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행정구역)] ||<-3>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000,#ddd '''[[중국|{{{#000,#ddd 중국}}}]]의 성'''}}} || ||<-3> {{{#ff0 '''{{{+1 헤이룽장성}}}'''[br][ruby(黑龙江, ruby=Hēilóngjiāng)][ruby(省, ruby=Shěng)] | [ruby(ᠰᠠᡥᠠᠯᡳᠶᠠᠨ ᡠᠯᠠ ᡤᠣᠯᠣ, ruby=Sahaliyan Ula Golo)][br]Heilongjiang Provinc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헤이룽장성 위치.sv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黑龙江省,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지역}}}''' ||[[둥베이]] || ||<-2> '''{{{#ffff00 면적}}}''' ||473,000km² || ||<-2> '''{{{#ffff00 성도}}}''' ||[[하얼빈시]] || ||<-2> '''{{{#ffff00 청사소재지}}}'''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난강구 중산로 202호[br]黑龙江省哈尔滨市南岗区中山路202号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12지급시(1부성급시) 65구 17현급시 45현 1자치현 || ||<-2> '''{{{#ffff00 시간대}}}''' ||UTC+8[* [[중국]]은 전 지역([[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이 [[중국 표준시]]를 사용한다.]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3,800만명|| ||<-2> '''{{{#ffff00 인구밀도}}}''' || 82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95.2% | [[만주족]] 2.86%[br][[조선족]] 1.07% | [[몽골족]] 0.39% || ||<-2> '''{{{#ffff00 HDI}}}''' || 0.755 ^^(2014)^^ || ||<-2> '''{{{#ffff00 서기}}}''' || 쉬친(许勤) || ||<-2> '''{{{#ffff00 성장}}}''' || 량후이링(梁惠玲)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339억 ^^(2021)^^ || || '''{{{#ffff00 1인당}}}''' || $7,341 ^^(2021)^^[* [[https://www.stcn.com/xw/sd/202202/t20220201_4128631.html|증권시보]]]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黑'''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23'''00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451''' ~ '''0456'''[br]'''0458''', '''0459''', '''0464'''[br]'''0467''' ~ '''0469''' || ||<-2> '''{{{#ffff00 우편번호}}}''' || '''1500'''00 ~ '''160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HL''' ||}}}}}}}}} || ||<-3> [[http://www.hlj.gov.cn|홈페이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얼빈시 전경.webp|width=100%]]}}} || || '''헤이룽장성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헤이룽장성'''은 [[중국]]의 성으로, 성도는 [[하얼빈시]]다. 약칭은 [[黑|헤이]]'''([ruby(黑, ruby=hēi)])''', 간혹 [[龍|룽]]'''([ruby(龙, ruby=lóng)])'''이라고도 쓴다. [[둥베이]] 3성 중 가장 북쪽과 동쪽에 위치한 성이자, 동시에 [[중국]] 전체에서도 최북단,[* 헤이룽장성에서도 가장 북쪽에 위치한 곳이자 중국 전체의 최북단에 위치한 [[다싱안링지구]]의 모허시는 위도가 북위 53° 33′이다.] 