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요하네스 브람스의 작품]] [목차] == 개요 == ''{{{+1 Ungarische Tänze / Hungarian Dance}}}'' [[요하네스 브람스]]의 작품 중 하나. 브람스의 완전한 창작물은 아니고 기존의 [[헝가리]] [[집시]]들의 멜로디를 [[편곡]]한 것이다. 따라서 [[오푸스]]가 붙지 않고 대신 Werke ohne Opuszahl([[오푸스]] 번호 없는 작품)을 줄인 WoO를 붙인다. == 창작과정 == 브람스는 1850년에 [[헝가리인]] 바이올리니스트인 에두아르트 레메니(Ede Reményi)를 만나 그와 함께 여러 연주회를 열었다. 이 과정에서 브람스는 레메니의 [[집시]]풍의 연주 스타일을 접하고, 이를 계기로 헝가리의 민요 등을 채보하였고, 이를 '[[편곡]]'하여 '헝가리 무곡'(Ungarische Tänze)이라는 이름의 21개 피아노 연탄곡을 1869년(1~10번)과 1870년(11~21번)에 출판하였다. 곡은 어디까지나 기존의 멜로디를 '편곡'한 것으로서, 브람스가 완전히 창작한 것은 11번과 14번, 16번뿐이라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유명한 [[헝가리 무곡 제5번|5번]]같은 경우 헝가리 작곡가 벨러 케를레르(Béla Kéler)의 Bártfai emlék에 기초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브람스가 채보 과정에서 이를 헝가리 민요라 착각하고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헝가리 무곡이 출판되고 나서는 '''같이 여행을 다녔던 레메니를 비롯한''' 헝가리 음악가들이 저작권 침해로 브람스를 고소하게 된다. 하지만 브람스는 헝가리 무곡을 출판하면서 '작곡자'가 아닌 '편곡자'으로 소개되어서 브람스는 승소할 수 있었다.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은 [[안토닌 드보르자크]]가 슬라브 무곡(Slovanské tance)을 작곡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브람스가 헝가리 무곡 편곡 경험을 토대로 드보르자크에게 한 번 만들어보는 게 어떻냐고 제안했다고. == 구성 == || [youtube(-dYGL1o0B9U)] || [youtube(YXT42ghiuZ4)]|| || 원본(피아노 연탄곡) || 오케스트라 버전 || 브람스가 작곡한 원본(?)은 피아노 연탄곡이다. 편곡이 많이 이루어졌는데, 브람스 자신이 편곡한 피아노 독주 버전, 브람스의 친우인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아힘의 바이올린 독주 버전, 브람스 및 기타 작곡가들이 편곡한 오케스트라 버전이 있다. 일부는 이렇게 편곡되면서 자연스런 연주를 위해 조성이 변하기도 하였다. 오케스트라 편곡은 수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안토닌 드보르자크]]같은 유명 작곡가도 편곡한 바 있다. 아래에 나와 있는 오케스트라 버전 작곡가는 여러 오케스트라 버전 중 가장 유명한 버전의 작곡가를 나타낸 것이다. ||<|2> 번호 ||<|2> 템포 ||<-4> 조성 || || 원본(피아노 연탄곡) || 피아노 독주 버전 || 바이올린 버전 || 오케스트라 버전 || || 1번 || Allegro molto ||<-4> G minor[*A 요하네스 브람스의 편곡] || || 2번 || Allegro non assai ||<-4> D minor[*B 안드레아스 할렌(Andreas Hallén)의 편곡] || || 3번 || Allegretto ||<-4> F major[*A] || || 4번 || Poco sostenuto || F minor || F sharp minor || D minor || F sharp minor[*C 파울 유온(Paul Juon)의 편곡] || || [[헝가리 무곡 제5번|5번]] || Allegro ||<-2> F sharp minor || G minor || G minor[*D 마르틴 슈멜링(Martin Schmeling)의 편곡] || || 6번 || Vivace ||<-2> D flat major || B flat minor || D major[*D] || || 7번 || Allegretto || A major || F major || A major || F major[*D] || || 8번 || Presto ||<-4> A minor[*E 한스 갈(Hans Gál)의 편곡] || || 9번 || Allegro non troppo ||<-4> E minor[*E] || || 10번 || Presto ||<-2> E major || G major || F major[*A] || || 11번 || Poco andante || D minor ||<|11> -[* 브람스의 피아노 독주 버전은 10번까지만 편곡되어 있다.] ||<-2> D minor[*F 알베르트 파를로(Albert Parlow)의 편곡] || || 12번 || Presto || D minor ||<-2> D minor[*F] || || 13번 || Andantino grazioso || D major ||<-2> D major[*F] || || 14번 || Un poco andante || D minor ||<-2> D minor[*F] || || 15번 || Allegretto grazioso || B flat major ||<-2> B flat major[*F] || || 16번 || Con moto – Presto || F minor - F major ||<-2> F minor - F major[*F] || || 17번 || Andantino || F sharp minor ||<-2> F sharp minor[*G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편곡] || || 18번 || Molto vivace || D major ||<-2> D major[*G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편곡] || || 19번 || Allegretto || B minor ||<-2> B minor[*G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편곡] || || 20번 || Poco allegretto || E minor ||<-2> E minor[*G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편곡] || || 21번 || Vivace – Più presto || E minor - E major ||<-2> E minor - E major[*G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편곡] || == 쓰임 == 무곡 4번은 2023년 연극 [[슈만]]의 커튼콜 곡으로 쓰였다. 무곡 5번은 [[섹시 파로디우스]]의 스테이지 3-2의 보스전 곡으로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