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헝가리의 대외관계)] [include(틀:슬로베니아의 대외관계)]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100%]]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100%]] || || [[헝가리|{{{#ffffff '''헝가리'''}}}]] || [[슬로베니아|{{{#fff '''슬로베니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헝가리]]와 [[슬로베니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유럽연합]], [[북대서양 조약 기구|나토]] 회원국이다. == 역사적 관계 == === 중세 === 헝가리는 [[헝가리 왕국]]때부터 [[기독교]]를 받아들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1153417?sid=103|#]] 슬로베니아 일대에 정착한 [[슬라브]]족들도 기독교를 받아들었다. === 19세기 === 헝가리와 슬로베니아 둘 다 20세기 초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였다. 슬로베니아 일대는 오스트리아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 자본과 독일 자본이 많이 들어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3072648?sid=102|#]] === 20세기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자 [[헝가리 왕국(1920~1946)|헝가리]]는 독립국이 되었고,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이때 헝가리 왕국의 [[슬로베니아인]] 다수 거주지역이었던 프레크무레(Prekmurje)[* [[헝가리어]]로는 무러비데크(Muravidék).] 지역이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넘어갔다. [[트리아농 조약]]의 실지를 되찾고자 했던 헝가리는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프레크무레를 되찾았으나 종전 이후 반환했다. [[냉전]] 시절에는 헝가리가 소련의 위성국이었지만,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였다. 80년대 이후, 헝가리에서 민주화 시위가 일어나고 유고슬라비아는 분열의 조짐이 생겼다. 90년대 초, 슬로베니아는 독립국이 되었고 헝가리는 공산정권이 무너졌다. 슬로베니아는 헝가리와 수교했다. === 21세기 === ==== 2000년대 ==== 2004년에 양국은 유럽연합에 가입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119117?sid=104|#]] 헝가리, 리투아니아, 슬로베니아는 EU 헌법 비준절차를 완료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295870?sid=104|#]] 2009년 7월 2일, 양국은 가스관 건설에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2745144?sid=101|#]] ==== 2010년대 ==== 2011년, 금융위기가 일어나자 양국에서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2697368?sid=101|#]] 2012년, 헝가리의 통화인 포린트화가 평가절하 되는 경제난이 계속되고 있고 슬로베니아도 IMF 등에 구제금융 신청을 검토할 정도로 경제 상황이 심각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5684362?sid=104|#]] 2013년, 키프로스의 부실 채권 문제가 떠오르면서 헝가리, 슬로베니아도 영향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나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2753828?sid=101|#]] 2015년, [[유럽 난민 사태]]로 인해 양국은 난민들을 막거나 국경에 철조망을 세우는 등 난민들의 입국을 막고 있다. 헝가리 정부가 난민들을 막기 위해 크로아티아쪽 국경을 봉쇄하자 난민들이 슬로베니아를 통해 들어오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06817340?sid=104|#]] 또한,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도 난민들에 대한 통제를 시작하면서 난민 문제가 양국에서 큰 문제로 떠올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869144?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865468?sid=104|#2]] 9월 3일, 보루트 파호르 슬로베니아 대통령이 헝가리를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91/0004929921?sid=104|#]] 9월 19일, 헝가리 국경도시의 시장이 난민들에게 독일로 갈려면 슬로베니아로 가야 한다고 협박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289927?sid=104|#]] 2017년 6월 19일, 오스트리아와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등 6개국 국방부 장관들이 모여 난민사태에 대해 논의했고 중유럽 방위 협력체를 결성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348093?sid=104|#]] 2018년, [[유럽 난민 사태]]를 둘러싸고 헝가리에 이어 이탈리아, 슬로베니아에서 우파 정권이 들어섰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162657?sid=104|#1]][[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0130407?sid=104|#2]] 얀사 총리는 반난민 정책을 이끌며 오르반 총리와 협력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632566?sid=104|#]] 오르반 총리는 얀사 총리의 선거유세에 동행하면서 반난민 연대를 진행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304490?sid=104|#]] 2019년 10월 25일, 헝가리,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등 나토 4개국이 지역 특수작전 구성사령부(R-SOCC) 설치를 위한 양해각서에 서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170676?sid=104|#]] ==== 2020년대 ==== 2020년 5월 8일, 오르반 총리가 SNS에 대헝가리 지도(...)를 올리자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반발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597261?sid=104|#]] [[코로나19]] 팬데믹이 전세계에 퍼지자 슬로베니아 정부는 헝가리를 통해 얀센 백신을 도입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777546?sid=104|#]] 슬로베니아가 오르반 정부의 권위주의를 따르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552486?sid=104|#]]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양국의 민주주의가 위기에 빠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4882487?sid=104|#]] == 문화 교류 == 양국간의 문화 교류가 활발하다. [[헝가리어]]는 슬로베니아에 일부 화자가 존재한다. 그리고 [[슬로베니아어]]는 헝가리어와 함께 유럽연합의 공용어에 포함돼 있다. 양국은 [[독일어권]]과의 교류가 많아서 [[독일어]]가 주요 외국어에 속해 있다. 또한, [[영어]]는 양국의 주요 외국어에 속해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174519?sid=004|#]] [[헝가리 요리]] 중 [[구야시]]는 슬로베니아에서 널리 퍼져 있다. 헝가리와 슬로베니아는 와인 산지로 유명하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567778?sid=103|#]] === 스포츠 === 2014년 4월 23일, 슬로베니아 아이스하키팀이 헝가리 아이스하키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445/0000000394|#]] == 경제 교류 == 양국은 전술했다시피 가스관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양국은 러시아산 가스 수입 비중이 높으며 60%이상에 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958316?sid=104|#]] 양국은 가스관을 통해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965615?sid=100|#]] == 교통 교류 == 양국을 잇는 철도, 도로,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양국을 잇는 철도는 하루에 1편이 운행되고 양국 간에는 [[솅겐조약]]이 체결돼 자유롭게 입국이 가능하다.[[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0318657?sid=103|#]] 양국은 유레일(Eurail)에 속해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803694?sid=104|#]] == 관련 문서 == * [[헝가리/외교]] * [[슬로베니아/외교]] * [[유럽연합]] * [[북대서양 조약 기구|나토]] * [[헝가리/역사]] * [[슬로베니아/역사]]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헝가리/경제]] * [[슬로베니아/경제]] * [[헝가리인]] / [[슬로베니아인]] * [[헝가리어]] / [[슬로베니아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중부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분류:헝가리의 대국관계]][[분류:슬로베니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