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허정재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height=80]]]][br]{{{-1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ffffff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하금진]] [br] (2014~2015) || {{{+1 ▶ }}} || {{{#ffffff '''{{{+1 허정재}}} [br] (2016~2018)'''}}} || {{{+1 ▶ }}} || [[인창수]] [br] (2019)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height=80]]]][br]{{{-1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ffffff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정성천]] [br] (2012~2017) || {{{+1 ▶ }}} || {{{#ffffff '''{{{+1 허정재}}} [br] (2018~2021)'''}}} || {{{+1 ▶ }}} || [[황인선(축구)|황인선]] [br] (2021~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허정재감독.jpg|width=100%]]}}} || ||<-2> '''이름''' || {{{+1 '''허정재'''[br]}}}'''Hur Jung-jae''' || ||<-2> '''출생''' ||[[1969년]] [[5월 29일]] ([age(1969-05-29)]세)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직업'''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3> '''소속''' || '''선수''' ||[[서울신탁은행]] 축구단 || || '''코치''' ||[[풍생중학교]] 축구부 (1999~2003) || || '''감독''' ||[[풍생중학교]] 축구부 (2004~2010) [br] [[성남 일화]] U-12 (2010~2013) [br] [[풍생고등학교 축구부]] (2014~2015) [br]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여자 U-17 대표팀]] (2016~2018) [br]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여자 U-20 대표팀]] (2018~2021)[* 대한축구협회 전임지도자 파트장으로서 여자 상비군 팀과 여자 U-14팀 등 감독이 지정되지 않은 모든 여자 연령별 대표팀을 담당하고 있다.] || ||<-2> '''국가대표'''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감독]]. 대한축구협회 전임 지도자로 여자 유소년 선수 육성에 힘을 쏟고 있다. == 선수 경력 == 풍생중-풍생고를 거쳐 호남대에 진학했으나[[https://m.cafe.daum.net/GreatZebra/Xbv/8?q=D_CDCHocTi6vM0&|#]] 프로 축구 무대에서 큰 족적을 남기지는 못한 것으로 확인된다. == 지도자 경력 == 만 30세의 젊은 나이 지도자 생활을 시작해 17년 동안 [[성남 FC]] 계열 구단에서 남자 유소년 지도에 헌신했다. 1999년 풍생중 코치로 처음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고 2004년 풍생중 감독 자리에 올라 2010년까지 재직했다. 같은 해 [[성남 일화]] U-12 감독을 맡아 2013년까지 이끌었고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성남 FC U-18 풍생고를 지도했다.[[http://www.kfa.or.kr/layer_popup/popup_live.php?act=news_tv_detail&idx=17316&div_code=news&check_url=bGF5ZXI=&lang=KOR|#]] 이 기간 동안 풍생중에서 [[배일환]], [[심동운]], [[주민규(축구선수)|주민규]], [[황의조]], [[홍철]] 등을 지도했고 여러 전국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유소년 지도자로써 두각을 드러냈다. 2010년 U-12팀 지도자를 맡은 것도 U-15에서 U-12로의 강등이라기보다는 당시 성남 일화에서 U-12팀을 창단하면서 U-12부터 U-15, U-18로 이어지는 엘리트 선수 육성 체계를 갖추기 위함이였다[[https://www.asiae.co.kr/article/2010122907320739623|#]]. 