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Xcent-Gallery_(9).jpg|width=100%]]}}} || || {{{#ffffff '''XCENT'''}}}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Xcent 프라임.png|width=100%]]}}} || || {{{#ffffff '''XCENT PRIME'''}}} || [목차] '''HYUNDAI XCENT / Grand i10 Sedan[* [[파일:external/www.hyundai-thanhcong.vn/GRAND-I10-SEDAN.png]] 일부 시장에서는 [[현대 엑센트|엑센트]]와 이름이 겹쳐 다른 이름을 사용한다.]''' == 개요 == ||[[파일:fjYQuMm.jpg|width=100%]]||[[파일:LTQJn10.jpg|width=100%]]|| ||<-2> 전기형 || [[현대자동차]]가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해 만든 [[경차|경형]] [[세단]]이며 타 [[개발도상국]]에 수출도 했다. 2세대 [[현대 i10|그랜드 i10]]을 기반으로 트렁크를 붙인 형태다. 인도에서는 전장 4m 이하 차들이 [[소형차]]로 분류되어 세제혜택을 받기에 4m를 간신히 밑도는 세단형 차량들이 서민층의 패밀리카로 인기를 끌고 있다. [[파워트레인]]은 1.2L [[가솔린 엔진]] 또는 1.1L/1.4L [[디젤 엔진]] 중에 선택할 수 있었다. || [[파일:Xcent-Gallery_(9).jpg|width=100%]] || [[파일:Xcent-Gallery_(7).jpg|width=100%]] || ||<-2> 후기형 || 2016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는데, 기존 i10의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왔던 앞모습이 캐스캐이딩 그릴을 적용한 독자적인 디자인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마루티 스즈키]]의 [[마루티 디자이어|디자이어]] 때문에 매년 [[콩라인]]을 기록했다. 2019년을 끝으로 바라트 스테이지 6 기준(인도 환경 기준)을 맞추지 못해 후속 차종인 [[현대 아우라|아우라]]가 2020년에 등장하면서 단종되나, 인도 사이트에 XCENT의 플릿 사양인 'XCENT 프라임'은 2022년까지 병행생산했다. == 특징 == 어마어마하게 성장하고 있는 인도 자동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철저한 [[현지 전략 차종|현지전략화]] 설계를 보이고 있다. [[터번]]을 써야 하는 [[시크교|인도인들의 문화]] 특성상 헤드룸 여유공간을 넓게 확보했고, 비포장도로를 달리기 위해 지상고를 높이고 서스펜션을 단단하게 세팅했다. 더불어 더 강력한 성능의 에어컨, 2열 에어컨 옵션, ECM 룸미러, 큰 경적 소리 등의 특성이 있다. [[현대 엑센트|Accent]]도 엑센트, XCENT도 엑센트로 발음되어 중복되는 네이밍이지만 인도 시장에는 엑센트를 중국 시장처럼 [[현대 베르나|베르나]]로 판매해서 혼동할 일은 없어 보인다. == 엑센트 프라임 == || [[파일:Xcent 프라임.png|width=100%]] || || 플릿 사양인 XCENT 프라임 || 인도 시장에서는 플릿 수요로도 판매했으며 명칭은 XCENT 프라임으로 2022년까지 판매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차량)] [[분류:현대자동차/생산차량]][[분류:2014년 출시]][[분류:2022년 단종]][[분류:경형 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