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한국의 지역구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cd313a 50%, #0047a0 50%)" {{{#fff {{{+2 '''호남지방(KOREA)'''}}}[br]'''湖南省(湖南省) | honam province(Honam)'''}}}}}} || ||<-2><#afdde9> [[파일:전라도 지도.svg|width=200%]] || ||<-2><#afdde9> [[파일:제주도 지도.sv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citycont_2_2_4_img02.gif|width=100%]]}}}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헌법상 영토에서 위치 보기】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반도지리구분전라.png|width=100%]]}}}||}}}}}}}}} || || '''위치''' ||[[대한민국]]([[대한민국 헌법|헌법]][[대한민국 헌법 제1장#s-2.3|상]][* 바로 위의 접힘처리가 된 지도는 한반도의 부속도서를 포함하기에 '헌법상' 영토라고 표기되었다.]) 서남부 / [[한국]] 서남부 || || '''면적''' ||50,328.13㎢ || || '''인구''' || 501,8354명,,(2022년 12월),, || || '''인구밀도''' ||240.30명/㎢ || || '''최대도시''' ||[[광주광역시|[[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width=18]] 광주광역시]] || || '''혁신도시''' ||[[전주광역시|[[파일:전주시 CI.svg|height=15]] 전주광역시]] || || '''[[광역자치단체|{{{#fff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width=18]] 광주광역시]][br][[제주도|[[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width=18]] 제주도]][br][[전주광역시|[[파일:전주시 CI.svg|height=15]] 전주광역시]][br][[[전라북도|[[파일:전라북도 휘장.svg|width=18]] 전라북도]][br][[전라남도|[[파일:전라남도 휘장.svg|width=18]] 전라남도]] || || '''[[광역자치단체장|{{{#fff 광역자치단체장}}}]]'''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br][[김관영]] ([[전라북도지사]],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br][[오영훈]] ([[제주도지사]],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br][[우범기]] ([[전주광역시장]],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br][[김영록]] ([[전라남도지사]],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전주광역시]], [[제주도]] 5개 [[광역자치단체]]들을 통틀어 일컫는 명칭. 전라(全羅)도는 [[고려]]때 [[전주광역시|'''전'''주]](全州)와 [[나주시|'''나'''주]](羅州)의 앞 글자를 따서 부르던 명칭이 현재까지 이어졌다. 인구는 2022년 2월 기준 5,055,460명이다. 다른 말로는 '''[[호남]](湖南)'''이라고도 한다. 호남이라는 명칭은 '연려실기술' 지리전고에 따르면 한반도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인공 [[저수지]]로 불리는 [[김제시]] [[벽골제]]의 남쪽이라는 설이 있고, [[금강]]의 옛 이름인 호강(湖江)의 남쪽이라는 설, [[백제]]를 멸망시킨 [[당(통일왕조)|당나라]] [[소정방]]이 '[[중국]]의 [[둥팅호]] 남쪽 지방과 같이 기후가 온화하고 농사가 주업인 유사한 곳'이라 하여 전라도 지방을 호남 지방이라 칭했다는 설 등이 있다. 하지만 전주시가 이번에 2025년 광역시 로 승격출범을 확정하면서 전주광역시로 될예정이라, 도청소재지가 익산시로 이전 변경될 전망이다. 그리고 전주는 2024년 3월 3일 의 광역시 로 승격출범 예정 확정났고 이제 전주광역시 이가 되고 호남에는 5개 의 광역자치단체 를 이르며 증가되고 전북 도청 소재지가 군산시 로 변경 이전 되었다.! [[조선]] 8도상 전라도를 현재의 행정구역에 대응시켜 보면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전주광역시]], [[제주도]]가 해당되고, 또 1895년 이전의 구획을 기준으로 하면 거기에 [[충청남도]] [[금산군]](1962년까지 전라북도 산하[* 금산군은 1895년 23부제 실시 때 잠시 공주부에 편입되었다가 이듬해 다시 전라북도로 편입되었고, 1963년 충청남도에 편입되었다.])까지 해당된다. 현대에는 '전라도'라는 말이 행정구역적 개념보다는 조선 [[8도]]에 따른 역사적 문화적 정치적 지리개념에 가까운데, 이런 의미로 쓸 때도 대개 [[제주도]]까지 포함할수는 없다 왜냐면 영남인데다가 경남의 위치하고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제주도는 전라도 와 는 절대 관계없고 남의 다른지역이다, 제주도는 충청도 하고도 절대 관계없는 영남의 유일한 섬지역이자 을릉군, 제주시, 서귀포시, 독도 이렇게 순위로 나간다. 게다가 조선시대에. 금산군은 [[충청남도]] 편입 이후 [[대전광역시]]와 밀접한 생활권이 형성됐고 현행 행정구역상 전라남도·전라북도, 광주광역시, 제주도, 전주광역시만 호남이라고 부른다. 1896년 8월 4일, 전국을 13도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전라도 역시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분도된다. 분도의 역사가 그리 길지는 않지만 고려에서 전주 일대의 강남도(江南道)와 나주 일대의 해양도(海陽道)로 원래 있다가 전라도로 합쳐졌듯이 전라도 문화권은 역시 1896년 분도된 경상도와 같이 비록 같은 경상도 문화권이지만 역사적으로 고려에서 영남도(嶺南道), 영동도(嶺東道), 산남도(山南道)로 원래 있다가 경상도로 합쳐진 대구 경북권과 부산 경남권이 각각의 개성과 차이가 있듯이, [[전주시]]를 구심점으로 하는 [[전라북도]] 문화권과 [[전라남도]], [[광주광역시]]를 구심점으로 하는 광주&[[전라남도]] 문화권으로 나뉘고, 이에 따라 남북도 간에도 역사적, 문화적인 차이, 말씨 등에서 각각의 개성과 차이가 있다. 또한 남북을 통틀어 호남의 주요 도시로는 [[광주광역시]], [[전주시]],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익산시]], [[군산시]] 등이 있다.[* 전남/광주 지역 기준으로 볼 경우, [[광주]], [[순천]], [[여수]], [[목포]], [[광양]]가 다섯 손가락 안으로, 즉 '''5대 도시''' 범위로 들어가고, 남북을 통으로 보면 [[광주]], [[전주]], [[순천]], [[익산]], [[여수]]가 '''호남 5대 도시'''로 들어간다.] == 역사 == '[[후한서]]'와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기록된 "[[마한]]은 서쪽에 54국, [[진한]]은 동쪽에 12국, [[변한]]은 남쪽에 12국이 있는데, 마한이 가장 강대하다", 역시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기록된 "마한으로부터 [[가야]]의 뿌리인 변한과 [[신라]]의 뿌리인 진한이 갈라져 나왔다"는 [[마한]]의 땅으로, 금강 상류 유역 및 섬진강 일부 유역은 [[대가야]]가 잠시 진출하기도 했다가 무령왕 시대에 모두 [[백제]]에 편입이 완료된다. 이 마한 연합의 일개 거수국이었던 백제국이 훗날 마한 일대를 통합하게 되는데, 마한의 일부였던 전라도도 이 흐름을 따라가게 된다. 6세기 백제는 지역 체계로 22담로를 갖추고 있었는데, 6세기 중반에 전남권을 지배지로 편제한 후 백제의 지역 체계가 37군으로 개편된 것으로 보아 마한 국가들이 백제라는 이름 아래 체계만 달리하여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기권 마한 17국은 고구려가 백제로부터 빼앗은 지역으로 추정되는데 이후 고구려가 이 지역으로 16개 행정구역을 편성한 것을 보면 이는 마한 54국 중에서 경기권 마한 17국 정도와 거의 일치한다. 즉 현재 지역 기준으로 경기권 마한 17국, 충청권 마한 12국, 전북권 마한 10국, 전남권 마한 15국으로 추정되는데 도합 마한 54국으로 이중에서 경기권 17국을 뺀 37국과 백제 멸망 무렵의 지역 체계가 일치한다. [[행정구역]]으로써의 전라도의 형태는 [[통일신라]]의 행정구역 체계 [[9주 5소경]]에서 이미 완성되었는데, 당시에는 현 [[전주시]]를 중심으로 한 [[전라북도]] 지역 [[전주]], 현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전라남도]] 지역 [[무주]]가 지금의 전라남북도 영역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 세부적으로 따지면 경계선은 조금씩은 차이가 있다.] [include(틀:고려의 행정구역)] 호남지방라는 지명의 어원은 [[고려시대]] [[성종(고려)|성종]]이 설치한 12목 중 강남도(江南道) [[전주시|전주]]목과 해양도(海陽道) [[나주시|나주]]목에서 유래하며, [[고려시대]] [[현종(고려)|현종]] 때 나주와 전주의 첫글자로부터 전라도를 만드니 광역도의 시작이다. 즉 [[5도 양계]]의 시작으로 전라도를 만든 후 300여 년이 지나서 다른 광역도들이 만들어진다. 참고로 당시 지정된 도(道) 단위 행정명 중 현재까지 명칭이 유지중인 지역은 [[경상도]]와 이곳 단 둘뿐이다. 다만 일시적으로 [[영조]] 시대 나주에서 일어난 반역으로 영조 11년에 나주 대신 광주를 넣어서 전광도(全光道)라는 명칭으로 바뀐 적은 있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ua_11105001_004|#]] 이 일과 관련해 영조는 경상도에도 영남을 토벌했다며 평영남비(平嶺南碑)를 세우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특정 고을에서 역모가 있으면 그 고을의 등급을 낮추었는데, 도명의 유래가 된 고을에서 반역이 일어나면 도의 명칭에서 빼버렸다. 위 기사에서 보다시피 [[강원도]]는 [[원주시|원주]]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춘천]]을 따서 강춘도로 바뀐 적이 있으며, 충청도는 [[광해군]] 때 청주, 충주 순으로 반란이 일어나는 바람에 충홍도(충주+[[홍주목|홍주]])에서 공홍도([[공주]]+[[홍주목|홍주]])로 바뀌었다가 인조반정 후 충청도로 복귀한 일이 있다. 