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3년 8월 31일까지 운영되었던 시외버스정류장, rd1=현풍시외버스터미널)]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파일:현풍정류장1.png]] ||<-2> {{{+2 '''현풍공영버스정류장'''}}}[br]Hyeonpung Public Bus Station || ||<-2> '''주소''' || ||<-2>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비슬로 136길 15-65 (성하리 476) || ||<-2> '''전화번호''' || ||<-2> 1666-2071 053-659-4132(매표실) || [목차] == 소개 == [[대구광역시]] [[달성군]] 산하 달성군시설관리공단이 운영하는 버스정류장. 달성군의 관문이다. 현풍교통문화파크에 조성되었다. 2023년 9월 1일부터 폐장된 [[현풍시외버스터미널]]을 대체한다. == 편의시설 == 시외승강장 4개 홈, 시내버스 승강장 2개면을 갖추었고 버스도착 및 행선정보는 각 홈 상단의 LED전광판으로 표시하고 있다. * 1번홈 : 남서울, 동서울, --마산--, --창원-- [* 마산, 창원 노선은 기존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옆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교통카드로 승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승차 역시 교통카드나 현금을 사용한다. 단, 현금사용 시에는 거스름돈이 없으므로 제 요금에 타려면 정확히 동전을 맞춰야 한다. 이건 현풍뿐만 아니라 매표소가 없는 권빈, 분기 정류장도 동일하다. 묘산과 고령,귀원등은 터미널 매표소가 있어서 승차권을 구입해야 한다.[[https://www.dssiseol.or.kr/pages/sisul/page.html?mc=1467&no=QM&mode=view&bbs_id=board_b81&start=0&key=&keyword=&category=&search_date_start=&search_date_end=|참조]]] * 2번홈 : 부산서부 * 3번홈 : 고령, 가조, --묘산--, 거창 [* 창원 출발 노선은 고령, 귀원, 분기, 묘산 모두 구간승차 가능하다. 현풍, 분기, 권빈등 매표소가 없는 정류장만 교통카드, 현금이고 묘산, 고령, 귀원??은 매표소에서 승차권을 구입해야한다. 다만 거창의 경우 국도, 우등직행 운임은 모두 동일하나 40분 정도 걸리는 고속도로 운행에 비해 국도 운행은 60~70분 정도로 1.8배 시간차이가 나니 유의할 것] * 4번홈 : 대구직행(서부정류장) == 운행 노선 == [[대구서부정류장]]을 기종점으로 하는 노선 중 일부가 현풍정류장을 경유하는 방식으로 운행한다. 거창, 고령, 부산, 서울, 의령, 창녕방면의 노선이 있다. [[https://www.dssiseol.or.kr/pages/sisul/page.html?mc=1468|참조]] === 시외버스 === ||<-3> '''{{{#ffffff 서울남부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서울남부버스터미널|{{{#ffffff 서울남부}}}]]''' || || ₩ 30,600({{{#0000ff 우등}}})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50, 11:50, 15:20, 18:20}}} || ||<-3>[[시외버스 서울남부-부곡]] 문서 참조 || ||<-3> '''{{{#ffffff 동서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동서울터미널|{{{#ffffff 동서울}}}]]''' || || ₩ 29,100({{{#0000ff 우등}}})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55, 11:30, 16:50}}} || ||<-3>[[시외버스 동서울-의령]] 문서 참조 || ||<-3> '''{{{#ffffff 서부산(사상)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ffffff 서부산(사상)}}}]]''' || || ₩ 12,7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00, 09:30, 11:00, 12:25, 13:40, 15:00, 16:20, 17:45, 19:00, 20:00}}} || ||<-3>[[시외버스 부산서부-거창]] 문서 참조 || ||<-3> '''{{{#ffffff 거창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고령터미널|{{{#ffffff 고령}}}]]''' || || ₩ 3,400[br]₩ 4,500({{{#0000ff 우등}}}) || ||<#0062bc> '''[[가조면|{{{#ffffff 가조}}}]]''' || || ₩ 8,200({{{#0000ff 우등}}}) || ||<#0062bc> '''[[거창시외버스터미널|{{{#ffffff 거창}}}]]''' || || ₩ 9,5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30, 09:40, 11:20, 12:40}}}, 12:50, {{{#0000ff 14:00, 15:20, 16:40, 18:00, 19:20, 20:20}}} || ||<-3>[[시외버스 부산서부-거창]] 문서 참조 || ||<-3> '''{{{#ffffff 창원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마산시외버스터미널|{{{#ffffff 마산}}}]]''' || || ₩ 6,000 || ||<#0062bc> '''[[창원종합버스터미널|{{{#ffffff 창원}}}]]''' || || ₩ 7,00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16:35 || ||<-3>[[시외버스 대구서부-창원]] 문서 참조 || ||<-3> '''{{{#ffffff 대구서부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서부정류장|{{{#ffffff 대구(서부)}}}]]''' || || ₩ 2,80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7:30, 08:10, 12:00, 13:10, 15:30, 17:40, 18:30 || ||<-3>[[시외버스 대구서부-초계]],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 문서 참조 || === 농어촌버스 === [[의령 버스 의령-대구]] 참조 === 연계 시내버스 === ==== 기종점 ==== * --현풍공영버스정류장-- * --[[대구 버스 600]](주말노선)-- * --[[대구 버스 달성3]]-- * --[[대구 버스 달성6]]-- * --[[대구 버스 달성7]]-- 시내버스는 현풍공영버스정류장으로 회차지를 이전할 예정이었으나 예전 시외버스터미널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경유 ==== * 현풍중고등학교앞/건너 * [[대구 버스 655]] * 달성우체국앞/건너 * [[대구 버스 급행4]] * [[대구 버스 655]] [[분류:대구광역시의 버스 터미널]][[분류:달성군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