최동단에 위치한 행정구역이다. [[인구]]는 38,312,224명, [[면적]]은 473,000㎢(중국 전체의 약 5%)이다. 인구는 [[북한]]보다 많고 면적은 [[한반도]]의 2배가 조금 넘는다. 서쪽으로 [[내몽골 자치구]], 북쪽과 동쪽으로 [[러시아]],[*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의 [[아무르 주]], [[유대인 자치주]], [[하바롭스크#s-2|하바롭스크 지방]], [[프리모리예 지방]]과 접한다.] 남쪽으로 [[지린성]]과 접한다. '헤이룽장'이라는 이름은 이 성과 러시아의 경계를 흐르는 [[아무르강]]의 중국어 이름인 헤이룽장에서 유래했다. == 역사 == 과거 [[부여]], [[실위]], [[숙신]] 등이 발흥한 곳이다. [[부여]], [[고구려]], [[발해]], [[금나라]] 등을 거쳐오다가 [[몽골]]의 침략을 받고 오지로 전락하였다. 그 뒤 [[청나라]]는 [[1644년]] 중원 정복 이후, 중원 지역에 대해서는 '행성제(行省制)'를 적용했지만 만주 지역에 대해서는 장군부(將軍府)를 두어 통치하게 하는 '군부제(軍府制)'를 채택했다. 이에 [[1653년]]([[순치]] 10) 지금의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닝안시(寧安市)에 '영고탑앙방장경(寧古塔昻邦章京)'이라는 벼슬을 두었다가, [[1662년]]([[강희]] 1) 이를 '진수영고탑등처장군(鎭守寧古塔等處將軍, 약칭 영고탑장군)'으로 개칭하였다. 그리고 [[1671년]](강희 10) 흑룡강변에 성을 쌓고 '헤이룽장성(黑龍江城)'이라고 이름 붙였다. 그 뒤 이 영고탑장군은 [[1676년]](강희 15) 지금의 지린성 지린시로 주둔지가 옮겨졌고, [[1683년]](강희 22) 지금의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에 흑룡강장군(黑龍江將軍)이 별도로 설치되었다. 이는 현재의 헤이룽장성의 전신이 된다. 한편 [[유럽]]에서 계속 [[시베리아]]로 진출하던 [[러시아]]가 이 부근까지 오게 되자, [[청나라]]는 러시아와 [[네르친스크 조약]]과 [[캬흐타 조약]]이라는 국경 획정 조약을 맺기도 하였다. 이 조약이 체결된 후 정해진 헤이룽장성의 강역은 현재와 좀 다른데, 현재 헤이룽장의 남부가 [[지린성]] 소속이었으며 이때의 헤이룽장은 현재 헤이룽장의 북부와 러시아의 [[아무르 주]] 대부분이 속해있던 곳이었다. 현재 헤이룽장의 북부 지역이 당시 헤이룽장성의 중앙부였던 셈이다. [[제정 러시아]]가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프리모르스키 크라이|연해주]] 및 [[만주|외만주]]를 빼앗고 [[의화단 운동]]에서는 20만 명의 대군을 진주시켜 만주 전체를 점령하여 극동총독부를 설치하였으며 더 나아가 동만철도가 있는 '''북만주와 [[하얼빈]]을 차지하고 [[송화강]]과 [[고비 사막]]을 [[러시아]] - [[청나라|청]]의 경계로 삼으려 하였다.''' [[제정 러시아]]가 실제로 북만주를 빼앗았다면 [[중국]]의 만주 국경은 [[명나라]] 초기 때로 축소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러일전쟁]]에서 [[일본]]에게 패배하여 실현되지는 않았다. [[1909년]] [[10월 26일]]에는 [[하얼빈역]]에서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저격했다.]] [[신해혁명]] 이후에는 혁명당 출신의 주칭란이 지배했으나 곧 [[장쭤린]]의 부하 손열신이 장악했으며 이어 [[우쥔성]]이 흑룡강성 독군에 임명되어 [[1928년]]까지 지배했다. 허나 [[1931년]] 9·18 [[만주사변]] 이후 [[관동군]]에게 점령당했으며 [[1932년]] [[만주국]] 수립 이후 만주국의 영토가 되었다. 일본 치하동안 하얼빈 근교에 그 악독한 [[731 부대]]의 수용소와 실험실이 다수 설치되기도 했다. 현재는 중국 정부가 기를 쓰고 발굴하려고 하는 듯하다. 일본 패망 이후에는 소련군 통치 아래 들어갔다가 얼마 안 가 [[국공내전]]을 마친 [[중국]] 산하의 성이 되었다. == 지형과 기후 == [[러시아]]와의 국경을 이루는 동부에는 [[소흥안령 산맥]]이 솟아 있는데, 해발 1,000m 내외로 그렇게 험준한 산맥은 아니다. [[만주]]의 일반적인 이미지에 비해 산세가 그렇게 험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남부는 둥베이 평야의 일부로서 평지를 이루고 있고, 북쪽은 구릉지에 가까운 지형을 보인다. 