전라도는 3년 후인 영조 14년에 나주가 부로 재승격되면서 강원도와 함께 원래 이름을 되찾게 된다. 호남 지방은 전라도를 속하거나 수도를 이른다. 다만 본디 마한의 맹주국은 기원전 190년경에 [[고조선]]으로부터 내려온 세력이 건국한,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었던 [[건마국]]이었다. [* 문헌 사료와 고고학적 근거가 맞긴 맞지만 기년이 틀린 경우가 잦은 백제나 신라의 경우와는 달리, 유독 건마국 같은 경우는 건국 세력의 고고학적 남천 시점과 준왕의 문헌학적 남하 시점이 거의 일치하는 정말 흔치 않은 경우다.] 하지만 기원후 3세기의 시점에서는 주도권을 현재의 [[충청남도]] [[천안시]] [[청당동]]에 자리잡은 걸로 유력하게 추정되는 삼한 전체의 명목상 영도국이었던 [[목지국]]에게 빼앗긴 상태. 그러나 전라도의 다른 마한 거수국들이 전부 목지국의 직접 지배 아래 혹은 훗날 백제가 주도했던 간접 지배 단계에 있었던 건 아니었다. 목지국의 영향력은 분명 무시할 수는 없으되 훗날 등장하는 백제에 비하면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마한이라는 연맹체에는 크게 보아 한강~임진강 유역권, 안성천 일대, 금강 유역권, 영산강 유역권, 섬진강 유역권 등 다섯 유역권으로 분류해 볼 수 있고, 그 영향력은 목지국만 못 했던 걸로 추정되지만 금강 유역권과 영산강 유역권 역시 나름 세력이 있었기에 그 지역들에는 그렇게까지 크게 미치진 못 했던 걸로 보인다. 섬진강 유역권은 세력은 미약하였지만 거리가 너무 멀었다. 목지국이 [[3세기]] 중후반 백제에게 소멸된 이후에는 백제가 목지국이 하던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지만 백제는 목지국과는 꽤 지향점이 다른 고대 국가였다. 금강 유역은 적어도 [[4세기]]~[[5세기]]까지, 영산강 유역은 고유의 묘제가 [[6세기]]까지도 유지된다.[* 물론 나주 복암리 고분 봉분들 크기가 크고, 부장품들도 금동신발, 은제장식, 장식대도 등 비상한 관심을 끄는 점도 사실이고, 신라도 지증왕 시기 즉 6세기 초까지 마립간 시대의 특징으로 대형고분들이 있었고, 백제 능산리 왕릉들도 2020년 문화재청이 실시한 지하물리탐사 결과 왕릉들의 크기가 훨씬 더 큰 것으로 밝혀지기는 했지만, 갈수록 한반도 전역에서 그 전 시기에 비해 무덤의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단계에 들어가게 된다. 이는 세계적으로 공통되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관료 체제가 확립되면서 왕의 무덤 크기와 왕의 권위가 일치하지는 않게 된다.][[http://www.yasinmoon.com/news/articleView.html?idxno=31594|#]] 다만 [[침미다례]]임이 유력한 영산강 유역 세력은 후기 마한 연맹체를 이끈 바 없으며, 굳이 후기 마한 연맹체의 영도국을 든다면 그것은 다름아닌 [[백제|백제국]]이다. 비록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지만 왜계 전방후원분(초기 횡혈식 석실분)[* 겉은 횡혈식 석실분인데 내부에는 영산강 유역에서 주로 보이는 옹관묘다.] 또는 가야 세력의 유물이 [[전라남도]] 일대에서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백제의 영향력이 시간이 지날 수록 침투해가면서 영산강 유역 세력의 타지 진출을 제한하는 건 부정할 수 없다. 이렇듯 마한이 백제에 편입되는 과정은 목지국을 대신해서 맹주국이 된 백제가 다른 마한 소속 연맹 국가들을 중앙 집권체제로 편입해가는 과정으로 봐야 한다.[* '삼한사의 재조명' 저자 김상은 영산강 유역 세력이 4세기 비류백제 진왕(辰王)실을 장악하고 5세기에는 한성백제의 왕가까지 교체하게 되는 부여(夫餘)씨 세력이라고 보고 있는데 이는 설득력 부족한 이론이다. 영산강 유역 세력은 주로 토돈분구묘제 세력이 주축이 되어 옛 고조선계 토광목곽-석곽묘제 집단과 연합하여 생긴 것으로 분석되는데, 옹관묘계 전통이야 말로 이 연합에서 진화하여 생겨나는 묘제다. 한편 한성백제는 고구려계 적석총 세력이 토돈분구묘제 집단과 연합해서 탄생했고, 이쪽은 고구려식 적석총 디자인을 기본으로 하여 토돈분구묘제 집단의 전통을 일부 흡수한 백제식 즙석 적석총 집단으로 발전하게 된다. 물론 백제 왕가는 다른 마한 집단들 중에선 고고학적으론 오히려 토돈분구묘제 집단을 통해 영산강 유역 세력과 부정할 수 없이 가까운 연결이 있으나, 이 토돈분구묘제 집단은 고구려, 부여 등과는 아무 관련 없고, 4세기부터 근초고왕계로 고정되는 백제 왕계는 고구려와의 강력한 연관성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에 영산강 유역 세력은 부여와는 관계 없다.] [[일본서기]] 신공기 49년조를 바탕으로 이병도가 일본서기 신공기 49년조를 근거로 주장한, [[근초고왕]]이 마한, 즉 전라도 남해안 일대까지 모두 정복했다는 학설은 문제가 있는 학설이었다. 일본서기 신공기 49년조 기록 자체가 왜(倭)의 한반도 정벌이라는 황당무계한 내용에 여기에는 또 왜(倭)의 신라, 가야 정벌 기록도 있는데 신라, 가야를 정벌했다는 기록은 외면하고 굳이 침미다례만 콕 집어 마한 전체를 정벌했다고 해석했던 게 그것. 다만 지명의 비정이나, 근초고왕 이후 고고학적으로 금강 유역권 일대의 성장이 억제되는 점, 그리고 백제가 대방군(현 황해도 일대)의 옛 교역 루트를 장악하는 데는 성공한 사실로 미루어볼 때, 백제가 오늘날의 광주전남 서부 일대 영산강 유역의 해남 백포만 일대로 추정되는 신미-침미다례를 지배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옛 목지국 수준의 위상을 영산강 유역 세력권에까지 각인시키는 데 성공했다는 건 무리한 추정이 아니다.[* 백제의 마한 병합 과정은 신라의 진한 병합과정과도 비슷하지만 다른 면도 있었다. 애초에 마한의 영역 자체가 진한의 2~3배에 달하는 데다가 독자적인 수계가 있는 영역권들은 최소한 4~5개는 있었기에 사로국의 진한 병합과는 이 점이 꽤 달랐고, 처음에는 인접 지역에 대해 가급적 직접 지배를 관철하려 하였으나 범위가 멀거나 영산강 유역권 같이 나름의 독자적 힘이 강했던 지역에 대해서는 중앙행정력의 투사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졌을 뿐이다.] 이러한 설은 이병도가 일본서기 신공기 49년조를 근거로 주장한 이론으로만 주장하는 게 아니라, [[2000년대]] 후반에 충청남역사문화원에서 발간한 백제사 시리즈의 웅진백제 편에서 [[삼국사기]]까지도 고려하여 해석한 것이다. 그러나 475년 백제가 한성 함락이란 초유의 사태를 거치면서, 이 시기를 전후해서 금강 일대 세력이 성장한다. 당연히 이 시기에 영산강 유역 세력은 독자성이 더 강해지며[* 여기서 기록에 있는 신미 혹은 [[침미다례]]는 영산강 유역 중에서 해남 일대의 백포만 지금의 군곡리 지역으로 추정되는데 자세히는 해남읍 화산면, 현산면, 계곡면 일대로 추정되지만 물론 신미 혹은 침미다례 위치를 근처 고해진을 근거로 추정하기도 하는데 고해진 위치도 확실치 않고, 고해진을 강진으로 보기도 하고 또는 침미다례를 강진, 남해, 제주도로 보는 설도 있으나, 영산강 유역 중에서 해남 백포만 일대로 추정하는 설이 유력하다.] 그래도 거리가 보다 가까운 금강 유역 세력은 적어도 [[4세기]] 후반 ~ [[5세기]] 초반까진 백제의 영향력 아래에 들어가게 되는데, 그보다 더 세력이 강한 영산강 유역은 시간이 더 걸렸다. 국보 제295호 나주 금동관이 보여주듯 6세기 초중반에는 오히려 더 큰 성세를 자랑하게 된다. 이 세력은 독자적으로 대중국 외교를 행했던 데다 웅진백제가 주도하는 대고구려 연합전에 초반에는 오히려 대가야보다도 시큰둥한 비협조적인 자세를 보여 백제를 크게 긴장시킨다. 영산강 유역 세력은 이 시기에 신라, 대가야 그리고 심지어는 일본 큐슈 일대와 교역을 강화하며 힘을 키운 게 고고학적으로 드러날 정도. 거꾸로 이 시기 대가야의 경우 신라보다는 백제 쪽으로 문화나 경제적, 군사적 의존도가 기울어지는 경향이 드러나는 걸 보면 서로 상반되는 경향이 드러남을 알 수 있다. 한성 함락으로 밀려나 현재의 충북 지역까지 털리던 백제가 갑자기 무령왕릉 시기 고구려까지 쳐들어간 배경에는 영산강 유역 세력의 지원이 있었다고 봐야 한다. 이렇게 5세기 후반 ~ 6세기 초반 또는 6세기 중엽에서 7세기에 영산강 일대를 백제 체제에 편입하면서 비로소 끝나게 된다. 영산강 유역은 거리도 멀고 원래부터 부강한 곳이었기에, 백제의 영향력 투사 혹은 연합이 가장 마지막에 이뤄졌다고 봐야 한다. 한편 호남 동부 [[섬진강]] 유역 일대는 그 시대 기술로는 평지가 적고 물살도 좁고 빨라 큰 공동체가 발생하기 어려운 환경이었으며, 때문에 영산강 유역과는 달리 공동체들이 죄다 따로 노는 분위기로 해석된다. 다만 또 다른 의문은 바로 가까운 영산강 유역 세력이 이곳에 전혀 진출하지 못한 것인데, 유력한 추측은 백제국의 견제 밖엔 없다. 백제국에게 막 맹주 자리를 빼앗긴 목지국이 여전히 망하지 않은채 백제국에게 직간접적으로 열심히 반항하며, 한편 마한 신미국이란 명칭으로 대외에 자칭하면서[* '진서(晋書) 卷36 列傳 동이마한신미제국(東夷馬韓新彌諸國)' 즉 여기서 신미(新彌)가 침미다례(忱彌多禮)이다.] 백제국의 마한 대표 자격에 영산강 유역 세력이 이의를 제기하던 4세기 초에, 오히려 가야가 섬진강 유역과 활발한 교역을 추진하게 된다. 때문에 현재 전북 지역인 [[남원시]], [[장수군]], [[구례군]]이나 [[순천시]], [[여수시]] 같은 섬진강 유역 지자체는 가야 계통 유물과 고분들이 나타나고 있고, 특히 고대 국가 형성기에 철기문화의 모태 지역으로 철기 유적이 밀집된 현재의 전북 지역은 마한과 가야 문화의 공존과 융화된 모습이 나타나는 지역으로 이로부터 가야의 국력이 확장하는 계기가 된 지역으로[[https://www.yna.co.kr/view/AKR20190523111600055|#]] 이들 지자체에서도 가야사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경북 중부나 북부 지역인 의성,군위,상주,예천,안동,영주,봉화,청송 등지에서 출토되는 토기들은 경주 토기와는 다르고, 경북 북부 지역에서는 백제식 금동관, 환두대도 같은 백제 유물들이 출토되며 또한 고려에서 신라부흥운동도 경북 남부 지역에서 일어나고, 경북 북부 지역에서는 호응이 없었듯 전라도 지역과 마찬가지로 경상도 지역 심지어 경북 지역 내에서도 당시에는 단일한 집단이 아니었듯이 어차피 고대사의 견해들 자체가 어느 정도는 추측에 기반해서 이뤄질 수밖엔 없으며, 여기서 문제가 되는 건 신미-침미다례 전체를 은연중 광주전남 혹은 전라도 전체로 비정하거나 혹은 아예 마한으로 보는 일각의 억지스러운 추측이다.] [[통일신라]] [[9주 5소경]] 체제에서는 지금의 전북에 해당하는 '[[전주시|전주]](완산주)'와 광주전남에 해당하는 '무주(무진주)'로 남북이 분리되어 있었다. 