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대하이스코의 후신, rd1=현대제철)] ||<-2> '''{{{#ffffff {{{+2 현대하이스코}}}[br]HYUNDAI HYSCO Co., Ltd.}}}''' || ||<-2> [[파일:news_1427351544_151439_main1.jpg|width=200]] || || {{{#ffffff '''정식 명칭'''}}}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 || {{{#ffffff '''한자 명칭'''}}} ||現代하이스코 株式會社 || || {{{#ffffff '''영문 명칭'''}}} ||HYUNDAI HYSCO Co., Ltd. || ||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설립일'''}}} ||[[1975년]] [[3월 18일]] || || {{{#ffffff '''해산일'''}}} ||[[2015년]] [[7월 1일]] || || {{{#ffffff '''업종명'''}}} ||강관 제조업 || || {{{#ffffff '''기업 분류'''}}}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ffffff '''상장 여부'''}}} ||[[상장 폐지]] || || {{{#ffffff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1989년]]~[[2015년]]) || || {{{#ffffff '''주식 코드'''}}} ||010520 || || {{{#ffffff '''소재지'''}}}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로 706 (염포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대자동차그룹]]의 舊 강관 제조업체로 존속 당시 현대-기아차 제품생산에 쓸 강판을 공급해 왔으며 도메인은 'www.hysco.com'이었다. == 역사 == 1975년 경일공업으로 설립되어 이듬해 경일산업으로 사명을 바꿨고, 1979년부터 강관 생산 및 수출을 개시하고 1980년 '현대강관'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81년 영국 [[로이드#s-3.4|로이드 선급협회]][* 영국선급협회, Lloyd's Register, LR]로부터 공장 승인을 받고 1989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상장했으며, 한동안 강관 제조에 매진하다 1994년 사업다각화를 위해 메폴 및 PPC파이프 생산을 개시했다. 1995년 베트남에 첫 해외 제조법인을 세우고 이듬해 현대정공과 합작해 중국 지린성에 길림현대강관제조유한공사를 세웠으며, 2000년 현대기아자동차그룹 분가 당시 합류해 울산 염포동 공장 부지를 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에 매도했다. 2001년 '현대하이스코'로 사명을 변경하고 2004년 [[INI스틸]]과 함께 [[한보철강공업]] 당진공장을 사들인 뒤, 2009년 의왕연구소를 세우고 핫스템핑 양산을 개시했다. 2013년 냉연사업부문을 현대제철로 넘기고 2014년 동부특수강 인수를 주도한 바 있으며, 2015년 현대제철로 합병됐다. == 역대 임원 == * 대표이사 회장 * [[정몽구]] (1987~1993) * 유인균 (2000~2002) * 윤명중 (2002~2003) * 부회장 * 이상기 (2003~2004) * 대표이사 부회장 * 김원갑 (2005~2011) * 대표이사 사장 * [[정몽우]] (1975~1977) * [[정몽헌]] (1977~1980) * 김동윤 (1980~1981) * [[정몽구]] (1981~1987) * 김상훈 (1987~1991) * 임평규 (1991~1996) * 권수식 (1996~1999) * 윤명중 (2000~2002) * 김원갑 (2003~2005) * 신성재[* 정몽구 그룹 명예회장의 옛 사위.] (2005~2014) * 박봉진 (2015) * 대표이사 전무 * 유권호 (1979~1980) * 김상훈 (1986~1987) * 이상국 (2014~2015) [[분류:현대제철]][[분류:대한민국의 자재 회사]][[분류:한국의 없어진 기업]][[분류:1975년 기업]][[분류:2015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