북쪽의 경우 울창한 [[침엽수|침엽수림]]이 펼쳐져 있어 [[중국]]보다는 [[시베리아]]의 풍경에 가깝다. 취소선 드립할 게 아니라 진짜로 이 성은 원래 [[연해주]]와 같은 땅이며 [[하바롭스크]]와는 대놓고 같은 땅을 공유했기 때문에 기후 등이 비슷하다. [[아이훈 조약]]이 없었다면 연해주는 지금도 중국이 차지했을 것이다. 기후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 성의 대부분이 Dwb이며 남부 일부는 Dwa이고 북부는 Dwc인 아극 기후이다. 중국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만큼, '''[[중국]]에서 가장 추운 지역이다.''' [[겨울]]이 되면 -40℃ 이하로 내려가는, 가히 [[헬게이트]]급인 추위가 특징이다. 이 정도의 추위는 [[유럽]]에서는 헤이룽장성보다 고위도인 지역에서도 아예 나타나지 않으며, [[러시아]]에서도 [[북아시아]] 쪽인 [[시베리아]]에서 나타나고 [[아메리카]]에서는 [[알래스카]] 내륙이나 [[캐나다]] 북부에서 나타난다. 동위도인 북위 50° 지역으로 한정하면 전세계에서 가장 겨울이 추운 곳이다. 특히 하얼빈 지역을 겨울에 방문할 때는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한다.[* 동위도에서 헤이룽장성 다음으로 추운 지역은 [[미국]] [[미네소타]] - [[캐나다]] [[매니토바]] 국경 [[타이가]] 지대다.] 성의 북부는 남부보다도 더 춥다. 이곳들은 정말 시베리아와 같은 겨울 날씨를 보이는데, 헤이룽장성 최북단이자 중국 전체 최북단에 위치한 [[다싱안링지구]] 모허시의 경우 연평균 기온 -5.5℃, 최한월인 [[1월]] 평균 기온이 무려 -30.9℃에 이른다.[* 심지어 [[1965년]] [[12월]] 모허에서 '''월평균 기온'''이 무려 '''-35.3℃'''를 기록하여 역대 가장 낮았다. 즉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중강군|중강]], [[삼지연시|삼지연]], [[개마고원]] 일부 지방의 최저 기온에서나 볼법한 -35℃ 기록이 최저 기온도 아닌, '''월평균 기온으로 기록된 것이다.''' 이는 한반도에서는 아무리 기록적인 [[한파]]가 올지라도 절대로 기록할 수 없는 엄청난 수치이다. 당장 한반도의 역대 최저 월평균 기온은 [[1922년]] [[1월]] [[중강군|중강]]의 -26.6℃이다.] 역대 최저 기온은 [[2023년]] [[1월 22일]]의 '''-53.0℃.[* 그전까지는 [[1969년]] [[2월 13일]]에 [[https://www.yna.co.kr/view/AKR20230123034100083|-52.3℃를 기록한 것이 최저 기온이었다.]] 여담으로 해당 기사에서는 2023년 1월 22일에 -53.0℃를 기록하면서 중국 역대 최저 기온 신기록을 세웠다고 적혀있는데, 실제로는 [[2014년]] [[12월 31일]]에 [[내몽골 자치구]] 건허시에서 기록된 -58.0℃가 중국의 역대 최저 기온이다.]''' 한겨울이 되면 낮 기온마저도 -20℃를 밑돈다. 게다가 헤이룽장성에서 그나마 따뜻하다는 [[하얼빈시|하얼빈]]의 1월 평균 기온마저도 -17.6℃에 육박한다.[* 참고로 하얼빈 역대 최저 '''월평균 기온'''은 [[1922년]] 1월의 '''-27.6℃'''이다.] 겨울에는 냉장고가 따로 필요없을 정도이며, 실외에 빨래를 널었다가는 '''빨래가 언다.''' 사실 하얼빈만 해도 [[북한]]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인 [[삼지연시|삼지연]]과 비견될 만한 최저 기온을 보이는 곳이다. 기상청 통계에 따르면, 1월 평균 기온이 하얼빈은 -17.6℃, 삼지연은 -17.2℃라고 한다. 다만 이 월평균 기온은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균이다. 그 이후의 기록들을 비교해보면 삼지연의 1월 평균 기온이 하얼빈'''보다는''' 낮다. 물론 위에 서술한 모허를 비롯한 성 북쪽 지역은 삼지연은 물론이고 [[동아시아]]에서 비교 대상이 없을 정도로 춥다. 이렇게 추운데도 인구는 3,185만 명이나 된다. 