이 무주(武州)는 전북 [[무주군|무주]](茂朱)군이 아닌 지금의 광주광역시다. 이 행정 구역 설정은 사실 웅진-사비 백제 시절의 행정구역 설정과도 연관이 있는데, 완산주 일대는 동성왕-무령왕 대에 22담로제를 실시했을 때 백제가 지방관을 파견했던 지역이고, 무주는 이후 방군성제를 확립하면서 영역 전체에 대한 중앙집권을 관철했을 때 지방관 파견을 완비했던 지역이었다. [[문무왕]] 때 백제 이름을 그대로 가져와 무진주라고 했다가 [[경덕왕]]의 지명 한화 정책으로 고친 것. 흔히 [[견훤]]이 "무진주를 점령하고 완산주를 도읍 삼았다"라고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틀린 거지만 삼국사기 기록에도 무진주라고 나오는 걸 보면 이명으로 즐겨 썼거나 회복한 듯. 한편 [[섬진강]] 일대 일부는 [[강주]](현 [[진주시]]를 중심으로 한 [[경상남도|경남]] 서부)에 속했다. 옛 [[가야]]의 영역. 한편 통일신라 시대에 당시까진 광주전남 영산강 유역보다 다소 낙후되어 있었던 전남 동부 일대에 대한 개발사업이 행해지게 되는데, 이 시기에 통일신라가 전남 남부와 동부 일대 호족이나 인민들을 물리적으로 옮긴 예는 없으나 그 과정에서 원신라 지역 출신인들의 이주가 전남 중동부 일대에 이뤄지면서 오늘날 광주전남 서남부 일대의 영산강 호족들과 묘한 대립이 이뤄지게 된다. 이는 신라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으로 등재된 3곳 즉 공주, 부여, 익산 중에서 고구려로부터 가장 먼 현재의 전북 익산에 의도적으로 [[보덕국]]을 만들었던 것과 대강 비슷한 맥락으로 해석되며, 신라 입장에서는 혹시 있을지 모를 [[백제부흥운동]]의 방지였지만 결과적으로는 오늘날 전라도 영역 전체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인 들의 물리적 융합이 이뤄진 격이 되었다. 하지만 어렵게 이룬 통일신라 초기에 추구하던 화합정신 즉 [[원효]]의 '일심(一心) 사상'도 이러한 통합운동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으로 종교, 지역, 문화, 사회의 모든 부문의 화합을 추구하던 초기의 정신이 쇠퇴하고, 금관가야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또 원신라 지역이 아닌 충청도 진천 출신으로 삼국통일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김유신마저도 쉽게 융화되지 못한 신라 골품제 특유의 폐쇄성 등으로 옛 백제 지역 전역에서는 반신라 분위기가 점점 고조되고 있었다. 그러다 결국 9세기 후반에 의자왕의 뒤를 이어 백제를 부활하겠다는 신라 군인 [[견훤]]이 나타나게 된다. 삼국사기에는 견훤을 경상도 상주 출신으로, 삼국유사에는 고기(古記)에 의하면 견훤은 전라도 광주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후자는 견훤이 왕을 칭하던 초기에 퍼뜨렸을 가능성이 크다. 전북 일대는 견훤의 [[백제부흥운동]]에 적극적으로 협조했던 것으로 보이며, 전북 일대에 사민된 옛 보덕국 유민들은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전혀 고구려 부흥을 외친 흔적이 보이지 않으나 영산강 일대는 이들과 이해관계가 다를 수밖에 없었다. 많은 이들의 오해와는 달리 백제가 중앙집권체제를 완성한 이후부터는 오히려 광주전남 서부 일대에서 화려한 백제계 유물이 더욱 많이 발굴되고 있는 형편이며[* 이 지역은 본디, 백제가 목지국을 타도하기 이전부터도 번영하던 유서 깊은 지역이었다. 따라서 당연히 백제중앙정부가 복속 이후에도 견제와 동시에 우대도 더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광주전남 서부는 다른 전라도 지역 혹은 충청도 지역과는 달리 백제성이 별로 없었다는 얘긴 대단히 편견에 찬 사실과 다른 견해가 아닐 수 없다. 다만 [[견훤]]이 국가를 세우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아무래도 본인과 처지가 비슷한, 주로 광주전남 중동부 호족들에게 보다 접근했던 것 같고, 당연히 이들을 후대할 수밖엔 없었다. 때문에 영산강 유역권은 [[태봉]]을 선택할 수밖엔 없었다. 후삼국 시대 때는 지금의 광주전남 남서부 즉 [[나주]] 일대가 [[고려]]의 지지 기반이 되고, 지금의 전북 즉 [[전주]] 일대는 [[견훤]] [[후백제]]의 지지 기반이 된다. 삼국 시대 당시에는 오히려 광주전남 남서부가 백제 동성왕에게 항복한[* 이 주장은 탐라를 정벌하러 가는 과정에 무진주에서 탐라의 항복을 받았다는 내용을 이병도가 탐라를 제주도로 해석하면서 그 의미를 확장하면서 나온 추측이다. 즉 이병도가 탐라는 제주도라고 주장해서 나온 설이나 삼국사기 백제 동성왕 조에 탐라를 언급하면서 '탐라는 곧 탐모라'라는 대목있으므로 여기서 탐라가 제주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탐(耽)은 침(沈)의 고어(古語)이기 때문에 '하침라'로 보기도 한다. 일본서기에는 무령왕 시기인 508년 남해 가운데 있는 탐라가 처음으로 백제국과 교통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여기서 섬인 탐라가 등장하므로 이 탐라가 제주도로 보인다. 또한 삼국사기에는 무덕 이래(618~625년) 탐라국이 백제에 속하게 됐다는 기록이 있으니 이병도의 주장은 이 기록과도 맞지 않는다.] 반면 200여 기에 이르는 가야의 대형 고분군이 발견될 정도인 전남 동부가 백제에게 저항했는데, 후백제 때는 이런 구도가 뒤집힌 것. 전라도 전체를 먼 과거부터 하나의 실체로만 떠올리는 요즘 감각으론 상상이 어렵겠지만, 광주전남 서부와 동부는 유역권 자체가 달랐기에 고대에는 정치적 향배가 이렇게 달라질 수 밖 에 없었다. 특히 가야는 영,호남 소통의 열쇠로 통하기도 한다. 그래서 김대중 정부에서도 가야사 연구에 관심을 보였고, 우연의 일치인지 당시 김대중 대통령, 김종필 총리, 김중권 대통령 비서실장이 전부 다 [[김해 김씨]]였다. 그래서는 아니겠지만 초기 가야사 연구도 김해에 집중됐었는데, 가야사를 파면 팔수록 영,호남 전체에 걸쳐서 김해 못지 않은 가야의 유적들이 나오게 되고, 그래서 가야사 연구에 영,호남 지자체들이 대거 참여하게 된다. 가야사 연구의 권위자인 주보돈 경북대 사학과 교수에 따르면 가야는 여러 독립국들이 연합을 맺고 있는 형태로, 각각이 다 정치세력을 지닌 국가였고, 유적들도 예상보다 훨씬 넓게 분포되어 가야사 연구가 진행될수록 영,호남 주민들간의 소통이 된다고 한다. 다만 주보돈 교수는 가야사를 연구하다 보니 영,호남 소통이 된 것이지 억지로 정치논리가 역사연구에 개입되는 것에는 경계심을 나타냈다. 아무튼 그렇게 후삼국 시대 군사, 무역의 요충지인 [[나주]] 일대를 놓고 궁예, 왕건 그리고 견훤이 패권을 겨루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나주 공방전]] 참고. 이후 고려 [[성종(고려)|성종]] 때까지 중국의 행정구역 명을 딴 강남도와 해양도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현종(고려)|현종]]이 전라도로부터 광역도를 시작하면서 비로소 어느 정도 현재의 모양을 갖추기 시작한다. 역사의 변천에 따라 범위가 조금씩 바뀌었는데, 탐라라고 불리운 [[제주도]]의 경우 고려 시대까지는 별개의 행정구역이었고 [[원나라|원]] 간섭기엔 탐라총관부로 별도 유지되었으며, [[조선]] [[태종(조선)|태종]] 무렵부터 몇백년간은 전라도와 묶이게 되었다. 이후 제주도는 해방 직후인 1946년 다시 제주도(道)로 독립한다. [[https://ko.wikisource.org/wiki/%EA%B5%B0%EC%A0%95%EB%B2%95%EB%A0%B9_%EC%A0%9C94%ED%98%B8|군정법령 제94호]] 조선 말 [[대한제국]] 초기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전국을 13도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로 분리되었고 [[1963년]]의 행정구역 개편 때는 전라북도 [[금산군]] 전체와 현 [[논산시]] 남부 지역 일부가 충청남도 금산군 및 논산군으로 편입되어 충청도로 넘어갔다. 때문에 전라북도 북쪽 지방에 사는 연세 많은 분들은 금산이 전라도라고 말하는 분들이 꽤 있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에서 보듯, 전남도청은 원래 광주에 있었다. 그러나 [[1986년]]에 [[광주광역시]](당시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1광역시 2도에 이르고 있다[* 전남도청은 [[2005년]] [[무안군]]으로 이전했다. 이로 인하여 2004년까지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어들던 [[무안군]]은 도청 이전과 동시에 신도시가 입주하면서 인구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현재는 전남 군 지역 중에서 인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현대: 인구 유출과 경기 침체 === 가장 높은 지방 인구 유출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전라북도의 경우 [[무진장]] 지역 인구를 보면 답이 나온다. 이 중 [[장수]] 2만 초반, [[진안군]] 및 [[무주군]]은 2만 중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그나마 [[진안군]]의 경우 [[마이산]]으로 인하여 관광객이 휴가철이나 연휴 기간 방문하는 일이 잦으며, [[무주군]]의 경우는 [[스키장]]과 [[리조트]]는 물론 유명한 산 중 하나인 [[덕유산]]이 있어서 전자와 마찬가지로 관광객 방문이 잦다. 그러나 [[장수]]의 경우는 관광 자원 하나도 없는 데다, 인구만 하더라도 [[무진장]] 사이에서도 꼴 등을 하고 있고 [[전라북도]], 심지어 호남 전 지역으로 확대하더라도 가장 인구 수가 낮다. 거기다 장수 같은 경우는 인구 수가 읍 승격 기준인 2만보다 1400명 더 많은 수준이니 이대로 가다가는 2만 명 선이 무너질 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때문에 자본 투자가 줄어들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심각한 문제 중 하나다. 재밌는 사실은 전라도는 고려, 조선시대엔 인구가 많았고 도시(당시엔 큰 고을)도 많았지만 [[한국전쟁]] 이후로 이런 인구유출 현상을 보였기에 마치 [[도심 공동화]] 현상과 비슷하다는 것. 전국에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가장 인구 유출이 심각하다. 