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螢]]'''}}} || {{{+5 '''[[雪]]'''}}} || {{{+5 '''[[之]]'''}}} || {{{+5 '''[[功]]'''}}} || || 반딧불이 형 || 눈 설 || 어조사 지 || 공 공 || [[중국]]의 [[고사성어]]. [[진서]] [[차윤(동진)|차윤]]전의 고사와 비슷한 일화인 손강(孫康)의 고사를 합쳐서 만든 고사성어이다. [[소명문선|문선]](文選)[* 남조(南朝) 양(梁) [[소통|소명태자(昭明太子)]] 편찬]에 '집형영설(集螢映雪)'이라는 문구가 나오며, 몽구(蒙求)[* 당(唐)의 시인 이한(李瀚)이 쓴 어린이용 도덕 교재]에도 두 고사가 8자 한 구절[* 손강영설(孫康映雪) 차윤취형(車胤聚螢)]로 묶여져 있다. 차윤의 기록은 많으나, 손강은 기록이 별로 없다. == 배경 == [[동진]] 때 사람이었던 차윤(330 ~ 400)은 자가 무자(武子)로, 양주 남평 출신이다. 그는 어릴 때부터 부지런하고 학문을 좋아하였으나, 심히 가난하여 기름을 사지 못해 밤에는 제대로 공부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여름]] 밤이 되면 명주 주머니에 수십 마리의 [[반딧불이]]들을 잡아 넣고 그 빛으로 공부를 했다. 결국 그는 이부상서([[행정안전부 장관]])에 오르고 나중에는 상서랑까지 승진했으나, 그 당시에는 동진 말기로 황족들과 [[귀족]]들은 [[세금]]을 마구 거두고 백성들은 [[기근]]으로 숨지는 등 매우 혼란스런 시대였다[* [[황제]]였던 [[진효무제]]는 [[비수대전]] 이후에 사치와 방탕을 즐기다가 장귀인에게 [[암살]]되었다. 청태전이 완공되자 효무제는 장귀인과 술을 마셨는데 효무제는 '''넌 이제 30살이 넘었으니 이제 별로라서 다른 여자를 찾아야겠다'''라고 말했다. 술김에 농담으로 한 것을 진담으로 여긴 장귀인은 그날 밤 효무제와 잠자리에 든 후 이불을 덮어 씌워 질식사시켰다.][* 원래 효무제는 사치에 빠지면서 실권을 동생이었던 회계왕 사마도자에게 맡겼는데 사마도자는 일단 효무제의 [[장남]] 안제를 즉위시켰지만 그가 '''더위도 추위도 못가릴 정도의 중증 [[지적장애|정신박약아]]'''라서 효무제 암살 수습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무능]]한 사마도자 대신 그 아들 상서령 사마원현은 유능했으나, 잔인하고 전횡을 일삼았다. 그는 이걸 그 아버지 사마도자에게 알렸지만 오히려 부자 사이를 이간한다는 책망을 듣자 [[자살]]했다. 그 후 각지의 반란과 [[환현]]의 난이 일어나 사마도자 부자를 비롯해서 황족들과 귀족들은 대거 제거되었다. 결국 그가 자살한지 20년 후에 당시 실권자이자 환현의 난을 제압한 [[유유(송무제)|유유]]가 동진을 멸하고 [[송(육조)]]을 세웠다.]. 손강은 차윤과 비슷한 시기의 사람으로, 마음이 맑고 깨끗했으며, [[독서]]를 좋아했다. 그 역시 집이 가난해 기름 살 돈이 없어 밤에는 책을 읽을 수가 없었다. 이에 손강은 [[겨울]] 밤이 되면 창밖에 쌓인 눈에 반사된 달빛을 등불 삼아 부지런히 공부했고, 결국 어사대부에 올랐다. 차윤과 달리 손강의 이야기는 어사대부가 되었다는 것이 끝이고, 이후의 행적은 불명이다. 후에 손씨 가문에서 이 일화를 바탕으로 손강의 자손이라 주장하는 영설당(映雪堂)파[* 손강의 자손이라 주장하는 사람들은 [[당나라]] 때 명의 손사막, 그리고 중화민국의 국부 [[손문]] 등이 있다.]