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콜로라도 로키스/로스터)] ---- ||
'''{{{#C4CED4 헤르만 마르케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콜로라도 로키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C4CED4 헤르만 마르케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ffffff 2021}}}]]'''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투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애덤 웨인라이트]][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헤르만 마르케스[br]([[콜로라도 로키스]])''' || → || [[잭 그레인키]][br]([[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 ||<-5> '''{{{#C4CED4 [[콜로라도 로키스|{{{#C4CED4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67번}}}''' || || 케니 로버츠[br](2015) || {{{+1 →}}} || '''헤르만 마르케스[br](2016)''' || {{{+1 →}}} || 결번 || ||<-5> '''{{{#C4CED4 [[콜로라도 로키스|{{{#c4ced4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48번}}}''' || || 분 로건[br](2014~2016) || {{{+1 →}}} || '''헤르만 마르케스[br](2017~)''' || {{{+1 →}}} || 현역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L.GermánMárquez.jpg|width=100%]]}}} || ||<-2> '''콜로라도 로키스 No.48''' || ||<-2> '''{{{#FFFFFF {{{+2 헤르만 마르케스}}}[br]Germán Márquez}}}''' || || '''본명''' ||헤르만 안드레스 마르케스[br]Germán Andres Márquez || ||<|2> '''출생''' ||[[1995년]] [[2월 22일]] ([age(1995-02-22)]세) || ||[[볼리바르#s-1.1|볼리바르 주]] 산펠릭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 || '''신체''' ||185cm / 102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1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탬파베이 레이스|TB]]) || || '''소속팀''' ||'''[[콜로라도 로키스]] (2016~)''' || || '''계약''' ||2024 - 2025 / $20,000,000 || || '''연봉''' ||2024 / $10,000,000 || || '''기록''' ||'''Pitched an Immaculate Inning (2018.8.8.)''' || [목차] [clearfix] == 개요 == [[콜로라도 로키스]] 소속 우완 투수. [[놀란 아레나도]]가 떠난 이후, [[트레버 스토리]], [[찰리 블랙몬]]과 더불어 로키스 투타의 부동의 핵심 선수로 자리잡은 선수. == 선수 경력 == === 마이너 시절 === 2011년 국제 자유계약으로 [[탬파베이 레이스]]에 입단했고, 2015년 탬파베이의 40인 명단에 오르면서 탬파베이에서 데뷔하는 듯 했으나 2016년 1월 28일 [[제이크 맥기]]와 함께 [[코리 디커슨]], [[케빈 패들로]]를 상대로 [[콜로라도 로키스]]로 트레이드되었다. === [[콜로라도 로키스]] === ==== 2016 시즌 ==== 9월 6일 메이저에 콜업되며 데뷔했다. ==== 2017 시즌 ==== 풀타임 선발로 활약해 29경기 162이닝 11승 7패 ERA 4.39 147탈삼진이라는 준수한 성적을 기록하며 내셔널 리그 신인왕 투표 5위에 올랐다. ==== 2018 시즌 ==== 최종 성적 33경기 196이닝 14승 11패 ERA 3.77에 프랜차이즈 단일시즌 탈삼진 기록인 230탈삼진을 기록하며 그 2010년 [[우발도 히메네즈]]의 기록(214K)을 제쳤다. 본업인 투수는 물론 타자로도 18안타를 치는 등 준수한 활약을 보여줘 팀 창단 처음으로 2년 연속 포스트 시즌에 진출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고, 내셔널 리그 투수 부문 [[실버 슬러거]]를 수상했으며, 이후 콜로라도와 5년 $43M의 연장 계약을 맺었다. ==== 2019 시즌 ==== 4월 14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9이닝 1피안타 9탈삼진을 기록하며 '''데뷔 첫 완봉승'''을 기록했다. 6월 22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경기에서는 8이닝 2실점 8탈삼진으로 호투했지만 상대 투수인 [[워커 뷸러]]가 9이닝 2실점 '''16탈삼진'''으로 완투승을 거두며 주목받지 못했고, 경기는 하이로 디아즈가 [[맷 베이티]]에 끝내기 2점 홈런을 맞으면서 2:4로 패배했다. 7월 들어서는 두경기 연속 5자책을 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다니 7월 15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전에서는 2⅔이닝 11실점이라는 최악투를 보이고 강판당했다. 