비수도권 지역의 인구 감소가 예사로운 일이라고 해도 '''전라도는 특히 심각하다'''. 당연히 안 그래도 안 좋은 경기 침체를 가속화시켜 전남, 전북, 광주의 GDP는 순위에서 서로 끝을 다투고 있는 악재가 계속되고 있으며, 전국에서도 특히 인구 증대, 재정 자립도, 지역민 복지 수준 등에서 하위권을 차지한다. 다만 기업들이 더 낮은 임금을 찾아 중국 그리고 이제는 동남아 등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추세에 따라 전에는 전남과 전북을 합한 인구보다도 경북이 인구가 많았지만, 현재는 전남과 전북을 합한 인구가 경북보다는 많아지게 되었다. 타 지역에 비해 타 도시나 수도권으로 이탈한 호남 출신 지역민이 어마어마하게 많다. 이는 인구 증감과 관련된 자료를 살펴봐도 알 수 있다. 1949년 → 2022년 기준 * 전북 약 205만 → 약 178만(약 27만, 13% '''감소''') * 광주·전남 약 304만 → 약 330만(약 26만, 9% 증가) 으로 타 지역[*자료 수도권 약 419만 → 약 '''2,604만'''(약 '''2,185만''' 증가), 강원도 약 114만 → 약 154만(약 40만 증가), 충북 약 115만 → 약 160만(약 45만 증가), 대전·충남 약 203만 → 약 394만(약 191만 증가), 대경권 약 320만 → 약 500만(약 180만 증가), 동남권 약 313만 → 약 780만(약 467만 증가), 제주도 약 25만 → 약 67만(약 42만 증가)]에 비해 증가세가 정체되있고 '''특히 전북은 [[대한민국]] 총 인구가 약 2,018만 → 약 5,165만으로 약 3,147만명이 증가하는 와중에도 유일하게 인구가 감소한 지역'''이다. 간접적으로도 알 수 있는게 2018년에는 투표로 선출된 서울특별시 25개 구청장 중에서 [[구로구]], [[서초구]], [[금천구]], [[중구(서울)|중구]],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5개 구청장을 제외한 20개 구청장 출신 지역이 호남이다. 16개 구청장은 [[광주광역시]]와 [[전남]] 출신이고, 4개 구청장은 [[전북]] 출신이다. 일자리가 있는 타 지역으로의 인구 유출이 많아지면서, 이주자들은 지역 텃세에 맞서기 위해 지연을 중심으로 뭉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호남향우회]]와 같은 단체의 확장을 가져왔다. 또한 [[육전]], [[떡갈비]] 등 전라도 지역의 식문화나, [[타이거즈]] 야구단 등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문화가 이주자들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타향에서 지연에 기대보거나 고향을 잊지 않기 위해 '전라도', '호남' 등을 포함한 연고 지역을 간판에 나타내기도 하였으며, 서울 수도권 등지에서 빈번하게 보이는 전라도 관련 자영업 상호는 이러한 상경민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진보 진영에서 호남 민심에 각별히 신경쓰는 이유이기도 한데 어느 정도 이념 대립이 완화되기 시작한 시점부터는 전라도 현지 여론이 움직이면 몇달 후 서울 및 수도권 여론도 움직이고, 반대로 서울에서 여론이 움직여도 전라도 현지에서 움직이지 않으면 그만 수그러들고 만다고 한다. 다만, 호남의 인구가 충청에 추월당하게 되었지만, 역사적으로 충청은 특정 이념, 특정 지역의 편을 들기보다는 조절자 성향을 보여왔던 지역으로 이보다는 최근 진보 정권에서의 실정 등에 관해서는 호남에서야 옹호 여론이 우세하더라도 수도권에서는 비판 여론이 우세한 등 호남 여론이 수도권 여론을 움직인다고는 볼 수 없어지고 있다. 당연히 호남 현지 여론과 수도권 여론이 항상 똑같을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 그런 경향이 있다는 점과 정치적인 면에서는 호남이 민주 진보 정권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하며 그 이후에는 정권에 달렸지만 이후 각성하고 반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고 하겠다. === 사료 === [[태조(고려)|태조 왕건]]이 [[훈요 10조]]에서 언급한 '차현(차령) 이남, 공주강([[금강]]) 바깥'이 이 지역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했고, 이를 두고 [[지역감정]]과 결부시키는 의견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런 의견은 '''사서에선 공주강 이북으로 적혀있는 걸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이남으로 해석해 억지로 전라도와 결부시키는 등 사실상 역사왜곡이랑 다를 바 없는 엉터리 해석'''을 기저에 깔고 있다.[* 다른 사서들을 총합해서 정확히 말하면 훈요 10조에 언급된 지역은 지금의 [[세종특별자치시]], [[공주시]] 북부 및 [[청주시]]에 해당한다.] 또한 지금의 차령산맥은 1903년 [[일본인]] 지질학자가 인부 4명과 당나귀 6마리로 14개월 동안 만든 산맥체계에 의해 처음으로 생긴 지명이라 왕건이 말하는 차현이랑은 아예 다르다. 심지어 차령산맥을 100여 년 동안 배워왔지만 2000년 대에 국토연구원에서 인공위성을 통해 측정한 결과 지하에 지맥도 없고, 그냥 흔한 낮은 구릉지대라고 한다. 역사에도 없고, 실재하지도 않던 차령산맥을 기준으로 해석하려니 공주강 이북을 공주강 이남으로 곡해하거나 흐지부지 넘어가거나 아예 생략하는 억지를 부린 것이다. 잘못된 훈요10조 해석에 관한 사안은 [[훈요 10조]] 문서에도 잘 정리되어 있다. 당장에 조작된 해석을 믿으면 고려는 전라도 인물을 등용하지 말았어야 하는데, 고려 역사 곳곳에는 전라도 출신 인물들이 자주 등장한다. 풍수지리의 비조 [[도선]], 팔공산 전투에서 왕건을 구하고 자신의 목숨을 버린 [[신숭겸]], 6대 [[성종(고려)|성종]]까지 여섯 임금을 보필하며 태사(太師)로 추증된 최지몽도 전라도 출신이다. 무엇보다 고려 왕실 자체가 전라도와 밀접한 관계이다. 태조 왕건의 장자(長子)로서 왕건의 적통을 이어 왕위에 오른 [[혜종(고려)|혜종]]은 전라도 나주 출신이며, [[공예태후]]는 고려 18대 왕 의종, 19대 왕 명종, 20대 왕 신종의 모후(母后)이시자 여인의 몸으로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한 고려 왕실을 지키신 분인데 전라도 장흥 출신이다. 고려 2대 혜종의 직계인 고려 8대 왕 현종은 거란과의 전쟁에서 전라도 나주로 몽진을 가기도 하였다. 그런 8대 현종 즉위 후 3대 정종에서 7대 목종의 세력 기반인 충청도 일부 지역을 견제하려고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 고려 왕조를 통틀어 불천지주에 오른 왕은 태조, 혜종, 현종 세분 뿐이다. 애초에 '차현 이남, 공주강 바깥'이란 지역에 대한 해석에 문제가 있다. 고려에서 강 외(外) 즉 강의 바깥(外)은 강을 관할하는 행정구역 바깥을 의미하는데, 공주성은 공주강 남쪽에 있으므로 공주강 외(外)는 공주강 북쪽을 의미한다. 즉 차현 이남(금북정맥 이남)과 공주강 북쪽(금강 북쪽) 즉 그 사이 지역이 된다. 통일 과정에서 궁예가 철원에 도읍을 정할 때, 청주 민호 1천호가 철원으로 이주하였을만큼 친궁예 지지기반이던 청주를 포함한 지역 일대를 가리킨다는 주장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경상도]]와 함께 '하삼도(下三道)', '삼남(三南)'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러한 삼남(三南) 의식은 1961년 5.16 당시 이북 출신들이 장악하고 있던 군부에서 호남 출신 장성들이 같은 삼남(三南) 출신을 지지한다는 명분 아래 영남 출신 박정희를 지지하여 삼남(三南) 출신들이 이북 출신들을 군부에서 축출하는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붕당 정치가 시작되기 전 면앙 송순, [[기대승]], 이항 등과 같은 유학자가 나와 조선 [[성리학]]에 큰 영향을 끼쳤고, 붕당 형성에도 기여를 하였다. [[선조(조선)|선조]]시기 [[정여립의 난]]으로 인해 발생한 [[기축옥사]]에 휘말렸다. 직접 연루되어 죽은 사람이 수백명이며[* 기축년 10월부터 이때에 이르기까지 20개월 사이에 죽은 자가 수백 명이나 되었는데, 조신(朝臣)·명관(名官) 중에 죽은 자가 10여 인이었으며[[http://sillok.history.go.kr/id/knb_12405001_009|#]]] [[정여립]]과 무관하게 [[정개청]]을 추존한 사실 때문에 금고된 자가 400명, 죄인으로 억울하게 몰린 자가 50명, 그 중 유배형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은 자가 20명에 달하는 등 호남유림이 와해될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고 전라도가 [[반역향]]으로 일시간 지정되었으나, 정여립 출신 지역이 왕실의 관향으로 풍패지향(豊沛之鄕)인 [[전주]]이고 직후 벌어진 [[임진왜란]]에서 활약했기 때문에 오래 지속되지는 않았다. 정여립이 전주 출신임을 들어 [[전주]]를 엮으려다 본관 자체가 사라진 가문도 있었다. 선조가 "짐이 간악한 정철에게 속아 호남의 어진 선비들이 고초를 겪었다"고 언급하며 호남에 대한 실질적인 복권이 이루어졌다. 호남과는 별도로 정여립 사건 자체는 이후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집권한 [[북인]]에 의한 복권시도가 있었으나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고 북인도 숙청당하면서, 숙종 대에 [[남인]]도 경신대출척과 갑술환국으로 축출당하고 권력과 멀어지면서 반란으로 규정되었다. 당시 [[정여립]] 사건으로 호남 유림이 와해되어 어려움을 겪었지만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호남이 일어서니, 예를 들어 [[임진왜란]] 초기 관군이 기를 쓰고 싸운 몇 안 되는 전투 중 하나인 [[동래성 전투]]에서 장렬하게 전사해 적장 [[고니시 유키나가]]도 감복했다는 동래부사(현 부산광역시장) [[송상현]](宋象賢)이 전라도 정읍 출신이고, 임진왜란 전투 중에서도 대혈전으로 꼽히는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최경회]](崔慶會) 전라도 화순 출신, 충청도 병마절도사 [[황진]](黃進) 전라도 남원 출신, 사령관 격인 [[김천일]](金千鎰) 의병장 전라도 나주 출신, 사천 현감 장윤(張潤) 전라도 순천 출신, 형제 의병장 강희보, 강희열 전라도 광양 출신...등. 