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헝가리 관련 문서)] [Include(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youtube(GJ7r4KyNVCg)] '''헝가리계 우크라이나인'''은 [[우크라이나]] 서부의 [[자카르파탸]]에 거주하는 [[헝가리인|헝가리계]] 주민이다. == 역사 == 자카르파탸는 서기 10세기 이래 [[헝가리 왕국]]의 영토였으나 [[동유럽]]과 [[서유럽]]을 가로지르는 산악지대라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 [[헝가리인]]과 [[슬로바키아인]], [[루마니아인]]과 [[우크라이나인]], [[루신인]]이 공존하는 복잡한 역사를 지닌 지역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 헝가리 왕국은 중앙집권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던 탓에 이 지역의 토착 슬라브계 귀족들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는 헝가리가 [[모하치 전투]]로 실질적으로 멸망하고 [[합스부르크 제국]]과 헝가리인의 자치 공국인 [[트란실바니아 공국|에르데이 공국]]이 들어섰을 때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슬라브계 귀족들의 영향력은 19세기까지 계속되었다. 1867년이 되어서야 [[대타협]]으로 주권을 되찾은 헝가리인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독일인]]([[오스트리아인]])과 동등한 대접을 받게 되었으며 [[슬라브]] 색채가 강한 자카르파탸에서 강력한 헝가리화 정책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주장한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고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헝가리 왕국의 영토가 분할되는 과정에서 자카르파탸 지역은 [[체코슬로바키아]]로 귀속되었다가, [[독소전쟁]] 후반에 [[소련]]이 우크라이나 서부 일대를 차지하고, 동유럽과 중유럽 국경선을 대대적으로 재조정하는 과정에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영토가 된 자카르파탸 내에서 [[러시아어]] 혹은 [[우크라이나어]]로 교육 받아온 헝가리인은 [[소련 해체]]와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헝가리계 우크라이나인이 되었다. 오늘날 우크라이나는 원칙적으로는 [[이중국적]]을 금지하지만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헝가리인이나 헝가리계 우크라이나인은 여러 우회적인 방법으로 이중국적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유럽의회]]에 최초로 진출한 우크라이나 국적자인 보치코르 언드레어는 헝가리계 우크라이나인이다.[[https://www.europarl.europa.eu/meps/en/124712/ANDREA_BOCSKOR/home|#]] 우크라이나가 EU 회원국이 아니기 때문에 헝가리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 문화 == === 언어 === 헝가리계 우크라이나인들은 대부분 [[헝가리어]]를 사용한다. 자카르파탸에는 헝가리어 지명이 남아 있고 헝가리어는 자카르파탸의 지역 공식어에 속해 있다. 다만 우크라이나 정부에서 [[돈바스 전쟁]]의 여파로 2017년부터 우크라이나 내 헝가리계 인구의 헝가리어 교육권을 축소하자 [[오르반 빅토르]]가 이끄는 [[헝가리]] 정부에서는 우크라이나에게 공개적으로 항의하기도 했다. == 관련 문서 == * [[루신인]] / [[우크라이나인]] * [[헝가리인]] * [[자카르파탸]] * [[우크라이나-헝가리 관계]] [[분류:헝가리계 인물]][[분류:우크라이나의 민족]][[분류:우크라이나-헝가리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