2014년 풍생고 감독을 맡을 당시에는 2013년 말 통일 그룹이 성남 일화의 운영을 포기하는 과정에서 유스 클럽인 풍생고 역시 어수선한 시기를 보내 정상적인 훈련을 소화하지 못한 선수들의 체력이 많이 떨어져있었고, 이 과정에서 허정재 감독이 풍생중과 U-12팀에서 직접 육성한 재능들도 다른 팀으로 많이 이탈한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허정재 감독은 빠르게 팀을 추스려 저학년 위주로 리빌딩에 나섰고 2014년 경기도대회인 이천쌀배, 2015년 전국대회인 백운기 저학년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https://blog.naver.com/withkleague/220352837551|#]][* 풍생고 축구부가 2009년 왕중왕전 이후 전국대회 결승 진출 자체가 없을 정도로 몰락한 상황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대단한 성과였다.] 당시 [[이시영(축구선수)]], [[전종혁]] 등이 허정재 감독의 지도를 받았다. 2015 시즌을 마치고 풍생고를 떠난 허정재 감독은 대한축구협회 전임지도자로 새롭게 출발하며[* 성적의 압박에서 벗어나 연구와 육성에 집중하고 싶어 전임지도자를 택했다고 한다. 대표팀 감독직을 맡게 되어 결국 소속팀 시절보다 더한 부담감을 느끼게 된 것은 아이러니한 부분.] 여자 U-15팀 감독을 맡아 여자축구 유소년 지도에 발을 들였다. ===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2016~2018) === ==== 2017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U-14 팀을 이끌고 동아시아 지역 챔피언십에 참가해 여자축구에 대한 파악을 마친 허정재 감독은 U-15 팀을 이끌고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예선에서 말레이시아, 북마리아나, 필리핀, 인도를 상대로 4경기 38득점 0실점의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 대표팀 감독으로 첫 번째 메이저 대회 도전을 시작했다.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2009년 우승 이후 한국은 3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던 대회였다. 허정재 감독이 이끈 U-16 대표팀은 본선 조별 리그에서 중국, 태국, 라오스와 만나 중국과의 첫 경기에서는 황아현, 김빛나의 연속골로 2- 2로 비기며 승점 1점을 챙겼고 태국과의 두번째 경기에서는 안세빈, 장은현, 조미진의 연속 골로 3-0 승리, 라오스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고민정, 조미진의 해트트릭 이수연의 추가골로 7-0으로 대승하며 2승 1무 승점 7점, 골득실에서 중국에 밀린 조 2위로 4강에 진출했다. 4강전에서 당시 대회 최다 우승팀이였던 일본과 만나 전반전에는 반코트 경기를 당하며 선제골을 내줬으나 후반전에 압박으로 맞서며 분위기를 바꾸었고 후반 20분 조미진이 페널티킥으로 득점 1-1 동점을 만들어 경기를 승부차기로 끌고갔다. 승부차기에서 골키퍼 [[강지연]]의 활약으로 승부차기 스코어 4-2로 승리하면서 2009년 이후 8년만의 결승 진출과 동시에 [[2018 FIFA U-17 여자 월드컵]] 출전권을 따냈다. 북한과의 결승전에서는 2-0으로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충분히 박수 받을 만한 성과였다. 허정재 감독은 대회 직후 잠시 [[윤덕여]] 감독이 이끌던 성인 국가대표팀 감독의 미국원정 평가전에 코치로 동행했다.[* 무슨 이유인지 [[정성천]] 수석코치가 해당 미국원정에는 동행하지 않았다. 이후 [[EAFF E-1 챔피언십 여자부/2017년|2017 동아시안컵]]부터는 정성천 코치가 복귀하고 허정재 감독은 연령별 대표팀 감독으로 돌아갔다.] ==== [[2018 FIFA U-17 여자 월드컵 우루과이]] ==== [[2018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본선에서 캐나다, 콜롬비아, 스페인과 한 조에 편성됐다. U-16 챔피언십에서 선전으로 기대를 받았으나 스페인과의 첫 경기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qxKMazyv05I|0-4]]로 대패한 것에 이어 캐나다전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DlHVNJVd4Ac|0-2]]로 패하며 8강 진출이 좌절됐다. 마지막 경기인 콜롬비아전에서는 조미진의 선제골로 앞서 나갔으나 후반 추가시간 동점골을 내줘 1-1로 비기면서 8년만의 U-17 월드컵 도전은 1무 2패로 승리 없이 끝나고 말았다. 하지만 스코어에 비해 경기력은 나쁘지 않았고 실수로 내준 실점이 없었거나 골운이 조금만 따랐다면 더 좋은 결과가 있었을 것이라는 반응들이 많다. 