결국 2차 진주성 전투에서 최경회 전사, 황진 전사, 김천일 전사, 장윤 전사, 강희보 전사, 강희열 전사, 김천일 아들 김상건 전사, 고경명 아들 고종후 전사...2차 진주성 전투에서 왜군 100,000명에 대적해 10,000명이 안되는 6,700명으로 싸웠으며, 호남 의병은 3,500명이 참전하여 3,500명이 순절하였다. [[이순신]] 장군은 전라좌수영 전라도 여수를 떠나 한산도로 군진을 옮기는 시점에 즈음하여 친구인 사헌부 지평 현덕승에게 쓴 편지에서 그 동안의 소회를 밝히며 '호남 없이는 나라도 없다. 약무호남 시무국가 (若無湖南 是無國家)’라는 글을 남기기도 하였다. 사적인 편지에서 호남의 지정학적인 전략적 중요성을 언급하기보다는 정황상 그 동안 생사를 넘나들며 함께 지낸 호남 사람들에 대한 고마움의 표현과 나라가 백척간두의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그나마 지탱할 수 있었던 것은 호남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의미로 보는 게 타당하다고 하겠다. 호남 지역은 [[정여립의 난]]으로 호남 내 동인 계열이 많이 숙청되면서 [[인조반정]] 이후에는 [[노론]]·[[소론]]의 세가 강했다고 한다. 동인이 대거 사라졌으니 상대적으로 그렇게 보인 측면이 있고, 또한 이는 [[광산 김씨]]의 영향이 크다. 특히 서인의 종장(宗匠) 사계 김장생 가문이 그렇다. 사계 가문은 학문의 연원이 깊고, 종통이 무거워 한양 권문세가들의 기를 꺾을 수 있는 능력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한양 명문 거벌들의 수장으로서 종주(宗主) 역할을 하였다. 조선 양대 문벌(文閥)로 불리운 두 가문을 일컬어 '연리광김(延李光金)' 또는 '광김연리(光金延李)'라고 하는데, [[연안 이씨]]와 [[광산 김씨]]가 각각 7명의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하였다(양관 대제학 기준으로 홍문관 설치 이전까지 포함하면 광산 김씨 8명이고, 연안 이씨도 조선 초기 대제학 이전 명칭인 대학사까지 포함하면 8명이다.). 정여립 사건 이전에도 동인과 서인의 세가 비슷했던 호남 지역과 달리 영남 지역은 북인의 몰락으로 세가 약해진 인조반정 이전에도 남인을 주축으로 동인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서인은 극소수였다. 호남 지역은 임진왜란 당시 활약한 의병장 전라도 광주 출신 [[고경명]](髙敬命) 장군의 경우도 [[서인]]이었을만큼 처음부터 동인과 서인의 세가 비슷했던 반면 영남 지역은 북인이 몰락하고 서인 계통의 붕당이 집권한 이후에도 [[남인]]이 대세였다. 어느 조선 후기 척제(瘠齊) 이서구(李書九, 1754~1825)라는 사람이 단가 "호남가"를 지은 적이 있다. 이 사람은 1793(정조 17)년과 1820(순조 20)년 2차례 전라 감사를 역임한 바 있는데, 전라도 곳곳에는 이서구와 관련된 민간 전승이 다수 남아 있다. 이 "호남가"를 보면, 조선 시대 전라도의 여러 고을들이 나와 있다. 여기에는 진산(珍山) 등 누락된 고을도 있으며, 현재는 [[충청남도]]로 편입된 [[금산군]] 및 전라도에서 분리된 [[제주도]]도 포함되어 있다. 아래 시를 자세히 보면 각각의 고을 이름을 의역하여 나름대로 의미와 내용을 부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서구는 천문, 수리, 풍수에 능했고, 이로 인해 여러 설화를 지닌 인물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이서구가 "물은 30장(丈)이 내려가고, 땅은 30장(丈)이 올라온다"고 했던 곳은 훗날 새만금 간척지가 되었고, "이 앞으로 화마(火馬)가 지나간다"고 했던 곳은 훗날 기차가 지나다니게 되었다고 한다. >'''咸平([[함평군|함평]])''' 天地(천지) 늙은 몸이 '''光州([[광주광역시|광주]])''' 故鄕(고향)을 보랴 하고, >'''濟州([[제주시|제주]])'''[* 해방 이후 1946년 [[제주도]](현 [[제주특별자치도]])로 분리되기 전까지 전라도(1896년 이후 [[전라남도]])에 속해 있었다.] >漁船(어선) 빌려타고 '''海南([[해남군|해남]])'''으로 건너갈 제, >'''興陽([[고흥군|흥양]])'''에 돋은 해는 '''寶城([[보성군|보성]])'''에 비쳐 있고, >'''高山([[완주군|고산]])'''에 아침 안개 '''霊岩([[영암군|영암]])'''을 둘러 있다. >'''泰仁([[태인면|태인]])'''하신 우리 聖君(성군) 藝樂(예악)을 '''長興([[장흥군|장흥]])'''하니, >三台六卿(삼태육경)은 '''順天'''心('''[[순천시|순천]]'''심)이요, 方伯守令(방백수령)은 '''鎭安'''民('''[[진안군|진안]]'''민)이라. >'''高敞'''城('''[[고창군|고창]]'''성) 높이 앉아 '''羅州([[나주]])''' 風景(풍경)을 바라보니, >萬丈(만장) '''雲峰([[남원시|운봉]])''' 높이 솟아 層層(층층)한 '''益山([[익산시|익산]])'''이요, >百里(백리) '''潭陽([[담양]])''' 흐르는 물은 굽이굽이 '''萬頃([[김제시|만경]])'''인데, >'''龍潭([[진안군|용담]])'''에 맑은 물은 이 아니 '''龍安'''處('''[[익산시|용안]]'''처)[* 문자 그대로 '[[용]]이 편안히 쉬는 곳'으로도 읽힐 수 있다.]이며, >'''陵州([[화순군|능주]])'''의 붉은 꽃은 골골마다 '''錦山([[금산군|금산]])'''[* 1963년 [[충청남도]]로 편입되기 전까지 전라도(1896년 이후에는 [[전라북도]])에 속해 있었다.]이라. >'''南原([[남원시|남원]])'''에 봄이 들어 各色花草(각색화초) '''茂長([[고창군|무장]])'''하니, >나무 나무 '''任實([[임실군|임실]])'''이요, 가지 가지 '''玉果([[곡성군|옥과]])'''로다. >風俗(풍속)은 '''和順([[화순군|화순]])'''이요, 人心(인심)은 '''咸悅([[익산시|함열]])'''인데, >異草(이초)는 '''茂朱([[무주군|무주]])'''하고, 瑞氣(서기)는 '''靈光([[영광군|영광]])'''이라. >'''昌平([[담양군|창평]])'''한 좋은 세상 '''務安([[무안군|무안]])'''을 일삼으니, >士農工商(사농공상) '''樂安([[순천시|낙안]])'''이요, 父子兄弟(부자형제) '''同福([[화순군|동복]])'''이라. >'''康津([[강진군|강진]])'''의 商賈船(상가선)은 '''珍島([[진도군|진도]])'''로 건너갈 제, >'''金溝([[김제시|금구]])'''의 금을 일어 싸 놓으니 '''金堤([[김제시|김제]])'''로다. >農事(농사)하는 '''沃溝'''百姓('''[[군산시|옥구]]'''백성) '''臨陂'''城('''[[군산시|임피]]'''성)을 둘러 있고, >'''井邑([[정읍시|정읍]])'''의 井田(정전)법은 納稅人心(납세인심) '''淳昌([[순창군|순창]])'''하고, >'''古阜([[정읍시|고부]])''' 春陽(춘양) 楊柳色(양류색)은 '''光陽'''春風('''[[광양시|광양]]'''춘풍) 새로워라. >'''谷城([[곡성군|곡성]])'''에 묻힌 선비 '''求禮([[구례군|구례]])'''도 하거니와, >'''興德([[고창군|흥덕]])'''하기를 나날이 時習(시습)하니, '''扶安'''齊家('''[[부안군|부안]]'''제가) 이 아닌가. >우리 湖南(호남) 좋은 '''法聖([[영광군|법성]])''' '''全州'''百姓('''[[전주시|전주]]'''백성)을 거느리고[* 여기에서는 '모든 고을의 백성을 거느린다'는 의미로도 읽힐 수 있다.], >'''長城([[장성군|장성]])'''을 널리 싸고 '''長水([[장수군|장수]])'''로 돌렸는데, >'''礪山([[익산시|여산]])'''돌 칼을 갈아 '''南平'''樓('''[[나주시|남평]]'''루)에 꽂아 놓으니, >어느 外方之國(외방지국)이 輕擧(경거)할 뜻을 둘까 보냐. == 인구 == ||<-102>
{{{+1 ''' {{{#000000 광역자치단체 인구현황 2022년 6월}}} {{{#000000 }}} ''' }}} || ||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 || [[전라남도]] || 1,826,440명 ||<-91> ||<-9> || || [[전라북도]] || 1,778,279명 ||<-88> ||<-12> || || [[광주광역시]] || 1,435,378명 ||<-70> ||<-30> || ### 상한: 200만명 ||<-102>
{{{+1 ''' {{{#000000 주요도시 인구순위 2022년 6월}}} {{{#000000 }}} ''' }}} || ||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 || [[광주광역시]] || 1,435,378명 ||<-97> ||<-3> || || [[전주시]] || 654,521명 ||<-44> ||<-56> || || [[순천시]] || 280,195명 ||<-19> ||<-81> || || [[익산시]] || 276,140명 ||<-19> ||<-81> || || [[여수시]] || 275,544명 ||<-19> ||<-81> || || [[군산시]] || 263,897명 ||<-18> ||<-82> || || [[목포시]] || 217,604명 ||<-15> ||<-85> || || [[광양시]] || 151,669명 ||<-10> ||<-90> || ### 상한: 150만명 ||<-102>
{{{+1 ''' {{{#000000 호남지방 인구 추이}}} {{{#000000 }}} ''' }}} || ||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 || [[1960년]] || 5,948,265명 ||<-85> ||<-15> || || [[1966년]] || 6,569,976명 ||<-94> ||<-6> || || [[1970년]] || 6,318,921명 ||<-90> ||<-10> || || [[1975년]] || 6,440,526명 ||<-92> ||<-8> || || [[1980년]] || 6,067,426명 ||<-87> ||<-13> || || [[1985년]] || 5,950,506명 ||<-85> ||<-15> || || [[1990년]] || 5,716,402명 ||<-82> ||<-18> || || [[1995년]] || 5,226,522명 ||<-75> ||<-25> || || [[2000년]] || 5,239,922명 ||<-75> ||<-25> || || [[2005년]] || 5,021,548명 ||<-72> ||<-28> || || [[2010년]] || 5,242,084명 ||<-75> ||<-25> || || [[2015년]] || 5,250,906명 ||<-75> ||<-25> || || [[2020년]] || 5,105,715명 ||<-75> ||<-25> || || [[2022년]] 6월 || 5,040,097명 ||<-72> ||<-28> || ### 상한: 700만명 == 지리 == 호남 지역에는 대표적으로 두 개의 평야가 있는데, 하나는 [[한반도]] 최대의 평야인 전북 서부의 [[호남 평야]]가 있고 다른 하나는 광주전남 서부에 위치한 [[나주 평야]]가 있다. 