[강림하리]] 위주로 마케팅되어서 그렇지 귀신의 사연이나 [[최강림]]의 가정사 등의 내용이 나와서 세계관이 어두운 편이다. 심지어 [[신비아파트: 고스트 헌터]]에서는 귀여운 SD와 끔찍한 모습의 SD를 별도로 출시됐을 정도. * [[신비아파트 444호]]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의 비밀]]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ZERO]] * [[흑장미 부인의 문방구]] ==== 한국 외 ==== * [[겁쟁이 강아지 커리지]] ※ * [[고스트 헌트]] ▩ * [[교고쿠 나츠히코]]의 [[항설백물어]] * [[괴담 레스토랑]] ▩ * [[괴 ~아야카시~]] * [[괭이갈매기 울 적에/애니메이션|괭이갈매기 울 적에]] * 나이트워커 -한밤중의 탐정- ※[* [[XTM]]에서 우리말 [[더빙]]하여 방영하였다.] * [[고스트 게임: 디지몬]] * [[마요이가(애니메이션)|마요이가]] ◇ * [[모노노케]] * [[부기팝 시리즈/애니메이션|부기팝 시리즈]] ▩[*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Boogiepop Phantom|2000년판]] 투니버스 방영.]◇[*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애니메이션)|2019년판]] 애니플러스 방영.] * [[사이파이 해리]] ※[* [[경인방송]]에서 방영] * [[시귀/애니메이션|시귀]] * [[쓰르라미 울 적에/애니메이션|쓰르라미 울적에]] ◇ * [[신령사냥~GHOST HOUND~]] ◈ * 세계의 어둠 도감 * [[스쿠비 두 시리즈]] * [[아울 하우스]] ※ * [[야미시바이|어둠의 연극]][* 투니버스 홈페이지인 투니랜드에서 "어둠의 연극"이란 제목으로 서비스는 했으나 정식으로 TV 방영은 하지 않음.] * [[요괴워치 섀도사이드]]▩ * [[우메즈 카즈오|요괴전 고양이눈 꼬마]] * [[죠죠의 기묘한 모험 The Animation|죠죠의 기묘한 모험]][* 특히 '''[[팬텀 블러드|1부]]'''. 1부는 주요 소재부터가 [[돌가면의 흡혈귀|뱀파이어]]와 [[시생인|좀비]]이며, 1부 이후로도 호러틱한 연출이 많이 나온다.] ※[* 넷플릭스에서 자막판 방영 중.] * -- [[증기기관차 토마스]]--※ * [[지옥소녀]] ◆ * [[지박소년 하나코 군(애니메이션 1기)|지박소년 하나코 군]] ◇ * [[지박소년 하나코 군(애니메이션 2기)|지박소년 하나코 군 2기]] ◇ * [[케모노즈메]] * [[코와본]] * 하이스쿨 미스터리 학원 7대 불가사의[* 원제: ハイスクールミステリー 学園七不思議] * [[학교괴담(애니메이션)|학교괴담]] ▩ * [[학교생활!/애니메이션|학교생활!]] ◇ * ~~[[헌티드 정션]] 📼▩~~ [* 투니버스 방영 당시 [[주자영]] 성우의 목소리로 호러 애니메이션으로 광고했는데 전혀 아니다. 해당 애니메이션은 학교 전설에 해당되는 유령이 나오는 유쾌한 개그물이다.] * [[해피 슈가 라이프/애니메이션|해피 슈가 라이프]] * [[Another(소설)/애니메이션|Another]] ◇ === [[OVA]] === ==== 한국 ==== ==== 한국 외 ==== * [[공포의 물고기]] * [[나가이 고|귀공자 엔마]] * [[데드 스페이스: 애프터매스]] * [[마계도시 <신주쿠>]] 📼 * [[매드니스 컴뱃]] * [[숨바꼭질]] ※ [* [[KBS]] 독립영화관으로 심야 방영하였다. 국내 성우진은 [[정미숙]], [[서지연]], [[사성웅]], [[오인성]], [[유지원]], [[안영아]]가 출연하였다.] * [[쇼콜라의 마법]] ▩ * [[이토준지 컬렉션]] ◈ * [[에일리언 9]] ◆ * 외계인 엑스 📼 [* 원제 "ルーツ・サーチ 食心物体X", 과거 [[VHS]] 비디오로 발매되었는데 당연하게도 삭제 장면이 매우 많다.] * 와스레나구모 * [[요수도시]] 📼 * [[지하환등극화소녀춘 미도리]] * [[저속령 DAYDREAM]] * [[코제트의 초상]] * [[콥스파티 -포학해진 영혼의 주문-]] [* [[마이씨앗TV]]에서 VOD 서비스를 한 적이 있다.] * [[펫숍 오브 호러스]] ▩ * [[학교유령]] 📼 === [[극장판]] === ==== 한국 ==== * [[기기괴괴-성형수]] * [[또또와 유령친구들]] * [[파닥파닥]] * [[서울역(애니메이션)]] * [[클라이밍(애니메이션)]] ==== 한국 외 ==== * [[거충열도]] * [[블러드 더 라스트 뱀파이어(극장 애니메이션)|블러드 더 라스트 뱀파이어]] ▩ * [[뱀파이어 헌터 D(1985년)|우주인 뱀파이어]] 📼 * [[아오오니/애니메이션|아오오니]] [* TVA의 경우에는 코미디 개그물이다.] * [[판타스틱 플래닛]] * [[퍼펙트 블루]] * [[코렐라인: 비밀의 문]] * [[몬스터 하우스(영화)]] *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 === 기타 === * [[Salad Fingers]] ==== 한국 ==== * [[슈의 인간공장]]: 슈게임 2차 창작 * [[쟈니 익스프레스]] * 지옥 - 두개의 삶 == 관련 문서 == * [[호러물]] [[분류:호러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