하지만 북방 지역의 특성상 북쪽 오지는 사람이 적어서 성 내 인구가 대부분 하얼빈같은 대도시에 모여 있기 때문에 하얼빈을 비롯한 도시 지역의 [[인구 밀도]]는 높은 반면, 사람이 별로 살지 않는 북쪽 오지 지역들의 인구 밀도는 희박하다. 도심의 인구는 290만 명. 다만 그마저도 면적이 2,400㎢나 될 정도로 넓으니, 사실 면적에 비해 인구가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다. 헤이룽장성의 주요 도시로는 하얼빈을 비롯해 [[치치하얼]], 다칭(大庆), [[자무쓰|자무쓰(佳木斯)]], [[무단장]], 지시(鸡西), 치타이허(七台河) 등이 있다. 성의 북부[* 북위 52~53° 33′ 부근으로 [[내몽골 자치구]]와 가까운 지역.]에서는 드물게 [[오로라]]가 관측되기도 한다. == 산업 == [[만주]] 지역답게 중공업이 발달해 있으며, [[다칭유전]]이 여기에 있다. 하지만 너무 내륙 깊숙이 있어서 무역은 철도를 통해 거의 [[러시아]]와만 이루어진다. [[일본 제국]]의 대륙침략 기지로 시작하여 전후 [[소련]]의 지원까지 겹쳐 개혁개방 이전까지는 중국에서 가장 발전된 지역 중 하나였으나 [[1980년]] 개혁개방 이후 경제의 중심축이 해안 지역으로 이동해 가면서 몰락했다. 개혁개방으로 동남부 연안인 최대도시 [[상하이]]를 낀 남방 [[장쑤성]] 일대와 [[푸젠성]], [[광둥성]] 등 [[대만]]/[[홍콩]]/[[마카오]]와 인접한 성들로 개발축이 옮겨갔기 때문에 둥베이 3성 지역은 쇠락할 수밖에 없었다. [[1984년]]까지만 해도 헤이룽장성은 [[랴오닝성]]에 이어 중국에서 2번째로 1인당 GRDP가 높은 성이었는데[[https://triviumchina.com/data-viz/40-years-of-growth-ranking-chinas-provinces-by-gdp-per-capita-1978-2017/|#]], 이후 꾸준히 순위가 하락해서 2018년 헤이룽장성의 1인당 GRDP는 33,977위안으로 중국 평균의 약 50% 수준에 불과했고, 이는 [[간쑤성]][* 30,797위안]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치였다.[[http://data.stats.gov.cn/english/easyquery.htm?cn=E0103|#]] 1차 산업의 경우, 기후가 이쯤 되면 벼농사는 고사하고 [[랴오닝성]]과 [[지린성]]에서 곧잘 하는 [[옥수수]]와 [[콩]] 농사도 제대로 할 수 없다. 물론 남부 지역은 충분히 이런 농사를 지을 여건이 되지만, [[하얼빈]] 이북 지역은 거의 [[임업]]에 의존하고 있다. 대신 헤이룽장성이 품고 있는 북만주 삼강평원은 부식토층의 두께가 수백 미터로 [[우크라이나]] [[체르노젬|흑토 지대]]나 [[미국]] [[프레리|중동부 대평원 지대]]와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비옥하기로 손꼽히는 곳이다. 북저황이라고 불리던 이곳은 많은 개간이 이루어졌는데 특히 십만이 넘는 인민해방군의 목숨을 갈아서 엄청난 양의 쌀을 생산하는 곡창지대로 변했다. 그 때문에 기후 대비 곡물 생산량이 무지막지하게 많다고 한다. [[스웨덴]] 태생의 자동차 브랜드인 [[볼보]]가 다칭에 현지공장[* 다칭 외에는 [[청두]]와 타이저우(台州)에 [[볼보]]의 현지공장이 있다.]을 두고 있는데, [[볼보 S90|S90]]을 다칭 공장 생산으로 일원화한다는 충공깽 수준의 오피셜을 냈다. 러시아 [[블라고베셴스크]]와 인접한 도시 헤이허에 자유무역시범구를 설치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https://www.yna.co.kr/view/AKR20190604085400097?input=1195m|#]] == 교통 == [[선양시]]에서 [[하얼빈시]]로 뻗어나온 철도가 이 곳을 통해 [[러시아]]의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연결된다. 장차 한반도가 통일을 이룩하면 이 곳의 교통 중요성도 훨씬 커질 것이다. 남북을 연결하는 철도는 잘 되어 있지만, 성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교통망은 부실한 편이다. [[하얼빈]]의 경우 현재 지하철 공사가 진행중이다. 2012년 말에 개통 예정이었으나, 실제 1호선은 2013년 말에 개통되었다. 