호남 평야에는 도시가 발달하여 [[김제시]], [[전주시]], [[익산시]], [[군산시]]가 있다. 호남 평야 지역은 [[곡창]]지대로 유명하며 쌀이 많이 생산된다. 반면 호남 동부는 험준한 산지이다. 특히 전북 동부는 진안 고원으로, 같은 전북 도내의 서부지역과는 완전히 다른 지리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 생활권 === [[광주광역시|광주]]·[[전라남도|전남]]권과 [[전라북도|전북]]권은 대개 [[노령|노령산맥]]을 경계로 나뉜다. 다만 노령산맥이 온전히 전남북의 경계가 되는 것은 아니다. 전북 동반부는 노령산맥 이남에 있으나 전북이고, [[영광군]]은 노령산맥 이북에 있으나 전남이다. 사실 노령산맥이 전남북 경계에 걸리는 곳은 [[정읍시]], [[고창군]] - [[장성군]] 뿐. [[호남고속도로]]를 타고 남쪽으로 내려가면, [[전라북도|전북]]의 드넓은 [[호남 평야]]가 이어지다가 큰 산이 보이는데, 이 곳이 노령이고 이 산의 [[호남터널]]을 지나면 [[전라남도]]이다. 이 노령은 과거부터 전북과 전남을 구분했으며 현재도 전북과 광주, 전남의 도시권/생활권/문화권을 구분짓고 있다. [[전라북도|전북]]과 [[광주광역시|광주]], [[전라남도|전남]]의 [[서남 방언|사투리]] 차이도 크게 존재하며 도시권 역시 다르다. 실제로 [[광주광역시]]가 [[전라북도]]에 도시권을 미치는 범위는 [[고창군]] 정도이며 나머지 도시들은 [[정읍시]]나 [[순창군]]처럼 전북 남부에 위치해 있어도 [[전주시]]의 도시권 영향을 매우 크게 받는다. 광주, 전남과 전북의 자연적 지리특성이 과거부터 두 지역을 구분지었고 현재도 도시권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호남 지역일지라도 여러가지 면에서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사투리의 경우 흔히 접하는 전형적인 전라도 방언의 경우, 광주, 전남 방언이고, 전북 지역의 방언은 북쪽으로 갈수록 [[충청 방언]]과 가까워지는 특성이 있다. === 도시 === [[광역시]]로는 [[광주광역시]]가 있고, [[대도시 특례]]를 받는 도시로는 [[전주시]]가 있다. 현재 전남권의 중심 도시는 [[광주광역시]], 전북권의 중심 도시는 [[전주시]]이다. 두 지역이 각 권역에서 큰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실제로 [[전라남도]]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도로가 뻗어나가는 형태로 도로가 건설되어 있으며, [[전라북도]] 역시 [[전주시]]를 중심으로 한 교통망이 많이 개설되어 있다. 다만 철도의 중심지는 [[익산역]]이 있는 [[익산시]]이다. [[광주광역시|광주]]와 [[전주시|전주]] 이외에도 많은 중소도시가 있다. [[전라남도|전남]]의 [[목포시]]는 전남 서부권의 중심도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순천시]]는 동부권 중심도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여수시]]는 거대한 석유화학단지가 있는 공업도시이며 [[광양시]]는 제철 산업이 발달하고 전남 최대의 항구도시 역할을 하고 있다. [[전라북도|전북]]의 [[익산시]]는 호남 철도의 집결요새 역할을 하고 있는 철도의 도시이며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를 통한 산업이 발전하고 전주의 배후도시 역할을 하고 있다.[* 심지어 [[익산시]] 역시 [[전주시]] 처럼 [[익산시/음식]] 항목이 개설될 정도로 음식문화가 뛰어나다.] [[군산시]] 역시 산업이 발달하고 항구가 발달했으며 [[새만금]]의 중심도시로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시되는 도시이다. === 식문화 === 전라도는 음식과 요리가 전국 기준으로 상당히 발달한 것으로 유명하다. 연예계에서는 [[박나래]], [[EXID]]의 [[혜린]] 등 요리 잘하는 호남 출신 인물을 볼 수 있고, 그래서인지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하는 창작물에서 요리의 달인이라 하면 전라도 출신으로 설정하는 편.[* [[허영만]] 작가의 대표 히트작 [[식객(만화)|식객]]의 주인공 [[성찬]]이 그 예.] 보통 남도 음식으로 통용된다. 그래서 전라도 지역은 식문화가 발달되었다는 인식이 있다. 실제로 전라도라 하면 음식부터 떠올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홍어]], [[젓갈]][* 바다가 가까워서 해산물을 많이 이용한다.], [[한정식]] 등이 특히 발달되었다. 남부지방에 위치해 기후가 온화하고, [[쌀]]이 귀하던 시절에 쌀로 [[과자]]를 만들어 먹을 정도로 전통적으로 물산도 많고, 사람도 많아 식문화가 발달하기 좋은 환경이었다. 특히 [[무진장(지명)|무진장]]이라고도 불리는 [[무주군|무주]], [[진안군|진안]], [[장수군|장수]] 등의 산지 지역과 지평선이 보일 정도로 넓은 김제평야와 같은 평야 지역, 그리고 지척에 바닷가인 [[군산시|군산]]이 서로 맞닿아 물산이 풍부한 [[전주시|전주]] 같은 경우가 음식으로 유명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갖춘 곳으로 광주전남의 물자가 집중된 [[나주시|나주]] 또한 빼놓을 수 없다. 남부지방의 더운 기후 탓에 [[양념]]을 강하게 치고, 젓갈류와 장류가 발달하였으며, 서남해안 갯벌이 있고, 드넓은 평야가 있어서 물산이 풍부해 식재료가 다양하다.[* 특히 새끼 돼지를 재료로 한 애저나 푹 발효시킨 삭힌 홍어 등이 아주 매니악한(...) 인기가 있다.] 음식 종류가 엄청 다양해 상차림에도 많은 음식이 올라간다. 정성을 많이 쏟으며 장식과 구성이 다양하다. 전라도 음식이 맛있다는 세간의 인식은 아래와 같이 [[일제강점기]] 기사에서도 확인된다. >'''전주는 음식 솜씨가 조선에서 제일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과연 음식 솜씨는 사치도 하려니와 첫재는 더운 철에는 더운 철을 따르는 듯한 민첩한 솜씨도 있는 듯하고 제법 영양분에 대한 주의도 게으르지 않은 듯합니다. 지금도 먹고 싶은 것은 그 슬슬 녹는 듯한 생정과입니다. >- '''1932년''' 9월 11일자 [[동아일보]] 다만 음식이라는 건 개인의 취향 및 성장 배경에 따라 사람마다 선호가 다른 게 당연하기 때문에 전라도 음식이 전반적으로 양념을 강하게 넣고 짜고 맵거나 단 맛이 강한 자극적인 맛이라 하여 입맛에 맞지 않아 하는 사람도 있으며, 국제화된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 기준 다양한 외국의 음식 문화가 들어와 있고, 전국의 향토 음식도 다 진출해 있어 사람들의 입맛도 그만큼 다양해진 만큼 현지 식문화에 대하여 과도한 기대를 갖거나 자신의 개인적 [[호불호]]를 꼭 절대화할 필요는 없다. 물론 [[쌀]]도 탄수화물이고, [[한과]]를 만들 때 들어가는 조청도 단맛을 내니 전라도와 단맛이 관계가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일부에서 필요 이상 달게 먹는 건 서양 식습관의 영향이지 전라도와는 관계가 없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지]]가 한국을 대표하는 장수마을로 선정한 곳도 [[고추장]]으로 유명한 [[전라북도]] [[순창군]]이고, [[전라남도]] [[구례군]], [[곡성군]], [[담양군]] 등 서울대 노화연구소가 장수의 원인을 심층 연구하는 곳들이 집중되어 있으며, [[보건복지부]] 통계 전국에서 장수 동네를 최다 보유한 곳도 전라도이고, 역사적으로 전라도에 장수 지역이 많았던 점을 보면 물론 수명을 결정하는 데는 공기, 스트레스 같은 여러 요인들이 있지만, 식습관도 주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전라도 식습관이 건강에 도움이 되면 도움이 되지 해가 된다고 볼 수는 없다. 그리고 대한민국 입맛도 시대에 따라 변해서 [[청와대]] 조리장 출신으로 7년 동안 대통령 식사를 담당했던 한상훈 쉐프는 [[레스토랑]]에서 본인도 그렇고 간을 옛날보다 세게 한다고 하는데, 왜냐 하면 사람들 입맛이 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짠맛은 스낵에도 짠맛이 있는 외국에 비하면 그렇게 짜다고 할 수 없다는 평도 있다. 물론 짠맛은 혈압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여기에도 논란이 있어서, 미국 심장학회(AHA)가 고혈압 기준을 낮추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고혈압 환자군이 대거 늘어난데 대하여 미국 내과학회의 반발과 미국 내에서도 AHA가 제약기업들의 로비단체가 아니냐는 비판, 그리고 실제로는 [[고혈압]]으로 인한 [[뇌출혈]]보다는 혈압이 낮아서 발생하는 뇌경색 발병률이 월등하게 높다는 논란이 있기도 하다.[* 중앙대병원 뇌졸중 클리닉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뇌졸중 환자 10명 중에서 2명이 뇌출혈, 8명이 뇌경색이라고 한다.] 다만 이는 기저에 그런 논쟁도 있다는 것이고, 공식적으로 의료계는 저염식을 권장하고 있다. === 사투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남 방언)] 전라도 사투리 즉 서남 방언을 사용한다. 다만 모두 같은 서남 방언은 아니고, 매체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전라도 사투리는 대부분 광주[[전라남도|전남]] 지역 사투리이다. [[전라북도|전북]] 지역 중 북부 지대는 [[충청도 사투리]]의 영향을 받으며 동부 지역의 경우엔 [[동남 방언]] 억양이 섞인 지역도 있다. === 예술 === 조선 중후기 권력에서 밀려나거나 귀향한 명사들을 중심으로 [[양반]]문화가 발달했다. 16세기 양팽손, 17세기 [[윤두서]], 그리고 19세기 허련을 중심으로 남종화가 발달했고, [[송순]], [[정철]], [[윤선도]] 등은 전라도 지역에서 많은 가사문학을 남겼다. [[판소리]]로도 유명하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서대석 명예교수는 판소리의 악조 장단 및 여러 음악적 요소들은 퍼져 나가는 과정에서 각도의 민요와 소리패들의 소리를 수용하면서 복잡해졌기 때문에 이들 중 한가지 요소만을 추적하여 판소리의 기원을 찾는 작업은 판소리의 본원을 잘못 파악할 위험성이 있다며, 판소리의 기원이 무속 제전에서 서사 무가의 가창 형식으로부터 시작되었고, 판소리 악곡이 호남 지역 민요인 육자배기토리를 주조로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조선 창극사'에서 거론된 명창들 출신지 대부분이 호남이라는 점 등을 들어 판소리 발생지는 전라도라고 하였다. 