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헌종은 [[묘호]]인데, '바칠 헌' 자를 쓰는 獻宗(헌종)과 '법 헌'자를 쓰는 憲宗(헌종)이 있다. [[시법]]에 따르면 獻과 憲의 용법은 다음과 같다. * 獻 * 총명하고 지혜가 깊고 사리에 밝음을 '''헌'''이라 한다(聰明叡哲曰獻). * 바탕을 알고 성인의 자질을 가졌음을 '''헌'''이라 한다(知質有聖曰獻). * 憲 * 견문이 넓고 재능이 많음을 '''헌'''이라 한다(博聞多能曰憲). 시법에 나와있는 의미와는 달리 실제 역사를 보면, 후한 헌제를 포함해서'[[獻]]'자를 쓴 군주들은 말년이 비참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 군주 목록 == || 성명 || [[묘호]] || [[시호]] || 재위기간 || 비고 || || [[헌종(고려)|왕욱]](王昱) || [[고려]]헌종(高麗獻宗) || 정비공상대왕[br](定比恭殤大王) || 1094~1095 || 제14대 대왕, 묘호는 고려 예종 대에 올려짐. || ||<|2> [[헌종(조선)|이환]](李烉) || [[조선]]헌종(朝鮮憲宗) ||<|2> 체건계극중정광대지성광덕홍운장화경문위무명인철효성황제[br](體健繼極中正光大至聖廣德弘運章化經文緯武明仁哲孝成皇帝) ||<|2> 1834~1849 || 조선 왕조 제24대 임금 || || [[대한제국|대한]]헌종(大韓憲宗) || 대한제국 추존 황제 || || [[당헌종|이순]](李純) || [[당(통일왕조)|당]]헌종(唐憲宗) || 소문장무대성지신효황제[br](昭文章武大聖至神孝皇帝) || 805~820 || 11대 황제 || || [[단정엄]](段正嚴) || [[대리국|대리]]헌종(大理憲宗) || 선인황제[br](宣仁皇帝) || 1108~1147 || 16대 황제 || || [[헌종(서하)|이덕왕]](李德旺) || [[서하]]헌종(西夏獻宗) || 효애황제[br](孝哀皇帝) || 1223~1226 || 9대 황제 || || [[몽케 칸|보르지긴 몽케]][br](孛兒只斤 蒙哥) || [[원나라|원]]헌종(元憲宗) || 환숙황제(桓肅皇帝) || 1251~1259 || 4대 황제 || || [[성화제|주견심]](朱見深) || [[명나라|명]]헌종(明憲宗) || 계천응도성명인경숭문숙무굉덕성효순황제[br](繼天凝道誠明仁敬崇文肅武宏德聖孝純皇帝) || 1464~1487 || 8대 황제 || || [[선통제|아이신기오로 푸이]][br](愛新覺羅 溥儀) || [[청나라|청]]헌종(淸憲宗) || 배천동운법고소통수문경부관예정목예인입효민황제[BR](配天同運法古紹統粹文敬孚寬睿正穆體仁立孝愍皇帝) || 1908~1912 || 12대 황제[br]이칭 [[공종]](恭宗) || || [[진헌종|진왕]](陳旺) || [[쩐 왕조|진]]헌종(陳憲宗) || 체원어극예성지효황제[br](體元御極睿聖至孝皇帝) || 1329 ~ 1341 || 6대 황제 || || [[레 헌종|여쟁]](黎鏳) || [[후 레 왕조|후여]]헌종(後黎憲宗) || 체천응도무덕지인소문소무선철흠성창효예황제[br](體天凝道懋德至仁昭文紹武宣哲欽聖彰孝睿皇帝) || 1497 ~ 1504 || 6대 황제 || || [[막복해]](莫福海) || [[막조|막]]헌종(莫憲宗) || 현황제[br](顯皇帝) || 1540 ~ 1546 || 3대 황제 || [[분류:묘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