공사 중 특이한 점은 겨울이 매우 춥기 때문에 대신 더운 여름에 24시간 가까이 몰아서 공사를 한다. 시설은 상당히 좋다. 옅은 황금색으로 인테리어를 했고 여름에도 냉방을 빵빵하게 해서 아주 좋다. == 역대 영도인 == [include(틀:역대 헤이룽장성 영도인)] == 산하 행정구역 == [include(틀:헤이룽장성의 행정구역)] == 기타 == * 2016년 1월 2일 규모 6.4의 지진이 발생했으나, 직접적인 피해는 적었다고 한다. [[http://media.daum.net/foreign/newsview?newsid=20160102150131206|#]] * 참고로 중국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지역 TOP5에 드는 동네로 손꼽히며 2017년 기준으로 중국 전체 꼴지를 기록했다. 그 만큼 고령화 속도도 가파르다. 이 지역의 출산율은 가임여성 1인당 0.5명 정도로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지역이다. 헤이룽장성에서 유학온 학생의 말을 인용하면 대부분 여성은 아이를 갖지 않거나 1명 가지며 2명부터는 다자녀 취급이라고 한다.[* 반대로 티베트 자치구는 중국에서 가장 출산율이 높은 지역으로 티베트 일부 현들은 출산율이 3명대에 육박한다.] * [[연길]]이 있는 [[지린성]] 바로 윗동네라서 이 곳도 [[탈북자]]를 색출하기 위해 투입된 [[북한군]] 비밀요원들이 돌아다니는 곳이다. * 여담으로 헤이룽장성(특히 [[하얼빈]]) 출신 조선족들이 한국에서 흔히 돌아다니는 조선족 혐오 썰들을 들으면 좀 다른 의미로 굉장히 싫어한다. 물론 듣는 조선족 입장에서 혐오발언 듣고 기분좋을 리 없겠지마는, "그런 것들은 전부 남쪽 촌놈(지린성 조선족)들 얘기다"라고 치부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헤이룽장성에 정착한 조선족들은 선조들이 항일운동하다가 그 곳까지 쫓겨나간 경우가 많고 연해주 한인이나 길림성 조선족은 독립운동 반, 생활고로 북으로 올라간 간도 유민 반반이다. * [[하얼빈역]]에 [[안중근 의사 기념관]]이 있다. 2013년부터 공사를 하여 2014년 1월에 완공되었다. 중국어 설명판만 있는게 아니라, 조선어(한국어) 설명판도 설치되어 있으니 한국인이라면 꼭 가볼만한 곳이다. == 출신인물 == * [[김철욱]]: [[하얼빈]] 출신. * [[감청자]]: [[하얼빈]] 출신. * [[가오전닝]]: [[치치하얼]] 출신. * [[딩닝]]: 다칭 출신. * [[런쯔웨이]]: [[하얼빈]] 출신. * [[리빙빙]]: [[하얼빈]] 출신. * [[리셴위]]: [[무단장]] 출신. * [[리진위]]: [[하얼빈]] 출신. * [[서금강]]: 홍콩의 유명배우지만 의외로 고향은 헤이룽장성 [[무단장시]]이다. 자란 곳이 [[홍콩]]과 [[광둥성]]의 [[광저우]]. 사실 이렇게 된 데에는 복잡한 사정이 있는데, 서금강의 집안이 [[문화대혁명]]을 겪으면서 가세가 기울었고 이에 의사였던 서금강의 부친이 홍콩에 병원을 차리기 위해 홍콩으로 이주하면서 서금강 역시 홍콩/광저우에서 살게 된 것이다. * [[쑨루이]]: [[하얼빈]] 출신. * [[진추실]]: 시민운동가,기자,변호사 * [[안은주]]: [[하얼빈]] 출신 * [[양양(A)]]: [[자무쓰]] 출신.[* [[양양(S)]]는 옆 동네인 [[지린성]] [[창춘]] 출신이다.] * [[왕멍]]: 치타이허 출신. * 왕베이싱: [[치치하얼]] 출신. * [[우다징]]: 자무쓰 출신. * [[웨민쥔]]: 다칭 출신. * [[쟈오지아루이]]: [[무단장]] 출신. * [[장위거]]: [[하얼빈]] 출신. * [[장훙]]: [[하얼빈]] 출신. * [[정세현]]: 자무쓰 출신. * [[진보양]]: [[하얼빈]] 출신. * [[축서단]]: [[치치하얼]] 출신. * [[취춘위]]: 헤이허 출신. * [[퉈자시]]: 다칭 출신. * [[판커신]]: [[하얼빈]] 출신. * [[푸톈위]]: [[치치하얼]] 출신. * [[한경(배우)|한경]]: [[무단장]] 출신. * [[히노 히데시]]: [[치치하얼]] 출신. * [[aespa]] [[닝닝]]: [[하얼빈]] 출신. * TF가족 장저위: [[하얼빈]] 출신. * 황신춘(NEX7) * PG One: [[쑤이화]] 출신. * [[시무 리우]]: [[하얼빈]] 출신.[* 하얼빈에서 태어났지만 5살 때 [[캐나다]]로 이민을 갔다.] [[분류:헤이룽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