현재는 [[중고제]]와 [[동편제]]가 맥이 거의 끊기면서 서남지방 중심의 [[서편제]]만이 명맥을 잇고 있어 판소리 구전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다. == 대학 == [[국립대학]]으로는 종합대학인 [[전북대학교]]가 [[전주시]] [[덕진구]]에 있고, [[전남대학교]]가 [[광주광역시]] [[북구(광주)|북구]]에 있다. 호남에서는 이 두 대학의 규모가 가장 크며,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외에도 [[군산대학교]], [[목포대학교]], [[순천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가 있다. 이밖에 [[교육대학]]인 [[전주교육대학교]]와 [[광주교육대학교]]가 있고, [[과학기술원]]인 [[광주과학기술원]]도 있다. 규모가 큰 [[사립대학]]으로는 [[전라북도]] [[익산시]]에 [[원광대학교]]가, [[광주광역시]] [[동구(광주)|동구]]에 [[조선대학교]]가 있다. 이외에도 [[우석대학교]], [[호남대학교]], [[광주대학교]], [[동신대학교]], [[전주대학교]] 등의 사립대학이 있다. [[광주여자대학교]]는 4년제 [[여자대학교]]들 가운데 유일하게 지방에 있는 학교이다. 상대적으로 적은 대학교 특성상 타 지역[* [[인천광역시]] 및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 제외.]처럼 많아야 1 ~ 2개 뿐인 '''[[의사|의]][[치과의사|치]][[약사|약]][[한의사|한]][[수의사|수]][[로스쿨|로]]를 사립대학도 기본 2~3개[* [[원광대학교]], [[조선대학교]]가 대표적이다.]씩 보유하고 있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의 거리로 인해,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유일하게 분교가 없는 지역이다.'''[* 그나마 비슷한 사정인, [[경상도|영남]]에는 [[동국대학교/WISE캠퍼스|동국대학교 WISE캠퍼스]]가 존재한다.] 최근 학령인구감소와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 멀다는 지리적 여건 등으로 호남권 대학들이 위기를 맞고 있다. 부실대학으로 이름을 날린 [[아시아대학교]], [[명신대학교]], [[성화대학]], [[벽성대학]], [[서해대학]], [[광주예술대학교]]가 폐교되었고 2018년에는 [[서남대학교]]가 폐교되었으며 [[한려대학교]]는 파산 선고를 받아 폐교 예정이다. 또한 2021년 신입생 모집에서는 호남권의 '''거의 모든 대학들이 미달'''되었다.[[https://m-ohmynews-com.cdn.ampproject.org/v/m.ohmynews.com/NWS_Web/Mobile/amp.aspx?amp_js_v=a6&_gsa=1&CNTN_CD=A0002724414&usqp=mq331AQKKAFQArABIIACAw%3D%3D#aoh=16401191400803&csi=1&referrer=https%3A%2F%2Fwww.google.com&_tf=%EC%B6%9C%EC%B2%98%3A%20%251%24s&share=http%3A%2F%2Fwww.ohmynews.com%2FNWS_Web%2FView%2Fat_pg.aspx%3FCNTN_CD%3DA0002724414|#]][[https://m.news.nate.com/view/20210303n45031|#]] == 여담 == [[통계청]]에 따르면 [[종교]]적으로는 한반도 평균(개신교 18%, 불교 22%)에 비해 [[개신교]]의 세가 약 20~25%로 강하고, 반대로 [[불교]]의 세가 15% 정도로 비교적 약한 편이라 한다. [[가톨릭]]은 호남 지역에 2개의 교구를 두고 있는데, 광주, 전남 지역의 성교회을 관할하는 [[천주교 광주대교구]]와 전북 지역을 담당하는 [[천주교 전주교구]]가 있다. 한반도에 천주교가 전래된 이후 최초의 천주교 [[순교]]가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훗날 호남 최초의 순교지에 성당을 세우게 되는데 이것이 [[전동성당|전주 전동성당]]이다.] [[원불교]]는 전북교구와 전남교구 이외에 익산의 중앙 총부와 그 주변으로 구성된 중앙교구가 있다. 세계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은 지역이기도 하다. 세계적으로 분포한 6만여 기의 고인돌 중에서 한반도에 4만여 기가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전라도에 있을만큼 압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 중에서 [[고창군]], [[화순군]]에 있는 고인돌들이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서양에서는 '[[청동기]] 시대'를 '영웅들의 시대'라고도 하는데, 왜냐하면 고대 [[그리스 신화]] [[일리아스]] [[오디세이아]]의 배경이 바로 청동기 시대이기 때문. 그런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 유적으로 거석 문화를 대표하는 고인돌이 이곳에 밀집해 있는 이유는 미스테리이다. 한반도 고인돌들은 전라도에서 퍼져나간 패턴을 보이며 인근 지역들도 고인돌이 많아서 [[강화도]]에 있는 고인돌들도 함께 유네스코에 등재되었고, 인근 지역인 [[경상도]] 역시 고인돌이 많다. 또한 종교성이 강한 곳으로 3대 신흥 종교가 전부 전라도에서 일어났다. [[대한불교조계종]]의 본산인 서울 [[조계사]] 대웅전도 전라도 정읍에 있던 보천교 십일전을 분해해서 그대로 옮기었다. 조선조 남사고 선생은 '인류 구원의 대도(大道)는 이 땅 조선에서 출현한다. 전라도에서 천지(天地)의 기운이 통하니 무극대도(無極大道)이다'라는 예언을 하기도 하였다. 유명한 [[바둑]]기사가 많이 나온다. 정운창(전남 보성), [[조남철]](전북 부안), [[조훈현]](전남 목포), [[이세돌]](전남 신안), [[김인(바둑)|김인]](전남 강진), [[이창호]](전북 전주) , [[조치훈]] 역시 [[조남철]]의 조카이고,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역시 아버지가 광주 출신이다.[* 반대로 [[김지석(바둑)|김지석]]의 경우 본인은 광주 출신이나 아버지는 부산 출신이라고 한다.] [[동학농민운동]], [[남한대토벌작전|호남의병항쟁]], [[광주학생항일운동]], [[5.18 민주화운동]]등 압제적인 통치에 저항하는 운동이 많이 일어났던 지역이다. 간혹 한 글자가 같고 이름이 비슷한 '''[[충청도|호서]](湖西)''' 지방과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충청도|호서]] 지방은 [[충청도]]를 일컬는 단어이다. == 정치 == [[대경권|대구 및 경상북도 권역]]과 반대의 성향을 지니고 있다. 인구수가 적기 때문에 의석수도 적어 [[민주당계 정당]]의 주요 지역 지지 기반인 [[서울특별시]]가 실질적인 민주당계 정당의 정치적 권력을 창출한다.[* 사실 전라도의 자체 인구가 줄어든 이유가 일자리를 찾아 서울경기로 이주했기 때문이라서 수도권의 민주당 지지자는 대체로 호남의 여론을 따라간다. 인천은 충청 출신이 많긴 한데 세월이 지나면서 [[우촌좌도]]에 가까워지고 전방지역으로 분류되는 [[강화군]]과 [[옹진군(인천)|옹진군]] 정도를 제외하면 민주당이 우세한 상태다.] 전라도 지역은 오히려 민주계 인사와 당령에 승낙 사인을 내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 실제 민주당 대선 후보로 성장한 이들은 전라도 현지에서의 지지를 바탕으로 전국구 후보로 발돋움하였다.[* 대표적인 사례가 [[새천년민주당]] [[제16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 때 광주에서 승리를 거뒀던 [[노무현]]이다. 전북 출신인 [[정동영]]이 원사이드로 패배한 이후로, 노무현의 후계자로 지지를 받은 [[문재인]]에게 힘을 실어 줬고,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 때도 경북 안동 출신에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인 경기도지사까지 당선된 [[이재명]]을 지지했다.] 호남의 승낙, 지지를 받은 인물과 당령이 전국 민주당 지지자들의 향방을 이끄는게 특징이다. 더 쉽게 표현하면 정치적 실권은 서울특별시를 비롯해 인구수가 많은 수도권 지역이 이끌지만, 명분 및 상징성의 면에선 여전히 전라도 지역의 여론 및 지지가 상당한 영향력을 끼친다. 사실, 보수 정당의 본진인 경상도가 수도권 다음으로 인구가 많고 수도권과 충청도도 보수 정당 지지층과 무당층이 상당하기 때문에 전라도는 다른 지역에서도 보수 정당을 이길 수 있을 정도로 폭넓은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인물과 세력에게 [[전략적 투표]]로 힘을 실어준다.[* [[3당 합당]]으로 비호남권 보수층이 대거 보수정당으로 넘어갔던 충격이 크기도 했다.] 민주당계 정당이 분열되어 있으면 전라도에서 어느 쪽을 지지하느냐가 관심사가 되는데,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으로 분당된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전북도지사는 열린우리당, 전남도지사와 광주시장은 민주당이 가져갔다. [[새정치민주연합 분당]]으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이 등장한 후 전라도는 2016년 20대 총선에서 호남 홀대론이 불어 국민의당에게 많은 지지를 몰아줬으나, 이후 헌재소장 임명사건을 둔 국민의당의 결정적 실책으로 인해 여론이 급변해 2017년 19대 대선에서 2018년 7회 지방선거와 2020년 21대 총선까지 더불어민주당을 제대로 밀어주고 있다. 호남 출신인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유력한 대선 후보로 부각되는 것도 있다. 정치 성향의 정도는 3개 광역자치단체가 대체로 비슷하지만 굳이 따지면 [[5.18 민주화운동]]의 중심지로 민주당계 진영으로부터 특별한 지위를 부여받은 [[광주광역시]]가 가장 강하고 그 다음이 [[전라남도]], [[전라북도]] 순이다. 지역에 따라 비율은 다르지만, 친 민주당계 정서와 반 보수당계 정서가 태반으로 이 둘이 합쳐져 민주당의 세가 강하다. 다만 민주당계가 못할때나 보수당계 반감의 정도가 약해졌을땐 반 보수당계가 다른 목소리를 내 보수당에게 소수나마 문을 열어주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보수정당|보수주의 정당]]의 지지율(7%선)이 정의당류의 [[대한민국 진보정당|진보주의 정당]]의 지지율(8%선)과 비슷하게 나오는 편이다.