7월 31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상대로 6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류현진]]과 함께 팽팽한 투수전을 펼치고 있었으나 오른쪽 햄스트링 부상을 당하면서 교체되었다. 8월 6일 휴스턴전에서 복귀했으나, 8월 말에 오른팔 염증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복귀하지 못하고 8월 22일 등판을 마지막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시즌 성적은 28경기 174이닝 12승 5패 ERA 4.76 175탈삼진. ==== 2020 시즌 ==== 시즌 초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좋은 스타트를 끊었다가 이후 한 경기 10실점을 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긴 했지만, 이후 다시 안정을 찾으면서 [[안토니오 센자텔라]]와 함께 팀의 선발진을 이끌었고, 최종 성적 13경기 '''81⅔이닝''' (NL 1위) 4승 6패 ERA 3.75 73탈삼진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 2021 시즌 ==== 4월 1일 개막전에서 다저스를 상대로 4이닝 1실점을 기록하고 내려가며 시즌 첫 등판을 마쳤다. 이후 4점대 평균자책점을 유지하며 그럭저럭 던지던 중 5월 4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는 시작부터 난타를 당하기 시작하면서 5실점을 하더니 만루를 만들고 강판당했고, 구원등판한 [[줄리스 차신]]이 그랜드슬램을 얻어맞으면서 최종 ⅔이닝 8실점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팀은 4회 말에 [[라이멜 타피아]]가 때려낸 그랜드슬램 외에는 침묵하면서 4대 12로 대패. 5월 21일 애리조나와의 3연전 중 첫 경기에 등판해 7이닝 무실점 승리를 따냈고, 팀은 3연전을 싹쓸이하며 탈꼴찌에 성공했다. 5월 27일에는 메츠를 상대로 패배하긴 했지만 6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면서 다시 4점대 평균자책점에 진입했다. 6월에도 좋은 기세를 이어가면서 3점대 ERA에 진입했으나, 6월 12일 신시내티 레즈를 상대로 5회까지 7실점을 했고, 6회에도 올라왔으나 선두타자 볼넷 - 실책으로 주자를 연달아 출루시키며 강판당했다. 이후 올라온 [[타일러 킨리]]가 책임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이며 5이닝 12피안타 8자책을 기록. 그 후 17일 밀워키전에서 6이닝 무실점 승리투수가 되더니 24일 시애틀전에서는 8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며 승리투수가 되는 등 다시 호투중이다. 6월 29일 피츠버그전에서는 [[쿠어스 필드]]에서 등판했음에도 8회까지 볼넷 하나만을 내주며 노히트를 기록중이었으나 9회에 피안타를 맞으며 9이닝 1피안타 1볼넷 5K로 완봉승을 기록했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호투하면서 전반기를 19경기 112⅓이닝 8승 6패 평균자책점 3.36 114탈삼진으로 마감했다. 1998년 이후 23년만에 열린 쿠어스필드에서의 올스타전에서 유일한 로키스 멤버로 올스타전에 선발되었고[* [[트레버 스토리]]가 홈런더비에 참가했으나 올스타전에는 선발되지 못했다.], 4회에 [[코빈 번스]]의 뒤를 이어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고 내려갔다. 7월 31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에서 투수로는 6이닝 2실점을 기록하고, 타석에서는 [[다르빗슈 유]]를 상대로 홈런을 때려내는 활약으로 시즌 9승을 기록했다. 8월 6일 마이애미전에서 6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10승을 달성했다. 이후 페이스가 떨어지면서 최종성적은 12승 11패 180이닝 ERA 4.40 176K으로 커리어하이 갱신에는 실패했지만 2018년 다음으로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고, 2선발인 [[안토니오 센자텔라]]와 함께 로키스의 선발진을 지탱했다. 이닝 또한 180이닝이나 먹어주며 이닝이터의 모습을 선보였다. ==== 2022 시즌 ==== 4월 9일 LA 다저스를 상대로 시즌 첫 등판을 가졌고, 7이닝 1실점 호투를 보여주며 승리 투수 요건을 갖추고 내려갔으나 불펜에서 동점을 허용하며 첫 승을 거두진 못했다. 