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필라델피아 이글스의 쿼터백,rd1=제일런 허츠)] [include(틀:다른 뜻1, other2=영국의 신스팝 듀오,rd2=Hurts)] [[파일:Hertz_Car_Rental_logo.svg.png|width=30%]] [[파일:허츠.png|width=700]] '''Hertz''' [[https://www.hertz.com/rentacar/reservation/|홈 페이지]] [목차] == 개요 == [[미국]] 내에서 점유율 1위를 달리는 [[렌터카]] 업체. 전 세계 5,100여 곳의 지점에서 영업하고 있으며, 미국 내에서는 1,900개의 지점을 운영 중이다. == 역사 == [[1918년]] 월터.L.제이콥스라는 인물이 [[시카고]]에 세운 Rent-a-Car. Inc. 가 이 회사의 시초이고, 이 때는 단지 [[포드 모델 T]]를 소규모로 렌탈해 주는 영세한 중소기업이었다. [[1923년]] 제이콥스가 존 허츠에게 회사를 넘긴 이후 회사명이 Hertz Drive-Ur-Self System으로 바뀌었는데 이 때 미국 최초로 차량 편도 렌탈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업을 전폭적으로 확장하는 등 현재 대기업으로서의 허츠의 기초가 세워졌다. 미국 제 1의 차량 렌탈 기업이 된 이후 1950년대에는 [[프랑스]]와 [[캐나다]] 등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다국적 기업으로 거듭났다. [[1954년]]에는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이름과는 별개로 여러 차례 피인수를 반복한 기업이기도 하다. [[1926년]]에는 [[제너럴 모터스]]에 회사가 팔렸으나 [[1953년]] 허츠의 자회사에 의해 재인수되었다. [[1967년]]에는 놀랍게도 차와 아무런 관련 없는 전자제품 제조회사인 [[RCA#s-2]]의 자회사가 되었으며, [[1985년]]에는 [[유나이티드 항공]]에 매각되었다가 [[1994년]]에 [[포드(자동차)|포드]]에게 다시 팔렸다. [[2005년]] 다수의 [[사모펀드]]에 의해 인수되어 별개의 회사로 독립했다. [[한국]]과도 인연이 있었는데, 과거 [[금호아시아나그룹]]의 계열사였던 [[금호렌터카]]가 이 회사와 제휴관계로 [[롯데]]에 매각되어 [[롯데렌터카]]로 바뀐 이후에도 제휴관계에 있다.[* 참고로 일본의 경우, 토요타렌터카와 제휴처리가 되어있다.] === 파산 보호 신청 === [[https://www.cnn.com/2020/05/22/business/hertz-bankruptcy/index.html|CNN]] 1920년대의 [[대공황]], 민수용 자동차 업계 전체가 [[총력전]]에 동원되었던 [[제2차 세계 대전]], 두 차례의 [[오일 쇼크]]까지 온갖 위기에서 살아남았다. 그러나 [[우버]]와 [[리프트]] 등의 차량공유 서비스 및 집카(Zipcar) 등의 신흥 [[카셰어링]] 서비스 업체들이 등장해서 경쟁이 치열해진 시장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발생한 [[대봉쇄]]와 항공산업, 관광산업의 대규모 위축에 큰 타격을 받았고, 결국 [[2020년]] [[5월 23일]] [[파산]] 보호 신청을 선언했다. 렌트카 수입 대부분이 공항에 도착한 여행객을 상대로 발생하는데 공항을 이용하는 여행객이 94% 가까이 줄었고, 이외의 수입은 정비소에 차를 맡겼지만 여전히 차가 필요한 고객들에게서 나오는데 코로나 사태로 인해 [[재택근무]]가 보편화되어 예전에는 렌트카가 필요했을 고객들이 아예 직장에 출근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 차량 41,000대와 유럽의 차량 13,000여 대를 중고차 시장에 팔려고 내놨지만 중고차 업체들이 아예 문을 닫아 버려서 이조차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다만, 허츠의 파산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만의 영향으로 볼 수 없다는 관점도 있다. 허츠의 소유주인 사모펀드가 본업인 렌트카 사업보다 차량리스와 같은 금융업에 역량을 집중하며 규모를 키우다가 파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350574|링크]] [[코로나 19]]로 인해 파산한 기업들 중 가장 규모가 크고 견실해서 임팩트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그것도 불과 2년 전인 [[2018년]]에는 '''[[포춘 500]]''' 리스트에도 들었던 '''업계 1위 기업이 파산 보호 신청을 했다.'''] 해마다 새 자동차를 170만대씩이나 사주며 자동차 전체 판매량의 10% 정도를 떠받쳐주던 기업이 파산한 것이니만큼 미국, 아니 세계 전체의 자동차 산업에도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 [[테슬라]] 차량 구매 발표 ===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조치가 완화되면서 여행객이 다시 증가해 파산 보호에서 벗어났으며, 보유 차량 50만 대를 '''모두 전기차로 교체'''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후 2021년 10월 25일 '''[[테슬라]]의 차량 10만 대를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025_0001626507&cID=10101&pID=10100|#]] 사상 최대의 전기차 단일 계약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이 덕에 테슬라의 주가가 크게 올라 처음으로 1천 달러를 넘김과 동시에 자신들의 장외시장 주가도 5% 가까이 급등했다. 마크 필즈 임시 CEO의 발표에 따르면 테슬라 차량 구매 규모를 15만 대까지 늘릴 예정이며, 이 중 5만 대를 차량 공유 서비스 기업 [[우버]]에 임대하기로 했다고 한다. [[https://www.fnnews.com/news/202110280140187656|#]] 또 중고차 판매 기업 카바나와 계약하여, 중고 렌터카들을 교체하기 위한 창구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전기차 렌터카 업체'라는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우버 등과 함께 테슬라 생태계의 일익을 담당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실제로 자신들의 광고 영상에 테슬라 차량을 대놓고 노출시키는가 하면, 자사의 렌터카들을 주차해놓는데 써온 각 지역의 부지들을 활용해 전기차 충전소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쯤 되면 테슬라 손 잡고 윈-윈하기 위해 함께 가겠다는 의지를 불태우는 상황(...)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분류:미국의 기업]][[분류:1918년 기업]][[분류:뉴욕증권거래소상장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