[[https://twitter.com/rsview2006/status/1211651857e673678848|#]] 하지만 [[5.18]] 망언이 터져나오거나 신흥 인터넷 극우 혹은 보수 언론에서 전라도 비하 논란이 터져나오면 보수주의 정당의 지지율이 1% 미만으로 폭락하는 특징을 보인다. 사실상 열성 보수 지지자가 없다시피하거나, 전라도의 보수주의자들이 지역비하와 과거사 논란에 민감하단걸 보여주는 반증이다. 특히 선거가 가까워지면 인터넷 극우들의 활동세가 강해지고, 5.18 망언, 5.18 관련 법안 발목잡기 등이 언론 카메라에 잡히면서 평시와 선거철의 보수정당 지지율이 큰 차이를 보이는게 정치지형의 특징이다. 전라도가 배출한 보수계 인사인 [[이정현(정치인)|이정현]], [[정운천]]의 경우는 시기적인 운도 따라주고 당시 보수여론이 전라도에 내비친 호의 덕분에 전라도에서 정치적 기반을 자리잡을 수 있었던 사례였다. 하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다시 대립이 심해지고 인터넷 극우와 이들의 지지를 받는 극우 성향 정치인들의 영향으로 호남에서의 보수정당에 대한 반감이 다시 강해지고 이정현과 정운천은 호남에서 지역구 당선이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 대경권도 다시 보수결집이 강해지면서 [[김부겸]], [[홍의락]]이 낙선됐다. 다만 도시 지역구를 중심으로 20-30%대의 고정 진보층은 남은 상황이다.] >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호남인들이 민주당에 대하여 느끼는 호감도가 영남인들이 새누리당에 대하여 느끼는 호감도 보다 더 낮다는 점이다. 다만 호남인들이 새누리당에 대하여 느끼는 호감도는 매우 낮았으며, 이는 영남인들이 민주당에 대하여 느끼는 호감도보다 10.5만큼 낮다. 결국, 호남인들이 민주당과 새누리당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는 민주당에 대한 높은 선호도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새누리당에 대한 낮은 선호도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 >호남 유권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 및 이념적 특성, 21세기 정치학회 > 회귀분석결과 또한 호남거주자들과 호남출신자들의 정치적 행태가 매우 상이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호남거주자들의 경우 국민의당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더불어민주당보다 국민의당에게 투표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반면, 호남출신의 경우는 정반대로 국민의당에 대한 선호도가 낮고 투표가능성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제3정당’에 대한 호남 유권자들의 선호와 투표결정,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통제변수들에서는 여성 변수가 민주연합 지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과 지역적 변수로서 새누리당이 전라도 지역민으로부터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점이 흥미롭다. 이는 민주연합이 보다 여성 친화적인 정당이 되었음을 의미하며, 정당지지에서도 남녀의 성별 분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전라도 지역에 거주하는 유권자의 경우 다른 지역의 유권자에 비해 새누리당을 지지하지 않을 가능성이 52% 정도로 매우 높았다. 이는 민주연합이 경상도 지역에서 지지를 덜 받을 가능성은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점, 그리고 전라도 지역에서 높은 수준의 지지를 받지 못한 점과 비교된다. 이 같은 결과는 호남 지역 유권자의 전통적인 정당태도인 ‘새누리당에 대한 거부감’이 여전히 견고하다는 것을 뜻한다. >---- >지역주의 정당구도의 지속과 변화:경쟁적 가설의 경험적 검증을 통한 전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호남지역의 경우 민주통합당에 대한 정당선호의 수준이 절대적으로 높지 않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것처럼 호남지역에서 민주통합당의 지지율은 대구 .경북지역에서 새누리당의 지지율보다 낮다. EAI(동아시아연구원)의 7차조사에서도 호남지역에서 민주통합당을 지지하는 이들의 비율은 50.4퍼센트였으며, 대구 .경북지역에서 새누리당을 지지하는 이들의 비율은 이보다 조금 많은 52.7퍼센트였다. >---- >호남지역에서 나타난 정당후보득표율의 지역편향, 한국정당학회 여러 사회과학적 조사 방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호남 '거주' 유권자(전라도에 거주 중인 유권자)와 호남 '출신' 유권자(전라도에서 출생해 상경, 타향살이하는 유권자)는 동일한 정치 성향을 가지고 있는 듯하지만 이들은 서로 다른 이유로 민주당계 정당을 지지하고 있다는 점이 통설처럼 여겨지고 있다. 호남 출신 유권자가 민주당계 정당의 핵심 충성계층인 데 비하여, 호남 거주 유권자는 [[민주당계 정당]]이 좋아서라기보다는 [[대한민국 보수정당|보수주의 정당]]이 너무 싫어서 대안인 민주당계 정당을 지지하는 행동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는 왜 거대 보수주의 정당이 아닌, 군소 진보주의 정당이 전라도 지역에서 제1야당 역할을 하는지를 설명해 준다. 이처럼 민주당이 지역 정계를 꽉 잡는 상황이라서 [[진보주의]] 정당은 어부지리격으로 명목상 '지역 야당' 역할을 하는 편. 실제로도 지방선거나 국회의원 선거 등에서는 대부분 민주당이 지지율 1위를, 그 다음 자리를 진보 정당이 차지하는 편이었다. 물론 어디까지나 명목상일 뿐, 전라도 지역 내에서도 실질적으로 민주당계 정당과 1:1로 대립할 체급은 아직 되지 못한다. 다만 민주당 지지세가 강하다고 해서 사회-문화 면에서 진보적이냐면 '''절대''' 그렇지는 않다. 가령 환경 운동이나 [[동성애]], [[페미니즘]], [[다문화주의]]와 같은 분야에선 호남은 때로는 수도권이나 영남의 대도시 지역과 비교해도 더욱 보수적인 면모를 보인다. 호남은 산업화가 상대적으로 덜 되어 있고 농어촌의 비율이 많은데다 고령층 인구도 더 많고, 그에 따른 자영농 + 소영업자 비중이 높다. 또한 개신교 성향도 전국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보수 성향을 띄기 쉬운 것. 그래서 한국의 민주당계 정당은 [[미국 민주당]]에 비해 [[사회보수주의]]가 강한 편이다. 다만 호남 정치사의 특성상 이것이 보수 성향 정당의 지지로 연결되지 않을 뿐이다. 전라도에서 진보주의 정당에 대한 반감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도 이 때문이다. 즉 사회문화적인 면모는 [[대구경북]]과는 비슷하지만 정치 성향이 다른 것이다. 당장 [[여성부]] 또한 민주당이 아닌 [[한나라당]]이 제안한 것.[* 진보주의를 표방하는 정당들은 대개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폄하가 없는 반면에, 보수주의를 표방하는 정당들은 5.18 민주화운동 폄하는 물론, 지지자들은 호남을 비방하는 일이 잦기 때문이다.][* 주로 [[국내야구 갤러리]]와 같은 디시인사이드 전반, [[일베저장소]] 같은 사이트 등.] [[20대 대선]]을 앞두고는 일부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상당한 지지율을 보이고, 일부 세대에서 이기는 여론조사도 나오면서 [[이준석]] 대표가 30% 득표를 목표로 내거는 등 귀추가 주목되었으나, 막상 실제 투표 결과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80% 이상 득표로 낙승했다. [[출구조사]]의 호남 세대별 지지율에서도 세대를 가리지 않고 이 후보에게 압도적인 지지를 보낸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당분간 큰 변화는 없을 듯. 정치 성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광주광역시/정치]], [[전라북도/정치]], [[전라남도/정치]]에 나와있다. 특히 [[광주광역시/정치]] 문서는 호남의 현대 정치사를 압축하여 서술되어 있고, [[전주시/정치]] 문서는 전북권의 정치사가 압축 서술되어 있다. == 전라도 지역을 본관으로 한 성씨 == * [[고흥 류씨]] * [[광산 김씨]] * [[광산 이씨]] * [[광산 탁씨]] * [[광양 김씨]] * [[광양 이씨]] * [[광양 최씨]] * [[광주 강씨]] * [[광주 노씨]] * [[광주 반씨]] * [[광주 정씨]] * [[광주 지씨]] * [[광주 채씨]] * [[금구 온씨]] * [[금성 나씨]] * [[금성 범씨]] * [[나주 나씨]] * [[나주 임씨]] * [[나주 정씨]] * [[나주 최씨]] * [[남원 양씨]] * [[남평 문씨]] * [[능성 구씨]] * [[담양 국씨]] * [[담양 전씨]] * [[동복 오씨]] * [[무안 박씨]] * [[반남 박씨]] * [[보성 선씨]] * [[보성 오씨]] * [[부안 임씨]] * [[부안 김씨]] * [[순창 설씨]] * [[순창 조씨]] * [[순천 김씨]] * [[순천 박씨]] * [[압해 정씨]] * [[여산 송씨]] * [[완산 전씨]] * [[장수 황씨]] * [[장흥 마씨]] * [[장흥 위씨]] * [[전주 김씨]] * [[전주 류씨]] * [[전주 이씨]] * [[태인 경씨]] * [[함열 남궁씨]] * [[함평 모씨]] * [[함평 이씨]] * [[해남 윤씨]] == 같이 보기 == * [[서남 방언]] * [[전주시/음식]] * [[익산시/음식]] * [[바둑]]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5.18 민주화운동]]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 * [[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4005_007|전라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도권(대한민국)#s-2, version=270)] [[분류:대한민국의 지역구분]][[분류:한국의 옛 행정구역]] [include(틀:포크됨2, title=전라도, d=2022-07-08 23:0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