첫 등판 이후에는 썩 좋지 못한 모습들을 보여주면서 5월 중순까지 1승 3패 6점대 ERA에 그치고 있다. ==== 2023 시즌 ==== 3월 30일 [[펫코 파크]]에서 열리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시즌 개막전에서 나올 선발 투수로 낙점되었다. [[https://www.mlb.com/rockies/news/rockies-padres-2023-opening-day-starting-pitchers|#]] 개막전에서 6이닝 2실점으로 첫 승을 따내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러나 5월 2일 [[토미 존 수술]]을 결정하며 시즌아웃당했다. 올 시즌이 끝난 뒤 FA에 악영향이 가게 됐다. 9월 8일, 2년 2천만 달러의 연장 계약을 맺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균 95마일, 최고 100마일의 패스트볼과 싱커, 너클 커브, 체인지업, 슬라이더 등 다양한 구종을 구사하는 투수로, 변화구의 위력이 뛰어나 통산 K/9가 9를 넘어가고 있고, 제구력도 안정적이라 많은 이닝을 책임질 수 있는 투수이다. 투수들의 지옥이라고 불리는 쿠어스 필드를 홈으로 사용함에도 매년 170이닝 이상에 3-4점대 ERA, 10승을 기대할 수 있는 꾸준함이 최대 장점. 다만 구위가 좋지 못한 날에는 초반부터 대량실점을 하고 강판당하거나, 꾸역꾸역 막아내다가 대량실점을 하는 등 한번씩 기복이 있는 편이다. 투수임에도 타격 능력이 꽤 좋은 편이라 2018 시즌에는 3할 타율에 1홈런을 기록하면서 실버슬러거를 수상했고, 2021시즌 종료 기준으로 통산 타격스텟도 .241/.241 /.330 2홈런으로 투수치고 상당히 좋은 타격 성적을 기록 중. 2021 시즌에는 뛰어난 제구력과 더 좋아진 구위를 바탕으로 커리어 하이 페이스를 보이고 있다. 특히 원정에서 강하고 홈에서는 약했던 지난 시즌들과는 달리 이번 시즌에는 홈에서 더 좋은 성적을 기록하면서 로키스의 홈 경기 강세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중. == 수상 내역 == * 올스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2021]]) * [[내셔널 리그]] 투수 [[실버 슬러거]] (2018)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헤르만 마르케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6 ||<|8> [[콜로라도 로키스|COL]] || 6 || 1 || 1 || 0 || 0 || 20⅔ || 5.23 || 28 || 2 || 6 || 3 || 15 || 1.645 || 94 || 0.2 || 0.2 || || 2017 || 29 || 11 || 7 || 0 || 0 || 162 || 4.39 || 174 || 25 || 49 || 8 || 147 || 1.377 || 115 || 2.4 || 3.5 || || 2018 || 33 || 14 || 11 || 0 || 0 || 196 || 3.77 || 179 || 24 || 57 || 8 || 230 || 1.204 || 125 || 4.1 || 4.1 || || 2019 || 28 || 12 || 5 || 0 || 0 || 174 || 4.76 || 174 || 29 || 35 || 5 || 175 || 1.201 || 108 || 3.3 || 2.8 || || 2020 || 13 || 4 || 6 || 0 || 0 || '''81⅔''' || 3.75 || 78 || 6 || 25 || 0 || 73 || 1.261 || 138 || 2.3 || 1.5 || || 2021 || 32 || 12 || 11 || 0 || 0 || 180 || 4.40 || 165 || 21 || 64 || 4 || 176 || 1.272 || 109 || 3.4 || 2.4 || || 2022 || 31 || 9 || 13 || 0 || 0 || 181⅔ || 4.95 || 185 || 30 || 63 || 4 || 150 || 1.365 || 94 || 1.4 || 1.4 || || 2023 || 4 || 2 || 2 || 0 || 0 || 20 || 4.95 || 19 || 4 || 3 || 0 || 17 || 1.100 || 103 || 0.2 || 0.2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8시즌) || 176 || 65 || 56 || 0 || 0 || 1016 || 4.41 || 1002 || 141 || 302 || 32 || 983 || 1.283 || 111 || 17.5 || 16.0 || == 기타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베네수엘라의 야구 선수]][[분류:1995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시우다드과야나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콜로라도 로키스/현역]][[분류:베네수엘라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