가 생겨났고 거기서 그의 행적이 좀 더 추가되긴 했지만, 전형적인 족보 가꾸기의 작업에 불과할 뿐 실제 있었던 일이 아니다. == 기타 == 이 일화처럼 실제로 실험해 본 한 사람의 말에 따르면 차윤의 경우는 [[책]]을 읽을 만큼 밝지 않다고 한다. TV 프로그램인 [[호기심 천국]]에서도 이 실험을 한 적이 있는데, 결과는 책에 올려 놓으면 글씨는 읽을 수 있는 정도지만 한 페이지를 한꺼번에 다 읽지는 못하고 [[볼펜]]만한 불빛으로 일일이 글자를 겨우 읽는 수준이었으며, 더구나 [[반딧불]]들을 그렇게 모았더니 --밀폐돼서 숨도 제대로 못 쉬었는지-- 금방 다 죽어서 의미가 없었다고 한다. --그럼 위의 얘기는 [[구라]]?-- 구 [[일본군]]은 이 고사성어에 모티브를 얻어, 반딧불을 가루내어서 그 중에 [[루시페레이스|빛을 내는 성분]]을 채취한 뒤 불을 사용할 수 없는 야간작전시에 이 가루를 지도 등 읽으려는 대상 위에 뿌려 살짝 밝히려는 방법을 시도하기도 했다. 물론 [[망했어요|결과는]]…...[* 2021년 8월 29일 [[TV 동물농장]]에서 실험했다.] 그렇지만 당시의 책은 붓글씨로 썼기 때문에 글자만 크다면 읽는 게 가능했을 수도 있다. [[심해]]에서 [[야광충|발광하는 플랑크톤]]을 이용한 적도 있는데, 이 방법은 한밤중에 기밀 문서를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밝았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침입을 알리는 비상등을 밝힐 정도까지는 아니었다고... 반면 손강의 경우는 [[달]]이 밝고 주변에 전등 등의 지상의 불이 없고 하늘이 맑으면 [[눈(날씨)|눈]]에 반사된 빛으로 책을 읽는 것은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한다. [[군부대]] 등 산간 [[오지(지리)|오지]]에서 생활해 본 사람들이라면 알겠지만, 광공해가 없는 지역에서의 달빛은 매우 밝다. 대형 서점 브랜드인 [[반디앤루니스]]의 명칭도 이 고사성어에서 따온 이름이라고 한다.[* 곤충인 반딧불이와 달빛의 라틴어 명칭인 Luni를 합성해서 이름을 지었는데, 이는 반딧불의 불빛과 눈에 반사된 달빛으로 책을 읽었다는 형설지공 고사성어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작별|올드 랭 사인(작별)]] 일본판 첫 소절은[* 蛍の光、窓の雪(반딧불의 빛과 창가의 눈)] 이 고사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지금도 [[아프리카]] [[기니]]에서는 [[공항]]에서 [[비행기]] 안내를 위해 비추는 빛으로 책을 읽는 아이들도 있으니 [[21세기]]판 형설지공인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40&query=view&p=1&my=&category=&sort=PID&orderby=&where=&name=&subject=&content=&keyword=&sterm=&iskin=&mskin=&l=558577|셈이다.]] [[SBS]]의 예능 [[런닝맨]]에서 자주 인용되는 고사성어이다. --[[양세찬|???]]:지금 이 상황이 형설지공이잖아--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의 교표와 관련 있다. [[5분 후 의외의 결말 시리즈|5초 후 의외의 결말]] 판도라의 빨간 상자 편에서 게임만 하는 아들에게 아버지가 형설지공 고사 이야기를 들려주자 아들은 그 중국 사람은 낮에는 반딧불이나 잡으러 다녀서 가난했을 거라고 반박한다(...).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