또한 [[강지연]], [[곽로영]], [[천가람]] 등 뛰어난 유망주들이 발굴된 것 역시 고무적인 부분이다. ===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2018~2020) === ==== [[2019 AFC U-19 여자 챔피언십 태국]] ==== 허정재 감독은 [[2018 FIFA U-17 여자 월드컵]] 이전인 2018년 5월부터 이미 U-18 대표팀 감독직도 병행하고 있었다. 2018년 10월 1차 예선에서 방글라데시, 타지기스탄, 대만에 7-0, 3-0, 4-0 승리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019년 4월 치러진 2차 예선에서는 레바논, 이란, 베트남에 9-0, 2-0, 2-1로 승리하며 [[2019 AFC U-19 여자 챔피언십 태국]] 대회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 조별리그에서 [[박태하]] 감독이 이끄는 중국, 여자축구 최강 일본, 약체 미얀마와 함께 A조에 편성됐다. 1차전인 중국전에서는 [[강지우(축구선수)|강지우]]의 멀티골로 2-1로 승리했지만 2차전 일본전에서 0-2로 패했다. 3차전 미얀마전에서는 포메이션을 바꾸고 11명 전원을 로테이션 돌리는 도박적인 선수기용 끝에 이정민의 결승골로 1-0 신승을 거둬 2승1패 승점 6점의 A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B조 1위 북한과 맞붙었고 전반 10분만에 북한 김경영에게 두 골을 허용하며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다. 후반에 강지우가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만회해 1-3으로 패하며 3, 4위전으로 밀려났다. 3, 4위전은 호주와의 경기로 [[2022 FIFA U-20 여자 월드컵 코스타리카]][* 원래는 나이지리아에서 개최 예정이였으나 치안 문제로 개최권 박탈] 출전권이 걸린 중요한 일전이었다. 필사적인 각오로 나선 대표팀은 전반전에만 노진영, [[추효주]], 강지우, 현슬기의 골로 4-0으로 달아났고 후반전에 조미진, 추효주의 골과 함께 강지우가 무려 3골을 더 추가하면서 9-1 대승으로 3위와 4년만의 [[FIFA U-20 여자 월드컵]] 출전권 획득에 성공했다. ==== [[2022 FIFA U-20 여자 월드컵 코스타리카]] (취소) ==== 이후 허정재 감독은 잠시 U-14 대표팀을 이끌고 한일교류전에 참가한 뒤 다시 U-20 월드컵 준비에 전념하는 중이다. 원래 2020년 3월 첫 소집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코로나19]]의 여파로 소집은 취소된 상황이다. 춘계연맹전, 여왕기 등 해당 연령대 선수들이 출전하는 모든 여자축구 대회들이 연기된 상황이기 때문에 대회를 준비하는 것이 쉽지 않아 보인다. 물론 U-20 월드컵도 2020년 8월에서 2021년 1월로 연기되어서 대회를 준비할 시간 자체는 길어진 상황이다. 7월부터 다시 선수들을 소집하며 대회 준비가 본격화 됐다. 10월 3차 소집 때는 파주스타디움에서 국가대표팀과 두 차례 스페셜매치 평가전을 가졌으며, 1차전은 0-1, 2차전은 0-2로 패했으나 [[추효주]] 등 일부 주요 선수가 국가대표팀에 선발된 상황에서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11월 4차 소집을 준비 중이었으나 소집 당일이었던 11월 18일 FIFA로부터 2020 FIFA U-20 여자월드컵 및 U-17 여자월드컵 취소가 결정됐다. 월드컵 취소 결정 직후 허정재 감독은 2022 AFC U-20 아시안컵을 대비한 U-18 대표팀을 이끌고 한 차례 소집 훈련을 가졌으나 이후 다른 전임지도자 업무를 맡고 있다. U-20 대표팀 사령탑은 1년간 공석이었다가 성인대표팀 코치였던 황인선 코치가 2021년 11월 부임했다. == 여담 == * U-16 챔피언십 당시 선수들의 정신력을 깨우기 위해 정신력을 일깨우기 위해 [[평양의 기적]] 경기를 보여줬다고 한다.[[http://www.kfa.or.kr/layer_popup/popup_live.php?act=news_tv_detail&idx=19687&div_code=news&check_url=bGF5ZXI=&lang=KOR|#]] * U-19 챔피언십 당시 호주전 하프타임에 강지우를 따로 불러 지금 득점 순위 공동 1위니 더 골을 넣어서 득점상까지 가지고 가자고 격려했다고 한다. 이후 강지우는 3골을 더 넣고 총 7골로 [[장슬기]] 이후 6년만의 [[AFC U-19 여자 챔피언십]] 득점왕을 차지했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160374&memberNo=2355737|#]] * 허정재 감독의 후임 U-16 대표팀 감독은 [[K리그]] [[서울 이랜드]] 감독 경력이 있는 [[인창수]] 감독이 맡았으나 인창수 감독이 이끈 대표팀은 2019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서 1승 2패 조별리그 탈락에 그쳤다. 그러나 이를 인창수 감독의 책임으로만 돌리기는 어렵다. U-14, U-15팀 감독부터 착실히 맡아가며 1년이 넘게 대회 준비와 선수 파악 기간을 가졌던 허정재 감독과 달리 인창수 감독은 [[정정용]] 사단의 일원으로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에 참가한 직후 감독으로 임명되어 대회를 준비할 시간이 고작 3개월도 채 되지 않았다. 차라리 경력은 인창수보다 부족하더라도 여자 U-14, U-15팀을 지도해 본 경력이 있어 선수 파악에 시간이 덜 걸리는 다른 전임지도자가 대회를 준비했다면 더 나은 성적을 거두었을지도 모른다. [[분류:1969년 출생]][[분류:양천 허씨]][[분류:풍생고등학교 출신]][[분류:호남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감독]]