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휴스턴 애스트로스/로스터)] ---- ||
'''{{{#ffffff 헌터 브라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휴스턴2022우승로고.pn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22년 월드 시리즈|{{{#eb6e1f 2022}}}]]''' ||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58번}}}''' || || [[브룩스 레일리]][br](2020~2021) || {{{+1 →}}} || '''{{{#000000 헌터 브라운[br](2022~)}}}'''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스트로스헌터브라운23.jpg|width=100%]]}}} || ||<-2> '''휴스턴 애스트로스 No.58''' || ||<-2> '''{{{#000000 {{{+2 헌터 브라운}}}[br]Hunter Brown}}}''' || || '''본명''' ||헌터 노아 브라운[br]Hunter Noah Brown || ||<|2> '''출생''' ||[[1998년]] [[8월 29일]] ([age(1998-08-29)]세) || ||[[미시간|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웨인 주립대학교]] || || '''신체''' ||188cm / 96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9 MLB 신인드래프트|2019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66번,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 '''소속팀''' ||[[휴스턴 애스트로스]] (2022~) || || '''계약''' ||1yr / $725,000 || || '''연봉''' ||2023 / $725,000 || || '''SNS''' ||[[https://www.instagram.com/hunterbrown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xhunterbrownx,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휴스턴 애스트로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스트로스헌터브라운.webp|width=100%]]}}} || 2022년까지는 팜이 황폐화된 휴스턴 내에서 [[제레미 페냐]] 등과 함께 최고의 유망주 중 하나로 평가받았으며[* 애초에 휴스턴이 주력 선수들은 거의 다 중남미에서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으로 데려오는 경우가 흔한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휴스턴이 윈나우를 달리며 픽이 뒤로 밀린 데다가 상위픽 지명에서 성공하는 경우가 2016년부터는 거의 드물었기도 했다. 물론 상위픽에서 [[카를로스 코레아]], [[알렉스 브레그먼]], [[카일 터커]] 등을 지명했던 리즈 시절도 있긴 했었지만.] 2022년 9월 5일 [[텍사스 레인저스]]전에 선발등판해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6이닝 5K 3피안타 1볼넷 무실점을 기록해 승리투수가 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7경기 20⅓이닝 2승 0패 2홀드 ERA 0.89 22삼진 0피홈런 7볼넷 피안타율 .205 WHIP 1.08. 2023 시즌에는 첫 풀타임 시즌 소화의 여파인지 시즌 막판으로 갈수록 성적이 나빠지는 모습을 보이며 다소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라운포심.gif|width=100%]]}}} || || '''포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라운슬라이더.gif|width=100%]]}}} || || '''슬라이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라운커브.gif|width=100%]]}}} || || '''커브''' || 평균 구속 96.6마일, 최고 구속 99마일의 포심 패스트볼과 평균 구속 83마일의 커브볼, 평균 구속 '''93.2마일''', 최고 구속 '''96.6마일'''의 하드 슬라이더[* 참고로 슬라이더의 구속은 [[제이콥 디그롬]]도 이긴 '''2022 시즌 메이저리그 통합 1위'''이다. 웬만한 고속 커터급의 구속을 자랑한다.]를 기반으로 많은 탈삼진을 잡아내는 유형의 파이어볼러. 이외에도 스플리터도 간간히 구사한다. 한솥밥을 먹었던 에이스 [[저스틴 벌랜더]]와 투구폼이 흡사한데, 본인이 직접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한 마디로 구속이 좀 느린 2000년대의 벌랜더를 보는 듯하다.[* 참고로 2000년대 벌랜더는 평속은 브라운과 비슷하거나 좀 더 낮았지만 최고 구속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였다. 근데 슬라이더 구속만큼은 평속이나 최고 구속이나 브라운 쪽이 압도적으로 빠르다.][* 여담으로 브라운은 디트로이트 출신인 데다가 벌랜더의 팬으로 자랐다고 한다. 근데 마침 벌랜더와 같은 팀이 되었으니 정말로 성덕이 따로 없는 셈. 물론 다음 해에 벌랜더가 [[뉴욕 메츠]]로 떠나버렸는데...... 트레이드 데드라인에 벌랜더가 휴스턴으로 컴백하면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022년 월드 시리즈|2022]])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헌터 브라운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2>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7 || 2 || 0 || 0 || 1 || 20⅓ || 0.89 || 15 || 0 || 7 || 0 || 22 || 1.082 || 438 || 0.6 || 0.8 || || 2023 || 31 || 11 || 13 || 0 || 0 || 155⅔ || 5.09 || 157 || 26 || 55 || 9 || 178 || 1.362 || 83 || 1.8 || 0.1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38 || 13 || 13 || 0 || 1 || 176 || 4.60 || 172 || 26 || 62 || 9 || 200 || 1.330 || 91 || 2.4 || 0.9 ||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디트로이트 출신 인물]][[분류:웨인 주립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